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통발과 Lantibulariaceae
-
참통발 Utricularia tenuicaulis초목류 wild flower/통발과 Lantibulariaceae 2014. 8. 15. 22:07
참통발 Utricularia tenuicaulis. 통발과의 여러해살이 식충식물. 통발은 물이 흐르는 곳에 설치하는 어구를 말하는데, 연못이나 논에 자라며 뿌리줄기에 둥근 포충낭을 여러 개 두어 벌레를 잡아먹는다. 다른 식충식물이 공기 중에서 벌레를 잡는 것에 비하면 매우 독특하다. 참통발은 꽃줄기가 꽉 차 있어서 꽃줄기가 빈 통발과 비교된다. 우리나라에 있는 것은 대부분이 참통발이다. 키는 10~30㎝로 통발보다 약간 크다. 8~10월에 4~7개의 꽃이 밝은 노란색으로 핀다. 길이 10~30㎝의 꽃줄기가 물 밖으로 나와 달리고, 작은꽃줄기는 꽃이 진 다음 꼬부라지며 길이는 1.5~2.5㎝이다. 과실은 성숙하지 않는다. 통발 https://ktk84378837.tistory.com/3872 참통발 htt..
-
벌레잡이제비꽃 모라넨시스 moranensis초목류 wild flower/통발과 Lantibulariaceae 2014. 6. 27. 13:55
벌레잡이제비꽃 '모라넨시스' Pinguicula vulgaris L. var. macroceras Herder 통발과 벌레잡이속의 다년생 고산식물. 꽃부리가 제비꽃과 비슷하여 이름붙었다. 벌레잡이오랑캐. 식충제비꽃. 영명 Butterwort. 높이 5~15cm. 잎의 양면에 작은 샘털이 밀생하여 점액을 분비하여 작은 벌레를 잡는다. 끈끈이 액이 벌레를 붙잡고 있으면 30분쯤 후에 강한 산성의 소화액이 나와 소화를 하게 된다. 잎이 자주빛이 돌고 꽃이 붉은 홍색 꽃이 7월에 핀다. ○모라넨시스(Thoranensis, Pinguicula-moranensis); 꽃대가 짧고 꽃색이 짙은 편이며 잎이 밑부분은 좁고 끝부분이 넓으며 둥그스럼하다. ○기간모테(Giganmocte); 잎이 좁고 길쭉하며 잎끝이 뾰족하..
-
벌레잡이제비꽃 아그나타 Pinguicula agnata초목류 wild flower/통발과 Lantibulariaceae 2008. 2. 26. 22:27
벌레잡이제비꽃 아그나타 Pinguicula agnata.벌레잡이오랑캐. 식충제비꽃. 학명 Pinguicula vulgaris var. 유럽 원산. 통발과 벌레잡이속의 다년생 고산식물. 꽃부리가 제비꽃과 비슷하여 이름붙었다. 높이 5~15cm. 잎의 양면에 작은 샘털이 밀생하여 점액을 분비하여 작은 벌레를 잡는다. 꽃잎은 두 개의 아랫입술과 세 개의 윗입술로 정렬되고, 꽃받침은 다섯 개의 수술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벌레잡이제비꽃들은 황색, 녹색, 붉은 색조와 푸른 보라색, 흰색이다. 끈끈이 액이 벌레를 붙잡고 있으면 30분쯤 후에 강한 산성의 소화액이 나와 소화를 하게 된다. 난초의 해충퇴치용 종묘로 상업화되어 있고, 스웨덴의 식물학자 린네(Linnaeus)에 의하면소의 염증 치료를 촉진하며, 우유 ..
-
통발 Utricularia vulgaris초목류 wild flower/통발과 Lantibulariaceae 2007. 8. 22. 23:12
통발 Utricularia vulgaris Linnaeus. 통발과의 여러해살이 수생식물. 뿌리는 없다. 수중엽은 3-5㎝, 가늘게 차상으로 갈라지고 직경 1- 1.5㎜의 포충낭을 가지고 있다. 열편은 평면상으로 배열하고 수면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수중경은 길게 신장함. 화축은 물 밖으로 나오고 높이 7-10 ㎝, 꽃은 4-7개가 달림. 꽃은 황색, 순형, 직경 1.5㎝, 꽃받침은 304㎜길이, 거(距)는 위쪽으로 굽으며 하순은 넓게 퍼짐. 비늘 모양의 탁엽은 2-3㎜, 막질 화경은 길이 1.0-1.5㎝, 꽃이 진 후 밑으로 늘어진다. 7-8월 개화. 통발은 토종 수초로 알려져 있는데 고기잡는 어구인 통발을 닮았는 모양이다. 통발은 가는 댓살이나 싸리 등으로 엮어서 통같이 만든 고기잡는 도구다. 아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