문화 culture
-
베트남 아오자이 처녀문화 culture/해외 foreign travel 2009. 11. 18. 17:53
áo(윗옷) dài(긴) 윗옷 이 길다는 뜻을 가진 아오 자이는 모두 가렸지만 모두 보여주는 매력적 패션이다. 15세기 전 에는 허리부분 밑으로 네 갈래 갈라진 긴 드레스(Áo Tứ Thân)였다. 중국의 장삼(長衫)과 쿠즈(바지) 영향을 받은 것이다. 명나라의 지배(1407~1428)를 받다가 레 왕조(1428~1788)가 들어서도 큰 차이가 없었다. 청나라에서 들여온 치파오(旗袍)를 기원으로 삼는다. 프랑스 지배시기 (1858~1954), 1930년대 예명을 르 뮈르(Le mur)라고 하는 디자이너 디자이너 Nguyễn Cát Tường에 의해 프랑스 영향을 받아 현대 아오자이가 탄생하였다. 남성 아오자이도 있으나 우리나라의 한복처럼 결혼이나 전통의식에 한정되어 보기가 쉽지 않다. 아름답기 그지없는 ..
-
베트남 물귀신될뻔~문화 culture/해외 foreign travel 2009. 11. 18. 17:47
물귀신이 될 뻔한 끔직한 일이 일어난 것은 2007년 2월이다. 염라대왕이아직이라고 생각했는지 해프닝으로 끝났기에 지금 이런 말을 하고 있다. 그때를 생각하면 지금도 머리끝이 송연하고 쭈삣하다. 하롱베이 일정을 마치고 날은 어두워지는데 식당으로가는 줄 알았다. 그런데 이 못된 패키지 여행이들른 곳은 보석상점이다. 위사진의 왼쪽 큰건물 안이다. 일행은끌려 들어가고 나는다리 야경을 담겠다고 바닷가로 나왔다. 거리의 불빛에 의지해서 조심스레 셔터를 누르다 보니 교각 야경만으로는 밋밋하였다. 둘러 보니공산 베트남 빨간 국기가 배멀미에서 해풍에 펄럭이고 있다. 저거다 싶어 오른쪽 귀퉁이에 배를 넣으려니 바닷물 가까이 자리를 옮겨야 했다. 어둔 길을 더듬거리니 마침 시멘트 경사가 진 선착장이다. 그런데, 아뿔사 !..
-
베트남 하롱베이(Halong Bay, 泳下龍)의 추억문화 culture/해외 foreign travel 2009. 11. 18. 14:31
먹고 살기 위해 관광객의 웃음을 유도하는 노력형 가이드 미스 정은인.. 베트남. 하롱베이에서 / 박인걸 하늘을 날아 다다른 이국의 바다 펼쳐진 壯觀에 입을 다물지 못하고 환상의 세계에 갇힌 나는 몽유도 속을 걷는다. 기암괴석이 수반에 앉아 제마다의 형태를 뽐내고 삼천 개 작은 섬들은 억만년을 갈고 닦은 작품들이다. 비취 빛 고운 물결이 여름 햇살에 금가루로 부서지고 섬에 갇혀 파도마저 잠든 여기는 天使들의 정원이다. 유유히 떠가는 船客은 새로운 모습에 소스리치고 常夏의 나라에서 느낀 소감은 죽어서도 이곳에 와 살고 싶을 뿐이다.
-
올게심니-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09. 11. 11. 15:48
감을 구하러 정림동 초록정원님 집에 갔다. 그녀의 집은 시내를 벗어나지 않은 변두리에 있는데집 주위에 감나무가 몇 그루 있다. 그녀는 농사꾼 남편과 시어머니를 모시고 사는 마음씨 고운 시골 아낙이다. 사내들의 이기적인 눈으로 보니 착하고 곱지 그게 어디 쉬운 일인가. 이 고달프고 팍팍한 인생에서 중요한 건 뭐?그래서 글쓰는 재주도 있고 블로그를 운영할 정도로 현대적 감각을 지녔다. 충격적인 건 사진 한답시고 SLR 들고 쫒아다니는 내보다 그녀의 콤퍼넌트 솜씨가 훨 낫다는거. 집 대문에 감나무 한 가지가 무른 홍시, 홍시 두 개가 걸려 있다. 홍시를 걸기 위해 대문에 대못을 뚝딱 박았을 터. 홍시를 건 이유는 분명 올게심니의 심정일 것이다.. 분명 그녀의 솜씨임에 틀림없을 아삭한 맛이다. 소박하고 애틋한 ..
-
동학사(東鶴寺)에서 만난 가을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09. 10. 27. 21:28
계룡산(鷄龍山)에 724년(성덕왕 23)에 통일신라의 승려 상원(上願)이 암자를 짓고 그 자리에 회의(懷義)가 청량사(淸凉寺)를 창건하였다. 신라가 망하자 920년(태조 3) 도선(道詵)이 중창한 뒤 태조의 원당(願堂)이 되었다. 936년신라가 망하자 대승관(大丞官) 유거달(柳車達)이 이 절에 와서 신라의 시조와 충신 박제상(朴堤上)의 초혼제(招魂祭)를 지내기 위해 동학사(東鶴祠)를 지었다. 그리고 사찰을 확장한 뒤 절 이름도 동학사(東鶴寺)로 바꾸었다.동계사(東鷄寺)라고도 하며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이 절의 동쪽에 학 모양의 바위가 있으므로 동학사(東鶴寺)라 하였다는 설과, 고려의 충신이자 동방이학(東方理學)의 조종(祖宗)인 정몽주(鄭夢周)를 이 절에 제향하였으므로 동학사(東學寺)라 하였다는 설..
-
이영도와 최계락문화 culture/문학 literature 2009. 10. 17. 22:32
청마(靑馬) 유치환(柳致環)이 통영여자중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있을 때 정운(丁芸) 이영도(李永道)가 가사교사로 부임하면서 두 사람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은 운명적으로 시작되었다. 아지랑이 / 이영도 어루만지듯 당신 숨결 이마에 다시하면 내 사랑을 아지랑이 춘 삼월 아지랑이 종다리 노오란 텃밭에 나비 나비 나비 나비 조카의 결혼식을 마치고 잠깐 부산 동래 금정산 금강공원에서. 구석봉과 이영순 http://ktk84378837.tistory.com/3501 김영랑 생가 http://ktk84378837.tistory.com/3826 김정한 생가 http://ktk84378837.tistory.com/5380 김현승 시비 http://ktk84378837.tistory.com/4446 김환태문학비 http:..
-
옥천 이지당(二止堂)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09. 10. 7. 13:44
이지당(二止堂)은 옥천 옥각리에 있는 서당이다.본래 각신리에 있어 각신서당(覺新書堂)이라 하였다.현판은 조선 중기 이 고장 출신의 성리학자 조헌(趙憲)이 썼다.중봉 조헌은 율곡 이이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일으켜 싸웠으나 금산전투에서 순국하여 일명 칠백의총에 묻혀 있다.이지당(二止堂)이란 이름은 우암 송시열이 지었다. 21년 보물 2107호 지정. 시전(詩傳)》에 있는 ‘고산앙지 경행행지(高山仰止 景行行止)’, 즉 ‘산이 높으면 우러러 보지 않을 수 없고 큰 행실은 그칠 수 없다’ 라는 뜻의 문구에서 끝의 ‘지(止)’자를 땄다.조헌의 묘가 있는 안내면에서는 중봉충렬제가 해마다 열려 그의 정신을 기리고 있다. 아래 시는 최근 발견된 조헌의 율원구곡시(栗原九曲詩) 중 제3곡 이지당을 읊은 시이다. ..
-
솟대로 변한 짐대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09. 9. 18. 09:46
삼한시대에, 천신[天神]에게 제사를 지내던 성지[聖地].가 있다.여기에 신단[神壇]을 설치하고, 그 앞에 방울과 북을 단 큰 나무를 세워 제사를 올렸다.죄인이 이곳으로 달아나더라도 잡아가지 못하였다.솟대는 사찰의 당간을 뜻하기도 하지만 지역민들이 쓰는 말로는 짐대라고 한다.소도에서 솟대가 기원했다는 말은 학문하는 사람들 이야기라고 한다. 짐대에 관련된 재미난 얘기 한토막. 고려속요 [청산별곡]에 “가다가 가다가 듣노라, 사슴이 짐대에 올라 해금을 켜거늘 듣노라.” 는 여러가지 해석을 낳는다. 하나는 짐대를 당간으로 보아 사슴 탈을 쓴 광대가 당간에 올라가 켜는 해금 소리를 듣는다고 해석한다. 다른 하나는 짐대를 솟대로 보아 장대 끝에 올라가 있는 목각 기러기를 활유법을 써서 새의 노래소리로 듣는다고 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