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은꿩의다리 Silver meadow-rue초목류 wild flower/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2008. 9. 8. 22:36
꿩의다리 이름이 붙은 유래는 녀석들 모두가 꿩의 더리처럼 가늘고 딱딱한 줄기가 길게 나 있어서다. 실제 꿩의 다리는 닭의 다리와 마찬가지로 살 없이 뼈만 있으며 가늘고 딱딱해서 나무토막 같은 느낌이 든다. 자주꿩의다리, 산꿩의다리, 참꿩의다리(은꿩의다리), 금꿩의다리, 바이칼꿩의다리, 그늘꿩의다리, 연잎꿩의다리, 발톱꿩의다리, 한라꿩의다리, 큰꿩의다리, 음지꿩의다리... 들어보지 못한 이름도 더러 있다. 한결같이 길쭉길쭉하고 건들면 톡 부러질듯 가늘면서 단단한 느낌을 준다. 미나리아재빗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대개 1미터 안쪽으로 풀숲에서 자란다. 바이칼꿩의다리는 높은 산에서 사람 키만큼 커서 훤칠하니 고고한 느낌마저 준다. 아름답기로는 금꿩의다리가 으뜸일 것 같다. 은꿩의다리 Silver meadow-rue..
-
긴강남차 決明子 Cassia tora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9. 6. 09:41
긴강남차의 씨앗을 결명자라 한다. 결명자([決明子])라는 이름은 눈을 밝게 해주는 씨앗이란 뜻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결명자로 차를 차를 끓여 마시는데, 특이한 냄새와 맛이 있으며 약성은 달고 쓰고 짜며 약간 차다.[甘苦鹹微寒] 약리효과는 혈압 강하, 이뇨, 통변, 자궁수축작용과 피부진균 억제, 코레스테롤 강하 등의 기능이 있다고 한다. 주민들이 지금은 사라져버린 문화동 철도의 빈터에다 해마다 무단으로 심어 기르고 있다. 결명자를 볼 때마다 떠오르는 청아 청아 애고 불쌍한 심청아다. 눈 먼 아버지의 눈을 띄어주겠다고 공양미 삼백 석에 인당수 깊은 물에 뛰어들었겠다. 이 이야기는 조선사회가 만들어낸 지배논리가 깔려 있음이 틀림없다.. 충으로 대변되는 관료사회와 효로 내세우는 상민사회의 질서를 확고히 하는데..
-
메리골드가 있는 골목길 French marigold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9. 6. 09:40
만수국(萬壽菊) French marigold, streading marigod, 불란서금잔화, 금송화, 홍황초(紅黃草). 아프리카금잔화라고도 한다. 멕시코 원산. 초롱꽃목 국화과 천수국속의 일년초. 높이는 30-60㎝ 잎은 어긋나거나 마주나며, 독특한 냄새가 난다. 꽃은 황금색에 가까운 갈적색이고 여름에 핀다. 萬壽菊(만수국)은 頭暈目眩(두운목현), 風火眼痛(풍화안통-급성결막염), 小兒驚風(소아경풍), 感氣咳嗽(감기해수), 百日咳(백일해), 乳癰(유옹-急性乳腺炎(급성유선염)), 流行性耳下腺炎(유행성이하선염)을 치료한다. 萬壽菊葉(만수국엽)은 癰(옹), 瘡(창), 無名腫毒(무명종독)을 치료한다. 만수국 http://ktk84378837.tistory.com/981 http://ktk84378837.tist..
-
미꾸리낚시 Arrow-leaf tearthumb초목류 wild flower/마디풀과 Polygonaceae 2008. 9. 4. 14:49
미꾸리낚시 Arrow-leaf tearthumb. 마디풀과 여뀌속의 한해살이풀로 물가에서 자란다. 학명 Persicaria sagittate. 전엽료, 며느리낚시. 여뀟대. 높이가 20-100cm. 아니 이걸로 미꾸리를 낚는다고라? 꽃은 6-8월에 피며 꽃차례 밑부분에는 백색이고 윗부분은 홍색이다. 미꾸리낚시에는 넓은잎미꾸리낚시, 좁은잎미꾸리낚시, 민미꾸리낚시, 털미꾸리낚시, 나도미꾸리낚시, 긴미꾸리낚시 등이 있다. 한방에서는 전초를작교(雀翹)라는 약재로 쓰는데, 열매는 기력을 높이고 눈을 밝게 해주며, 잎과 줄기는 장염과 이질에 효과가 있고 개나 뱀에게 물렸을 때 짓찧어 환부에 붙이고 종기·대상포진, 습진, 피부염, 피부가려움증에 쓴다고 한다. 줄기와 잎은 다르지만 꽃 자체가 비슷한 것으로 며느리밑씻개..
-
뚜껑덩굴 Lobed actinostemma초목류 wild flower/박과 Cucurbitaceae 2008. 9. 4. 14:20
뚜껑덩굴 Lobed actinostemma. 학명 Actinostemma lobatum (Maxim.) Maxim.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길이 2 미터 정도로 물가에서 자란다. 뚜껑처럼 생긴 열매가 익으면 터지고 거기서 검은색 씨앗이 나오기 때문에 뚜껑덩굴이라 부른다. 꽃 잎이 열가닥으로 길쭉하게 갈라진 모양이 시원스럽고 범상치 않아 보기에 신선하다. 열매 모양 또한 어느 난쟁이나라의 꼬마가 쓰는 모자 같기도 하고, 저 숲속나라의 도토리아저시가 쓰는 모양 같기도 하다. 이 모든 것이 뚜껑별꽃과 유사한 모양이다. 습지에서 자라며 지름 2센티 정도의 박이 열리는 새박과 덩굴 모양이 비슷하다. 새박 http://ktk84378837.tistory.com/1022 http://ktk84378837.tist..
-
적벽강의 명아자여뀌 Persicaria nodose초목류 wild flower/마디풀과 Polygonaceae 2008. 9. 4. 12:43
여뀌는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로 40-90센티 정도 자란다. 물고기를 기절시킬 정도의 독성분이 있어서 ‘어독초(魚毒草)’라는 이름도 갖고 있다. 어릴 때 시골에서 아이들과 같이 여뀌를 뜯어 판판한 돌 위에 놓고 짓이겨 도랑물에 풀에 중태기가 둥둥 떠올랐다. 잎은 매운맛이 나며 조미료로 쓰이기도 한다. 버들여뀌, 수료(水蓼).라고도 한다. 고어에는 엿귀라는 말로 썼는데 엿귀가 과연 무슨 말일까. 조선 선조대 송강 정철이 담양 창평의 성산에 살 때 지은 성산별곡에 나오는 홍료화가 엿귀다., "짝 마잔 늘근 솔란 조대(釣臺)예 셰져 두고 그 아래 배랄 띄워 갈대로 더져 두니 홍료화 백빈주 어나 사이 디나관대 환벽당(環碧堂) 용의 소히 배 넌패 다핫나니. " 명아자여뀌 pale-persicaria 큰개여뀌, 수캐..
-
나비나물 Two-leaf vetch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8. 30. 09:38
나비나물 Two-leaf vetch. 장미목 콩과 나비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산과 들에서 흔하게 1미터 정도 자란다. 한 쌍의 마주한 잎의 모습이 나비같다 하여 나비나물이라 한다. 꽃은 8월에 홍자색의 접형(蝶形)으로 피며 열매는 완두콩같이 생겼다. 어린 잎을 식용하고 새잎(若葉(약엽))을 歪頭菜(왜두채)라고 하며 補虛(보허), 頭韻(두운)을 치료한다. 잎의 크기에 따라 큰나비나물과 애기나비나물이 있고, 꽃의 색깔에 따라 흰나비나물이 있다. 식장산. 등갈퀴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4112 http://ktk84378837.tistory.com/618 가는등갈퀴 http://ktk84378837.tistory.com/4762 http://ktk84378837.tistor..
-
개발나물 Hemlock water parsnip초목류 wild flower/산형과(미나리과) apiaceae 2008. 8. 30. 09:38
개발나물 Hemlock water parsnip, Sium suave. water-parsnip, 당개발나물, 북한명 가락잎풀. 본초명 산고본(山藁本), 토고본(土藁本). 물가에서 1미터 정도 자라는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개의 발처럼 생겼다는 뜻일까? 어느 부분이? 겹우산 모양의 꽃차례를 모으면 그 모양이 개발을 닮아 개발풀이라 한다. 가는개발나물은 잎이 2-6쌍긴 타원모양 바소꼴이며 끝의 잎 외에는 작은 잎자루가 없으며, 끝이 뾰족하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이 7∼17개로 줄 모양 바소꼴인 개발나물, 작은잎이 1∼3쌍으로 달걀 모양 또는 바소꼴인 감자개발나물,7~9개인 물개발나물이 있다. 한방에서 뿌리를 신경통약으로 쓴다. 어디가 개발을 연상시키는 걸까? 개발풀이란 이명이 있으니 개와 관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