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
이상룡 생가와 탑동고택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7. 11. 8. 23:06
1925년 임정시 이승만이 탄핵되고 난 후 국무령제로 고친 뒤 5개월간 초대 국무령을 지낸 독립투사 석주 이상룡의 생가. 현존하는 살림집 중에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원래는 99칸의 집이었다고 하나 지금은 70여 칸만 남아 있다. 그 이유인즉 이상룡이 가산을 모두 처분하여 만주로 망명하고 신흥무관학교를 세우는 등 독립투쟁에 매진하자 일제가 이 기운을 끊어버리겠다고 가운데로 철길을 놓으면서 훼손된 것이다. ㅁ 자 구조의 건축양식에 대해 입에 침이 마를 정도의 찬사를 하는 교사 출신의 해설가. 마당 안쪽에 보이는 우물방은 진음수가 나는 용천이 바로 방밑에서 솟는다고 하여 불리는 이름이다. 천지의 기운이 모인다는 우물방에는 여러 명의 정승이 난다는 속설이 전해지고 있다. 실제로 이상룡 선생을 비롯하여 임..
-
세계인어울림한마당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7. 11. 4. 22:13
카타르인 아이샤(‘Ā’ishah)와 귀여운 그의 아들. 영국인 제이슨과 태국인 룽나파 부부의 흥겨운 한 때. 전통의상을 한 덕에 룽나파의 YTN인터뷰가 이루어졌다. http://www.yonhapnewstv.co.kr/MYH20171029009500038/?did=1825m 유명인사가 되어 사인에 인증샷에 바쁜 룽나파. 한국계 미국인 김운석과 브라질인 이기만. 오전에 이미 다녀간 멕시칸 루시와 남친. 무릎에 앉힌 귀염둥이 아가도 전통춤 가락에 흥겨워하며 엉덩이를 들썩들썩. 어느 나라에서 온 아이지? 외국인들을 홀딱 반하게 만드는 너무너무 아름다운 부채춤. 시청사가 뒤로 우뚝하다. 우리나라 관공서 건물은 어마어마해야만(?) 정치가 잘 되고 백성이 행복하다. 엄마는 가게를 봐야하고 아이는 하루종일 심심하고 ..
-
목신제 木神祭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7. 9. 1. 20:36
고리실(괴곡동) 마을풍물단.의 사전행사 서구문화원 가야금연주단의 사전행사. 예술단의 난타공연. 봉사하러 나온 마을 주민들도 신명이 났다. 목신제 앞좌석을 차지한 내빈. 서구청장, 시의원, 구의원 등 고리실 이장님의 행사 소개말. 제사가 시작되었다. 서구청장이 술을 올렸다. 돈봉투를 넙죽 넙죽 잘도 받아먹는 돼지머리. 고리실마을 최연장자(97세) 할아버지도 무릎을 꿇고 술을 올렸다. 예술단의 부채춤. 마을 어르신들. 이 마을 출신 가수의 친구들에 둘러싸인 축하 공연. 하모니카 연주자 옆에서 술 한 잔 걸친 이 마을 아저씨는 흥에 겨워 옥수수를 불어댔다. 흥겹지만 웬지 서글픈 품바 공연. 끝까지 자리를 지켜준 백발의 마을 어르신들. 다른 목신제가 정월 대보름에 행하는데 이곳 대전지역 유일한 서구 괴곡동 느티..
-
삶이 찾아가는 마지막 집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7. 9. 1. 19:13
나주 복암리 고분전시관. 영산강 세력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제 목: 1500년전 영산강 제국의 블랙박스, 3m옹관을 판독하라. 2. 담당 PD: 장 영 주 PD 3. 방송 일시: 2001년 9월 22일 (토) 20:00-21:00..... KBS 1TV 4. 주요내용 전남 나주시 반남면에는 50여기의 정체를 알수 없는 고분이 늘어서 있다. 덕산리 3호분의 경우 폭 50미터 높이 9미터 규모. 신라의 왕릉에 비해서도 결코 작은 편이 아니다. 이 고분의 특징은 무덤속에 대형옹관을 부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옹관을 사용하는 대형고분의 존재는 한국고대사 최대의 미스테리로 남아 있다. 지난 8월 19일 년 전남 나주시. 공원묘지를 만들기 위해 흙을 깍아 내던 중 대량의 옹관 ..
-
루치아의 뜰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7. 1. 26. 22:47
공주시 중동 171-2 공주풀꽃문학관에서 나태주씨를 만나지 못하고 쓸쓸히 돌아나오다가 한옥 카페 루치아의 뜰에 발을 들였다. 이 집과 어떤 인연으로 맺어진 우정인지 나태주 시인도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그 골목길' 같은 시들이 여기저기 놓여 있고 걸려 있다. 루치아는 이 집 안사장인 석미경씨의 영세명이고 남편되는 요한 박인규씨와 한참을 이야기할 수 있는 행운은 한가한 평일이었기 때문이다. 향기로운 루치아는 차를 나르고 요한은 손수 만든 초콜릿을 맛보란다. 루치아의 뜰 – 나태주 오래 묵은 시간이 먼저 와서 기다리는 집 백년쯤 뒤에 다시 찾아와도 반갑게 맞아줄 것 같은 집 세상 사람들 너무 알까 두렵다.
-
민족종교 수운교(水雲敎)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6. 12. 29. 22:39
재단법인 수운교(水雲敎). 수운교는 동학을 일으킨 수운 최제우를 교조로 하여 하느님을 숭배하는 종교로, 수운천사(일명 李崔出龍子이최출룡자)를 교주로 삼고 있다. 한때 교세가 왕성하여 서울에 본부를 두었으나 교조 문제로 천도교와 의견 차이가 생겨나, 1925년에 충남 대덕군 탄동면 추목리 금병산 기슭으로 이전하였다. 시천교(侍天敎) 역시 1906년 이용구가 설립하였으나 친일성향이 보여 손병희와 대립하다 출교당하였다.기본교리 강령은 유·불·선의 원리를 합일하여 포덕천하(布德天下)·광제창생(廣濟蒼生)·보국안민(輔國安民)함으로써 동서양이 합덕되는 용화세계, 지상천국을 건설하자는 불천심일원(佛天心一圓)을 종지로 한다. 불천심일원이란, 하늘의 마음은 곧 하나이면서 원만구족한 무극대도임을 나타내는 말이다.이 도는 우..
-
구완동청자가마터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6. 12. 23. 22:10
대전기념물 제34호. 대전기념물 제35호. 보문산. 대전기념물 제5호 김익희 묘소 http://ktk84378837.tistory.com/6768 대전기념물 제10호 보문산성 http://ktk84378837.tistory.com/3567 http://ktk84378837.tistory.com/5488 http://ktk84378837.tistory.com/7282 대전기념물 제19호 노고산성 http://ktk84378837.tistory.com/7355 대전기념물 제35호 구완동청자가마터 http://ktk84378837.tistory.com/7941 대전문화재자료 제7호 김반 김익겸묘소 http://ktk84378837.tistory.com/6585 대전문화재자료 제8호 창계 숭절사 http://k..
-
영상기자재전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6. 5. 9. 16:45
서울 코엑스. 그제 인터넷쇼핑을 거친 여행용 수퍼줌렌즈 탐론28-300mm를 장착하고 25회 영상기자재전 관람에 나섰다, 손떨림방지가 되어 있어도 비 내리는 어두침침한 서울의 거리와 실내 전시장에서 F3.5-6.3 렌즈를 쓰기란 유쾌한 일이 아니다. 모든 종의 신구제품이 쏟어져 나와 파격적인 할인공세를 폈지만 대박이 나 없어서 못 파는 28-300은 나올리 리 만무했다. 540g의 날렵함에 색감도 이만하면 됐고 가격대비 병행 60-70만원대, 썬포토 정품 80-90만원대로는 쓸만한 물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