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culture
-
이문구 생가 탐방-문화 culture/문학 literature 2010. 5. 10. 10:33
이문구의 생가가 아니라 생가터에 새로 지은 건물이다.일락서산(日落西山)이라, 해가 지고 있다. 연작소설 관촌수필의 1부작 일락서산은 어휘가 어려워서 읽다 말았다. 아내는 어렵다 어렵다 하면서도 다 읽고 화무십일(花無十日)을 향해 가고 있다. 책 읽지 않는 국어 선생이라 ... 2010 수능 38-41번 문제가 이 화무십일에서 출제되었다. 대천문화원의 송하순 사무국장이 새로 구입한 소니 캠코더를 들고 나와 해설 겸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나중에 고마워서 대천문화원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 감사의 글을 남겼다.)먼 친척의 누나인 86세 할머니가 이 집을 지키고 있으나 이문구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고...인터뷰 하는 동안 내내 신나한 이는 최선생이다.이문구 소설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지만 생가 탐방은 처음이..
-
신동엽 생가문화 culture/문학 literature 2010. 5. 10. 10:29
박종진 곽부연, 설진영, 이웅용, 김황, 장동규, 오중근, 최석열, 강현철, 정윤기, 이형로 백마강변에 있는 시비. 구석봉과 이영순 http://ktk84378837.tistory.com/3501 김영랑 생가 http://ktk84378837.tistory.com/3826 김정한 생가 http://ktk84378837.tistory.com/5380 김현승 시비 http://ktk84378837.tistory.com/4446 김환태문학비 http://ktk84378837.tistory.com/4782 박재삼 시비 http://ktk84378837.tistory.com/3491 박용래, 김관식, 한용운 http://ktk84378837.tistory.com/3570 박범신 http://ktk84378837...
-
논산 관촉사(灌燭寺) 범종(梵鐘)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0. 4. 20. 09:32
관촉사. http://ktk84378837.tistory.com/1594 대조사 https://ktk84378837.tistory.com/58 범종 / 조지훈 무르익은 과실이 가지에서 절로 떨어지듯이 종소리는 허공에서 떨어진다 떨어진 그 자리에서 종소리는 터져서 빛이 되고 향기가 되고 다시 엉기고 맴돌아 귓가에 가슴속에 메아리치며 종소리는 웅 웅 웅 웅 ...... 삼십삼천을 날아오른다 아득한 것 종소리 우에 꽃방석을 깔고 앉아 웃음 짓는 사람아 죽은 자가 깨어서 말하는 시간 산 자는 죽음의 신비에 젖은 이 텅하니 비인 새벽의 공간을 조용히 흐르는 종소리 너 향기로운 과실이여! 속으로 우는 범종(梵鐘) -山寺의 새벽, 鐘樓 앞에서 / 김경배 구름에 안긴 달은 동지 밤이 짧기만 하고 새벽 예불 경(經)으로..
-
비 내리는 불국사(佛國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0. 3. 2. 21:37
불국사의 예배공간인 대웅전과 극락전에 오르는 길은 동쪽의 청운교와 백운교, 서쪽의 연화교와 칠보교가 있다. 청운교와 백운교는 대웅전을 향하는 자하문과 연결된 다리를 말하는데, 다리 아래의 일반인의 세계와 다리 위로의 부처의 세계를 이어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전체 34계단으로 되어 있는 위로는 16단의 청운교가 있고 아래로는 18단의 백운교가 있다. 청운교(靑雲橋)를 푸른 청년의 모습으로, 백운교(白雲橋)를 흰머리 노인의 모습으로 빗대어 놓아 인생을 상징하기도 한다. 계단을 다리형식으로 만든 특이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오르는 경사면을 45°각도로 구성하여 정교하게 다듬었다. 다리 아래는 무지개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직선으로 딱딱해졌던 시선을 부드럽고 생동감있게 풀어주고 있다. 다리가 있는 석축..
-
감은사지(感恩寺址) 3층석탑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0. 3. 2. 21:32
감은사지는 그 유명한 문무왕 해중릉이 있는 감포 바닷가가 아련히 바라 보이는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용당산 자락의 높직한 언덕에 펼쳐진 옛 절터이다. 흔히 감은사는 문무왕의 아들 신문왕이 삼국통일의 위업을 이룬 제 아버지의 은덕을 기리기 위해 지은 절로 알려져 있으나 절을 착공한 것은 문무왕 자신이었다. 삼국통일의 위업은 이루었지만, 나라 땅 곳곳에서 노략질을 일삼는 왜구를 섬멸하지 못하고 죽게 된 것을 안타까워한 나머지 죽어서도 용(龍)이 되어 왜구로부터 나라를 지킬 것을 서원하고 그 원을 이루기 위한 원찰(願刹)로 감은사를 착공했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는 감은사는 ‘왜병을 진압하고자 (欲鎭倭兵)’하는 문무왕의 염원을 담아 지은 호국의 거찰인 셈이다. 현재 이 절은 동서로 마주보고 있는 우람한 3층 탑..
-
양동한옥마을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0. 3. 2. 21:28
전주한옥마을 http://ktk84378837.tistory.com/2524 http://ktk84378837.tistory.com/3141 http://ktk84378837.tistory.com/3142 http://ktk84378837.tistory.com/3143 http://ktk84378837.tistory.com/3716 http://ktk84378837.tistory.com/5454 양동민속마을 http://ktk84378837.tistory.com/1685 외암민속마을 http://ktk84378837.tistory.com/2495 양동리 마을 / 김은결 동여 맨 진달래 붉은 앞가슴 살며시 들추어 놓고 까르르 저 혼자 온 산허리를 다 웃어넘기던 봄바람 산머루넝쿨 연한 잎새 위에 다문다문 잔..
-
여수 거문도 등대-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0. 2. 12. 12:30
어둠이 걷히기 전 가이드 안내로 좇아올라간 곳은 등대.등대 일출을 겸한 관람을 기대했는데 구름 한 점 없던 어제의 상황과는 다르다.사진가 입장에선 어제 오후의 백도 유람과 바뀌었으면 어땠을까도 생각해 본다.오른쪽은1905년에 준공되었다는 6.4m의 구등대이며,왼쪽은 2006년 준공된 33m의신등대다.128m의 수월산 끝자락에 위치하여 망망대해의 길잡이를 하고 있다.역사성과 예술성으로 2006년 12월 등대문화유산 제17호로 지정되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것은 구등대겠다.오르는 길부터 낯익어 생각해 보니아하,얼마전에 방영되어 재미나게 보았던 촬영지였다.월류봉도 그렇거니와 우연찮게 팀을 따라다닌 꼴이 되었다.우리나라 최초의 등대는 포항의 팔미도 등대로 2005년산.세계 최초의 등대는 놀랍게도 기원전 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