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팥 red bean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8. 27. 14:54
팥 red bean. 소두(小斗), 홍두(紅豆), 잔두(殘豆), 미두(眉豆), 주적두(朱赤豆), 학명 Phaseolus angularis. 핕의 꽃을 팥노굿, 콩의 꽃을 콩노둣이라 한다. 잎은 어긋나며 긴 잎자루 끝에 3개의 작은 잎이 달리는 3출 겹잎이다. 8월에 노란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꽃자루에 콩 꽃보다 큰 4~6개(2~3쌍)의 나비꽃이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은 5~7마디의 가지에서부터 피기 시작한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고 끝이 얕게 갈라진다. 8∼9월에 가늘고 긴 원통 모양의 두과를 맺는다. 〈명물기략(名物紀略)〉에 반두(飯豆)가 팟>팥이 되었다. 농촌진흥청에서 최근에 개발한 푸른 팥을 연두라 하고 콩나물을 연두채라고 한다. 생약명은 적소두(赤小豆)이며 주로 이비인후과,..
-
란타나 lantana초목류 wild flower/마편초과 Verbenaceae 2008. 8. 27. 14:22
친구 아들의 결혼식 하객으로 전세 버스에서 내렸다. 서초동 대검청사 식물전시관은 굳게 닫쳐 있지만 입구에 몇 종이 화분에 담겨 뙤약볕을 죄고 있다. 란타나는 영화의 제목처럼 낭만적인 느낌을 주는 이름인데 열대 아메리카 원산의 마편초과의 관목이다. 꽃의 색은 흰색, 분홍색, 오렌지색, 노란 색, 붉은 색 등으로 호화롭고 아름답다. 꽃의 색이 시간의 지남에 따라 계속해서 변하기 때문에 칠변화(七變花)라는 이름이 있다. 열매는 장과이고 뭉쳐서 달리며 검은 색이고 독이 있다. 인터넷을 검색하다보니 2001년에 레이 로렌스 감독, 안소니 라파글리아, 제프리 러시 주연의 오스트레일리아 영화가 있다. 소개된 줄거리와 란타나가 연결이 돌른지 모르겠다. 틴에이저 아들 둘을 둔 형사 레온(안소니 라파글리아 분)은 화목한 ..
-
닥풀 Hibiscus manihot초목류 wild flower/아욱과 Malvaceae 2008. 8. 27. 11:49
닥풀 Hibiscus manihot. 황촉규(黃蜀葵)라고도 부르는 중국 원산의 한해살이 풀이다. 이름이 닥풀인 까닭은 한지 만드는데 첨가되는 호료(糊料)로 사용하는 데서 유래한다. 잎은 어긋나며 자루가 길고 엽신(葉身)은 5∼9개로 깊게 갈라진다. 꽃은 8∼9월에 연한 황색으로 피고 중심부는 흑자색이다. 과실은 삭과(蒴果: 여러 개의 씨방이 있는 열매)로 긴 타원형이며, 5개의 뭉툭한 능선에 거친 털이 있다. 황촉규화는 통증 때문에 소변을 잘 못 보는 증세를 치료하고 종기, 악창, 화상에 외용한다, 뿌리인 황촉규근은 임질·, 유즙 분비 부족, 볼거리염, 종기, 이뇨에 효과가 있다. 종자인 황촉규자는 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유즙 분비를 촉진하며 타박상에 가루를 내어 술에 타서 마신다. 닥풀 http://k..
-
호야 Hoya carnosa white초목류 wild flower/박주가리과 Asclepiadaceae 2008. 8. 27. 11:48
몇 년 만이냐 아열대성 덩굴식물로 박주가리과의 호야가 꽃을 피웠다. 생명은 거룩하게 꿈틀거리고 있었다. 첫 해는 2,30 작은 꽃이 모여 한 송이인 꽃이 서너 개 매달렸었다. 베란다에 방치하면서부터 근근히 생명 유지만 해왔었는데 왠 일인지 7-8개 단촐한 꽃이 매달렸다. 반가운 나머지 곱게 정리하여 사진에 담으려다 우수수 떨어져버리고 달랑 두 개 남았다. 꽃색깔에는 백색 ·연한 분홍색 ·분홍색 등이 있으며 중심부는 연한 홍색이며 윤기가 난다. 꽃의 향기는 좋지만 덩굴냄새는 좀 꿀꿀하여 부담스럽다. 호야 카르노사 이외에 소형종인 호야 벨라와 반잎종인 호야 카르노사 바리에가타 등이 일반적으로 재배되는 종이다. 베란다에서 꽃을 피운 이 녀석은 반잎종인 호야 카르노사 바리에가타이다. 호야 Hoya camosa ..
-
독[毒]말풀 hornapple초목류 wild flower/가지과 Solanaceae 2008. 8. 27. 11:30
독(毒)말풀 thornapple. 학명 Datura tatula L. 종자와 잎에 독이 있는 가지과 독말풀속의 일년초 식물. 높이 70~150cm. 열대 남미가 원산인 귀화식물이다. 만타라자, 양독말풀, 취심화, 대마자, 만타라엽, 취선도, 양종마라고도 한다. 꽃은 6-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달리며, 연한 자주색이다. 꽃받침은 긴 통 모양으로 길이 2-3cm이며, 끝이 5갈래로 얕게 갈라진다. 화관은 깔때기 모양으로 길이 7-12cm이며, 5갈래로 얕게 갈라지며 갈래의 끝이 길게 뾰족하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인 귀화식물이며 민가 부근에서 재배 또는 야생한다. 종자와 잎은 맹독성이나 잎은 천식용 담배로 사용한다. 그래서 독물(毒物)풀이 독말풀로 변하지 않았을까 추리..
-
큰엉겅퀴 pendulate-thistle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8. 25. 15:29
큰 녀석들은 고개를 숙일 줄 아는데 작은 녀석들은 독오른 뱀처럼 대가리를 쳐든다. 여러 종의 엉겅퀴 가운데 큰엉겅퀴는 다른 엉겅퀴와 달리 꽃이 고개를 숙이고 땅을 본다. 키는 크지만 꽃은 몸집에 비해 작은 편이다. 엉겅퀴, 큰엉겅퀴, 고려엉겅퀴, 가시엉겅퀴, 정영엉겅퀴, 바늘엉겅퀴, 흰잎엉겅퀴, 지느러미엉겅퀴 등이 있다. 큰엉겅퀴를 도깨비엉겅퀴, 고려엉겅퀴를 곤드레나물 혹은 곤달비라고 부른다. 큰엉겅퀴 pendulate-thistle. 일명 장수엉겅퀴, 야홍화(野紅花), 유월상(六月霜), 학명 Cirsium pendulum 영명 pendulate-thistle, 대계(大薊), 연관계(烟管薊), 호계(虎薊) 높이 1~2m 8~10월에 피는 두상화는 지름 2~3cm 정도로 자줏빛이 돌며 밑을 향하여 구부러진..
-
나도하수오(何首烏) Hairy-vein knotweed초목류 wild flower/마디풀과 Polygonaceae 2008. 8. 25. 15:27
나도하수오 Hairy-vein knotweed 학명 Pleuropterus cilinervis 혈삼칠(血三七), 주사칠(朱砂七), 주사련(朱砂蓮). 개하수오. 우리나라 특산종인 마디풀과 닭의덩굴속의 다년초. 키 2m. 어긋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6~8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10월에 달걀꼴의 수과가 달려 익는다. 희귀 및 멸종 식물로서 보호되어야 한다. 생약명 홍약자(紅藥子)는 주로 운동계, 신경계 질환이나 혈증을 다스린다. 편도선염, 장염, 궤양, 菌痢(균리), 膽道蛔蟲症(담도회충증), 외상감염, 蜂巢織炎(봉소직염), 癰癤(옹절), 膿痂疹(농가진), 비뇨기감염, 월경불순, 崩漏(붕루), 외상출혈, 토혈, 鼻出血(비출혈), 혈변, 타박상, 류머티성 腰腿痛(요퇴통)을 다스린다. 하수오 http://ktk84..
-
하수오(何首烏) Pleuropterus multiflorus초목류 wild flower/마디풀과 Polygonaceae 2008. 8. 25. 15:26
마디풀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인 하수오 이름이 참 재미롭다. 붉은빛을 띤 갈색 덩이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인데 쉔 머리카락이 검어진다는 뜻이다. 그래서 하수오는 강장 및 강정제 혹은 완화제로 사용한다. 잎은 나물로 하며 생잎을 곪은 데 붙여서 고름을 흡수시킨다. 뿌리 색깔에 따라 적하수오와 백하수오가 있다. 하수오(何首烏), Pleuropterus multiflorus. 지정(地精), 홍내소(紅內消). 마디풀과의 다년초. 잎은 길이 3~6cm, 나비 2.5~4.5cm인 심장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가 길고 밑부분에 짧은 잎집이 있다. 턱잎은 원통 모양이고 짧다. 주로 건강 생활을 돕고 소화기를 이롭게 하며, 순환계 질환을 다스린다. 나도하수오와는 달리 잎의 맥상에 털이 없다.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