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
보문산성(寶文山城) 장대루(將臺樓)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6. 4. 26. 20:46
보문산 남쪽 해발 406m의 산 정상부에 테를 두르듯 돌로 쌓아 만든 테뫼식 석축 산성으로 백제시대 말기 신라와 치열한 전투를 하던 시기에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적심방법(積心方法, 돌채움)으로 쌓은 성벽인데 테뫼인지 퇴메인지 테미인지 모르겠다. 산성 아랫마을에 테미고개가 있는데 삼테미(삼테기의 비표준어)를 닮아서 그리 부른다는 말도 들었다. 보문산성의 둘레는 300m 정도로 규모는 작지만, 인근의 산성들과 쉽게 연락을 취할 수 있는 지형적 조건을 갖추어 전략상 중요한 요충지이다. 성벽은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대부분 흙을 깍아내고 바깥쪽에만 적심방법을 사용하여 돌을 쌓아 만들었으나, 동남벽은 다듬은 돌을 안팎으로 쌓고 가운데 부분에는 돌을 채우는 수법을 사용하였으며, 동북부 급경사면은 자연 지세를 그대로 ..
-
수암골2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6. 2. 29. 22:53
소전리 http://ktk84378837.tistory.com/5493 대동산1번지 http://ktk84378837.tistory.com/3511 수암골 http://ktk84378837.tistory.com/1347 http://ktk84378837.tistory.com/1348 http://ktk84378837.tistory.com/7155 감천동 http://ktk84378837.tistory.com/2456 골목 / 이정록 손으로 코를 막고 죽고 싶었다 생애 끝까지 참고 싶었다 괄호를 닫고 싶었다 죽는 것만은 내 맘대로 하고 싶었다 눈물이 났다 대갈통이 양은냄비처럼 끓어올랐다 온몸이 양은냄비 노란 뚜껑처럼 들썩거렸다 태초처럼 콧방귀가 터졌다 참을 수 없이 살고 싶어졌다 세상이 나 때문에 숨을 쉰..
-
청주 상당산성 上黨山城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6. 2. 29. 22:28
청주 산성동에 소재한 사적 212호 상당산성. 계족산성 http://ktk84378837.tistory.com/4007 http://ktk84378837.tistory.com/2496 http://ktk84378837.tistory.com/394 공산성 http://ktk84378837.tistory.com/7105 보문산성 http://ktk84378837.tistory.com/3567 상당산성 http://ktk84378837.tistory.com/7153 백제시대 토성을 숙종42년 1716년에 석성으로 개축하였다. 백제시대에 청주목(淸州牧)이 상당현(上黨縣)이라 불렸고, 숙종 때 축성기록에 ‘上黨基址 改石築(상당기지 개석축)’이라는 기록이 이를 뒷받침한다. 성벽은 비교적 잘 남아 있으나 성벽 위에 ..
-
천안삼거리공원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5. 11. 30. 11:53
충청 전라 경상 삼도를 잇는 교통의 요충지 천안삼거리를 기념하는 공원. 천안삼거리 유래비. 능수에 관련된 설화는 설화이므로 여러 가지가 전한다. http://cheon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cheonan&dataType=01&contents_id=GC04502237 전라도 고부(高阜)의 양반인 박현수가 과거를 보러 상경하는 길에 도적을 만나 두들겨 맞고 도망쳐 와 천안 삼거리 주막에서 머물게 되었다. 박현수는 주막집 수양딸인 능소가 극진히 간호하여 준 덕분으로 건강을 추슬러 한양으로 과거를 보러 갔다. 과 거에 급제를 하니 박현수에게 여러 관리들이 중매를 넣었지만 박현수는 능소와 한 약속을 지키기 위해 모두 거절했다. 천안으로 돌아간 박현수는 능소와 재회한 뒤 본가..
-
창덕궁 昌德宮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5. 11. 16. 15:45
창덕궁 정문인 돈화문.조선 왕조의 정궁인 경복궁은 태조의 작품이고 이궁인 창덕궁은 태종의 작품이다.형제의난을 일으킨 태종이 집권하자 경복궁으로 들어가기가 부담스러워 이궁을 지은 것이다.경복궁처럼 각지고 인위적인 느낌이 들지 않아 좋다. 창덕궁의 중문인 진선문. 오른쪽 외행각에 호위청이 보이고 한 걸음 더 가면 상서원이 붙어 있다. 왼쪽으로는 인정전의 남문인 인정문이 보이는데 태종 때 세웠으나 임란때 소실되고,광해군 때 중건했으나 화재로 소실되고 다시 중건한 것이 1745년으로 이는 보물 813호이다. 인정문을 들어서니 경복궁의 근정전, 창경궁의 명정전과 함께 조선왕조 궁궐의 세 정전(正殿) 중 하나인 인정전이 장엄하나 단촐한 모습을 보여준다.법전인 이곳에서는 왕(연산군, 효종, 현종 ,숙종, 영조,..
-
성읍민속마을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5. 11. 8. 18:43
남문 입구엔 때늦은 메밀꽃이 바람에 일렁이고... 천연염색재로 만든 중절모의 그윽한 자태. 그 유명한 똥돼지는 모형으로... 흙돌담이 정겹기는 하지. 낙엽 과실수보다는 상록 담팔수가 보기 좋다. 마당에 깔판을 깔고 콩수확을 하는 아낙. 정겨운 돌담을 타고 넘는 담쟁이. 정의현 객사는 평대문이다. 평대문을 들어서면 넓직한 마당에 객사가 두 날개를 활짝 펴 맞이한다. 전주한옥마을 http://ktk84378837.tistory.com/2524 http://ktk84378837.tistory.com/3142 http://ktk84378837.tistory.com/3716 http://ktk84378837.tistory.com/5454 http://ktk84378837.tistory.com/6671 경기전 ht..
-
성주 성산동고분군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5. 8. 24. 15:25
봉분의 곡선이 곱다. 성주 읍내가 내려다 보인다. 경주는 이쁘게도 깎아 놓았더만... 그리 크지 않은 것은 보니 족장이나 토호의 무덤인가. 순장 무덤일까?? 너 죽으면 나도 따라 죽을 거야!! 국가지정 사적 86호. 5-6세기경 축조된 것으로 1910년대 환두대도, 이식(금제귀걸이), 과식(은제허리띠)등이 출토되었고, 1980년대 발굴조사에서 장경호(긴목항아리), 단경호(짧은목항아리), 고배(굽다리접시) 등이 발굴되었다. 성주고분군 http://ktk84378837.tistory.com/6779 화순 고인돌 http://ktk84378837.tistory.com/2476 부안 고인돌 http://ktk84378837.tistory.com/6381 순장,대가야 고분 속에서 / 이문조 당신 나 죽으면 따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