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
경주향교 慶州鄕校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4. 10. 6. 19:43
경주향교 우물 총명수, 향교가 세워지기 전부터 있었던 신라시대 우물로 분황사 우물에 버금가는 규모다. 원효와 요석이 인연을 맺어 설총을 낳은 요석궁(瑤石宮) 자리이며 설총이 이 물을 마시고 대학자가 되었다고 총명수(聰明水)라 하였다.대성전명륜당월령교에서 본 경주향교(慶州鄕校), 경주시 교동에 있으며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이다. 창건연대는 불확실하고 신라 신문왕 때 국학(國學)-고려때 학원(學院)-조선에 향교로 이어졌다. 나주향교(羅州鄕校)와 함께 향교 건물 배치의 표본이 된다. 임진란 이후 여러 중수과정을 거쳤다.내물왕릉(奈勿王陵), 신라의 제17대 왕. 356년 4월 내물왕대부터 912년 4월 제52대 효공왕대까지 556년간[9] 이어지는 경주 김씨 왕조의 시작점이 되는 왕이었고, 신라 왕조의 중시조에..
-
창평향교(昌平鄕校)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4. 8. 26. 15:33
창평향교의 외삼문 전면과 후면창평향교(昌平鄕校)는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교산리 언덕배기에 우뚝 가파르게 서 있다. 1399년(정종 1)에 창건되고 1479년(성종 10)에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고, 1689년(숙종 15)에 현령 박세웅이 대성전과 명륜당을 대대적으로 수리하였다. 향교 건물 2동이 국가보물로 지정된 것은 창평향교가 유일하다며 해설에 진지한 전교(典校)명륜당의 홑처마대성전에서 본 명륜당과 마주 보는 동서재의 문. 창평향교 명륜당. 정면 4칸, 측면 3칸(우측면은 2칸) 규모의 맞배지붕이며, 양 박공 면에 풍판을 설치하지 않아 목구조가 잘 드러나 보이고, 대성전을 향하는 전면이 창호 없이 모두 개방되어 있는데 이는 호남지방 향교에서는 보기 드문 사례임. 명륜당 부재의 짜임은 기둥머리에 헛첨차..
-
구례 운조루 고택(雲鳥樓 古宅)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4. 6. 25. 16:01
행랑채 지붕 너머 위성류가 거센 남녘바람에 한쪽으로 쏠리며 괴성을 지르고 있다. 위성류 渭城柳 Tamarix chinensis 제비꽃목 위성류과의 소교목, 중국 원산 높이 5m. 잎은 어긋나고 바늘같이 가늘며 길이 1∼3mm로서 작다. 끝이 뾰족하고 가지를 둘러싸며 잿빛을 띤 녹색이다. 가을에는 작은가지와 함께 진다. 꽃은 1년에 2번 연한 분홍빛으로 피는데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맞아, 초여름을 뜨겁게 달구는 기생초는 어우동인지 계월향인지 호랭이 담뱃대 물던 옛날 얘기가 되어버린 천원지방(天圓地方)운조루雲鳥樓, 이름 참 멋지다. 도연명의 '귀거래사'에서 머릿글자만 따온 말로 추정한다. 구름 속에 새처럼 숨어 사는 집이란다. 雲無心以出岫 (운무심이출수) 구름은 무심히 산골짜기에 피어 오르고 鳥倦飛..
-
함양 남계서원과 청계서원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4. 5. 22. 21:08
한국의 서원이란 이름으로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9곳 중 아직까지 기회가 없었던 함양의 남계서원을 비로소 이번에 탐사하게 되어 너무 기쁘고 내내 설레었다. 등재된 9개 서원은 소수서원(1543), 남계서원(1552), 옥산서원(1573), 도산서원(1574), 필암서원(1590), 도동서원(1605), 병산서원(1613), 무성서원(1615), 돈암서원(1634)다.남계서원(濫溪書院), 정여창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 지방민의 유학교육을 위하여 조선 명종 7년(1552)에 지었다. 명종 21년(1566)에 나라에서 ‘남계’라는 사액을 내려 공인과 경제적 지원을 받게 되었다. 정유재란(1597)으로 불타 없어진 것을 선조 36년(1603)에 나촌으로 옮겨 지었다가, 광해군 4년(1612) 옛 터인 지금의 위..
-
함양 개평마을과 일두고택(一蠹古宅)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4. 5. 21. 16:40
개평이라는 지명은 두 개울이 하나로 합쳐지는 지점에 마을이 위치해 ‘낄 개(介)’ 자 형상을 하고 있다 하여 유래되었다. 또한 마을 앞에 넓은 들판이 펼쳐져 있어 ‘개들’이라고도 불린다. 이 마을에도 방치되어 있는 빈집이 꽤나 있다. 매실나무 아래 돌담장엔 이끼, 담쟁이, 돌나물, 노박덩굴이 서로 뒤엉켜 알콩달콩 살아간다,첫번째 만난 탐사지는 풍천노씨의 시조 노숙동이 1820년대에 지은 풍천노씨 대종가(豊川盧氏大宗家, 문화재자료 제 343호)이다.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전·후 퇴를 두었으며 5량 구조에 합각지붕 형식이다. 종도리에 공탄(孔誕) 2376(二三七六)년이라는 기록을 통해 조선 순조 24년(1824)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약 70년전 중수했다. 정면 기단을 약 80㎝ 정도의 높이로 ..
-
옥산서원 독락당 그리고 정혜사지 13층석탑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4. 4. 28. 23:42
거친 참나무를 휘감아 오르는 부드러운 느티나무는 계곡의 구비와 같다서원 입구옥산서원의 정문 역락문(亦樂門), 논어의 첫 부분 구절인 '벗이 먼 곳으로부터 오는 것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有朋而自遠方來 不亦樂乎)'에서 따 지었다. 이는 도산서원의 역락서재와 같다. 구인당에서 본 무변루(無邊樓) 1572년 정면 7칸, 측면 2칸의 중층 문루로 건립되었다. 위치 변동이 없이 경상도 유림이 힘을 모아 건립하고 그 이후에도 중건 중수를 지속하여 왔다 비 훼철 사액서원의 초기 문루로서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있어 보물 2171호로 지정되었다. 무변루 좌우에 설치된 뜬구들-온돌(溫突 또는 溫堗, 구들)의 발상전환인 필로티구조인 것이다, 가까이는 옥천의 옥천향교와 김천의 방초정에서도 볼 수 있는데, 온돌은 아궁이에서..
-
양동마을 관가정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4. 4. 27. 13:51
양동마을 손종로정충비각(孫宗老旌忠碑閣)(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61호). 조선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시 순절한 손중로(1598-1636)와 노비 억부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정조7년(1783)에 왕명으로 세운 비각이다. 비각 안에는 손종로의 정충각과 충노억부의 정려각이 나란히 세워져 있다. 뒤로 관가정이 보인다.천년목의 사즉생모란은 이제 5월에 피지 않는다팽나무아로니아관가정 대문과 담은 예전에 없다가 후에 세웠다. 관가정(觀稼亭) 보물 442호. 조선 성종 때의 청백리인 우재(愚齋) 손중돈(孫仲暾, 1463~1529)의 고택이자 손씨 문중 종택으로 중종9년(1514)에 건축.. 양동마을 입향조인 송재(松齋) 손소(孫昭)의 차남이지만 맏형이 결혼하면서 마을을 떠나자 대종가가 되었다. 20세기 초에 ..
-
쌍청회관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3. 10. 22. 14:50
좌로부터 송갑조신도비, 송유묘표, 송갑조후기비 수옹 송갑조신도비 宋甲祚, 비문의 찬자(撰者)는 3남 송시열(宋時烈, 1607~1689), 서자(書者)는 종제(宗弟) 송준길(宋浚吉 1606~1672), 두전(頭篆)은 김수항(金壽, 1629~1689)이 하였다. 쌍청당(雙淸堂) 송유(宋愉, 1389~1446) 묘표(墓表), 비문의 찬자(撰者)는 김상헌(金尙憲, 1570~1652), 서자(書者)는 김집(金集, 1574~1656), 두전(頭篆)은 송준길(宋浚吉, 1606~1672)이 하였다. 송명의 때부터 회덕에 정착였다. 송극기의 아들이며 송유 때부터 송촌(宋村)이 유래했다. 수옹(睡翁) 송갑조후기비(宋甲祚, 1574-1628) 최립(崔岦)의 문인이며 송응기(宋應期)의 아들이며 송시열 부친이다. 후기비는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