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Animal/어패류 魚貝類 fish & shell
-
밴댕이 (소어 蘇魚) Sardinella zunasi동물 Animal/어패류 魚貝類 fish & shell 2024. 5. 27. 22:14
붉은 밴댕이가 아니라 붉은 천막에 얼비쳐 붉게 보이는 밴댕이. 제철이란다.밴댕이[蘇魚] Sardinella zunasi . 위어(葦魚)와 함께 주로 한강 유역에서 생산되며, 5월에 가장 맛이 좋다. 조선시대에는 궁중의 식자재를 담당하던 사옹원(司饔院)에서 경기도 안산 지역에 소어소(蘇魚所)를 설치하여, 진상할 소어(蘇魚)를 직접 관리하였다. 소어는 회나 구이·탕으로 먹었고, 젓갈 즉 밴댕이젓을 만들어 먹기도 하였다. 이응희(李應禧)는 『옥담사집(玉潭私集)』에서 단오절이 가까워 오자 어시장에 소어가 가득 나와 있는 모습을 묘사하면서, 소어는 상추쌈으로 먹으면 맛이 으뜸이고 보리밥에 먹어도 좋다고 하였다.1830년(순조 30)경에 쓰인 『농정회요(農政會要)』에서도 소어는 탕이나 구이 모두 맛이 좋지만, 회로..
-
홍어(洪魚) Okamejei kenojei동물 Animal/어패류 魚貝類 fish & shell 2024. 2. 10. 23:07
홍어(洪魚) Okamejei kenojei (Müller and Henle, 1841) =공어(䱋魚), 공어(魟魚), 가오리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체장 150cm. 몸은 마름모꼴이고 너비가 매우 넓다. 머리는 작고 주둥이는 돌출하였으며, 눈은 작고 분수공은 크다. 등의 중앙선에는 작은 가시가 있다. 몸빛은 등쪽은 갈색이고 배쪽은 백색이거나 회색이다. 명나라의 이시진(李時珍)은 연잎같이 생겼다고 했으며, 조선 인조의 3남 인평대군(麟坪大君)은 코끼리 귀를 홍어와 같다고 했다. 흑산도를 비롯한 전라남도가 유명한 생산지였으나 최근에는 군산에서 더 많이 잡힌다고 한다. 비슷한 가오리는 홍어과에 속하는데, 외형상 홍어는 마름모꼴, 가오리는 오각형에 가깝다. 군산. 식약처 洪魚 / 옥담(玉潭) 이응희(李應禧, 1..
-
코다리동물 Animal/어패류 魚貝類 fish & shell 2023. 7. 9. 21:16
코다리. 가공 상태에 따라 다양한 이름을 갖는 명태의 한 종류로 내장을 빼고 턱 밑에 구멍을 내어 겨울철 찬바람에 꾸덕꾸덕 반건조시킨 것을 이른다. 지방 함량이 낮고 쫄깃한 식감으로 그 맛이 일품이다. 완전히 말린 북어에 비해 촉촉하며 부드러운 식감을 가지고 있어 반찬으로 인기가 많다. 유성5일장. 재래시장의 코다리 / 김병손 바람이 오고가는 재래시장 좌판에 누워서도 바다를 버리지 못해 푸른 끈 입에 물고 하루를 또 하루를 더 기다리고 있는 코다리 가득 채워져 있던 시간들이 빠져나간 공제의 몸이던가 물속을 헤엄 칠 때마다 푸른 별 부서지는 소리를 냈던 가시가 간간이 들리는 상인의 소리를 통과 시키고 있다 쨍쨍한 해연풍에 달라붙어 작은 물살도 일으키지 못하는 까맣게 타버린 등지느러미 저 말라가는 코다리 속..
-
펄조개 anodonta woodiana동물 Animal/어패류 魚貝類 fish & shell 2022. 7. 21. 23:55
설핏 말조개인 줄 알았다. 펄조개 anodonta woodiana. 석패과 담수패류. 길이13cm. 뻘조개. 전체적으로 세모꼴에 가깝고 껍데기는 검은황갈색. 교치 없고 성장맥이 나타나며 매끈하고 광택을 띤다. 자웅이체이며 바깥아가미 수관안에서 체내수정한 후 유생이 된다. 유생은 여름에 발생하고 산란형이며 주로 물고기 지느러미나 아가미에 붙어 기생생활. 유생은 출수공에서 방출된다. 한중일의 진흙이 많은 연못에 산다. 민물조개에는 말조개, 펄조개, 민물삿갓조개, 두드럭조개, 칼조개, 멸종위기1급인 귀이빨대칭이, 재첩조개 등이 있다. 대청호. 말조개 / 박성우 지독한 가뭄이다 마른 강가에 말조개 한 마리가 입을 벌리고 있다 지가 무슨 황야의 말이라고 갈기도 없는 몸으로 달려온, 몸이 까맣다 벌어진 안쪽은 텅 ..
-
흰줄따개비 Balanus amphitrite동물 Animal/어패류 魚貝類 fish & shell 2015. 3. 10. 13:50
흰줄따개비 학명 Balanus amphitrite albicostatus, 완흉목(完胸目) 따개비과의 절지동물. 굴등이라고도 하는데 바닷가 암초나 말뚝, 배 밑 등에 붙어서 고착생활을 한다. 조무래기따개비, 검은큰따개비, 청홍따개비 등이 있다. 무창포. 흰줄따개비 http://ktk84378837.tistory.com/6347 감천동 http://ktk84378837.tistory.com/2456 따개비 / 정희경 갯바위 골목길에 도열한 거푸집들 감천동* 비탈길을 다닥다닥 옮겨와 하얗게 정지된 얼굴 해바라기 묵언 중 송곳 하나 꽂을 수 없는 숨 막히는 저 간격 그 틈새 햇살조각 푸새처럼 돋아날지 머물다 붙박이가 된 기다림의 변두리 돋보기로만 보이는 찰나 같은 물의 시간 긴 혀를 날름거려 짠물을 쿨럭이며 ..
-
참종개 Iksookimia koreensis동물 Animal/어패류 魚貝類 fish & shell 2015. 1. 2. 21:04
잉어목 기름종개과의 한국 고유의 민물고기. 학명 Iksookimia koreensis KIM. 민물고기에 관심이 많은 박찬빈선생은 본교 제자이기도 한데 유등천에서 종종 채집을 해와 보고 즐깁니다. 지난 여름을 돌이키니 납줄개, 송사리, 돌고기, 가재, 중태기, 미꾸리도 기억이 납니다. 지금은 참종개(?) 3마리와 다슬기 2마리와 새우 한 마리가 손바닥만한 수조에서 평화롭게 사육되고 있습니다. 기름종개ᆞ남방종개ᆞ동방종개ᆞ북방종개ᆞ참종개ᆞ왕종개ᆞ줄종개ᆞ좀수수꾸미 이외에도 여러 기름종개가 있습니다. 수수미꾸리는 볼가득 검은 반점이 있고 기름종개는 몸통이 가로무늬이며 만물고기처럼 여리고 순수하고 아름다운 마음씨를 가진 젊은이가 직장을 떠나게 되어 안타깝기 그지 없습니다. 인사철이 가까와지면서 기간제교사를 봐도 ..
-
구룡포 대게 giant snow crab동물 Animal/어패류 魚貝類 fish & shell 2013. 12. 16. 15:05
대게 giant snow crab. 학명 Chionoecetes opilio Fabricius, 1788. 긴집게발게과 대게속의 갑각류. 갑각은 나비 13~15cm, 둥근 삼각형으로 한국에서 나는 게 중 가장 크다. 다리가 길고 몸이 커서 맛이 좋으므로 중요한 수산자원이다. 이마에 솟은 돌기는 넓고 짧으며, 걷는다리의 마디는 납작하다. 일반적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크다. 한류성 게로 30~1,800m 깊이의 진흙 또는 모래바닥에서 산다. 대게 http://ktk84378837.tistory.com/5475
-
피라루쿠(pirarucu) = 파이체(Paiche)동물 Animal/어패류 魚貝類 fish & shell 2011. 1. 7. 22:45
대전아쿠아리움(djaquarium). 보문산 소재. 보문산에 유사시 행정기관이 대피할 수 있는 방공호를 개조하여 국내 최대의 동굴형 아쿠아리움을 열었다. 메인수족관은 32m X 10m X 4.58m로 단일 수조로는 세계 최대라고 한다. 작은 나라에서는 최대니 최초니 하는 말이 묘한 마력이 있나 보다. 개장 기념으로 대전 시민에게 14관 중 2관을 무료로 개방하였다. 공짜 손님이 물밀듯 밀려와 보문산공원 입구는 난리가 났다. 피라루쿠(pirarucu), 학명 Arapaima gigas, 오스테오글로숨목 오스테오글로시과의 세계최대 담수어로 보통 피라루쿠(pirarucu)라고 부른다. 아마존(Amazon) 원시부족 보라족의 말로는 파이체(Paiche)라고도 부른다. 대전아쿠아리움(djaquarium) 메인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