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
울릉장구채 Silene takeshimensis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24. 8. 30. 21:31
울릉장구채 Silene takeshimensis Uyeki & Sakata. 석죽과의 다년초. 울릉도의 바위틈에서 자라는 우리 나라 특산종의 하나로 키가 50㎝ 자라고, 목질화한 굵은 뿌리가 옆으로 자라며 그 끝에서 많은 원줄기가 모여서 나온다. 잎은 마주 달리고 좁은 피침형(披針形)이다. 꽃은 8월에 피고 희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달려서 원추화서(圓錐花序)다. 꽃받침은 원통형이고 길이 8㎜ 정도로서 10맥이 있고 끝이 5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5개이고 쐐기형이며 끝이 2개로 갈라졌다. 열편은 길이 2㎜ 정도이고 현부는 길이 4㎜이다. 삭과(蒴果)는 타원형이며 길이 7㎜ 정도로서 꽃받침 안에 길이 3㎜ 정도의 대가 있다. 세종수목원.
-
제비동자꽃 Lychnis wilfordii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24. 8. 30. 13:35
제비동자꽃 Lychnis wilfordii, 석죽과의 다년초. 높이 80cm.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마주 달리고 자루가 없으며 바소꼴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짙은 홍색이며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포는 선형 또는 선상 바소꼴이고 작은꽃줄기에 황갈색 털이 있다. 꽃받침은 통처럼 생기고 5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5개로서 윗부분이 잘게 갈라지고 후부에 비늘조각이 2개씩 있다. 수술은 10개, 암술머리는 5개이고 씨방은 긴 타원형이며 열매는 삭과(蒴果)로 9월에 결실한다. 끝이 5개로 갈라진다. 동자꽃같이 생겼으나 꽃잎의 형태가 제비꽁지처럼 생겼으므로 제비동자꽃이라고 한다. 대관령 이북 풀밭에 분포하며 멸종위기 야생식물 2급이다. 세종수목원.
-
구름패랭이꽃 Dianthus superbus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24. 7. 4. 23:00
구름패랭이꽃 Dianthus superbus var. alpestris, 중심자목 석죽과의 다년초. 이명 홍구표, 구표, 대석죽(大石竹), 구름술패랭이꽃, 참대나물. 높이 1m. 높은 산의 돌밭에서 자란다. 잎은 줄 모양으로 마주나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은 줄기를 싼다. 7∼8월에 연한 홍색 꽃이 줄기 끝에 피는데 꽃받침은 긴 원기둥 모양으로 길이 3cm 정도이고 앞쪽이 5갈래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바소꼴이다. 꽃받침 밑의 작은포는 4조각으로 좁고 길다. 꽃잎은 5조각이고 수술은 10개, 암술머리는 2개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원기둥 모양이고 끝부분이 4가닥으로 갈라져 9월에 열린다. 술패랭이꽃에 비하여 높이가 낮고 꽃은 크다. 안질, 이뇨, 회충, 치질, 생선 가시가 목에 걸렸을 때 처방한다. 구름에..
-
카르투시아노룸 패랭이꽃 Dianthus carthusianorum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24. 6. 4. 21:06
카르투시아노룸 패랭이꽃 Dianthus carthusianorum 유럽중남부 석회암 원산. 석죽과의 내한성 강한 다년초, 키75cm. 무성한 잎 위로 길쭉한 꽃대가 올라오고 그 끝에 짙은 분홍색 꽃이 한 송이 핀다. 정향의 향 때문에 에센셜 오일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재배가 이루어져 왔다. 주로 고도가 높은 초원 지대에서 자라는 식물로 건조하고 볕이 드는 환경을 선호한다. 세종수목원.
-
디오이카장구채 Silene dioica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24. 5. 3. 17:59
디오이카장구채 Silene dioica, Melandrium rubrum, 유럽 원산. 석죽과의 다년초. 레드 캠피온, 레드 캐치플라이. 높이 90cm. 색이 화려하고 아름다운 꽃이 피기 때문에 관상용으로 사용된다. 잎과 줄기 모두 털이 있고 약간 끈적거린다. 수꽃은 수술 10개와 잎맥 10개, 암꽃은 암술대 5개, 꽃받침 20개다. 향은 나지 않는다. 이 식물의 꿀은 꿀벌과 나비 등에게 먹이가 되며, 잎은 여러 종의 나방에게 먹이가 된다. 세종수목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