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루드베키아 Rudbeckia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8. 30. 09:34
루드베키아 Coneflower. 학명 rudbeckia bicolor. 원추천인국(圓錐天人菊). 검은눈천인국(black-eyed Susan), Rudbeckia hirta, 북미 원산으로 국화과 원추천인국속의 한두해살이풀이다. 6~10월까지 등황색의 꽃이 두상화(꽃대 끝에 꽃이 머리모양을 이룬 꽃)를 이룬다. 북미나 남미에서 건너온 꽃들은 크고 화려하고 원색에 가까와 보기는 좋지만 향이 없는 것이 아쉽다. 황무지에서 자라던 풀들이라 생명력 또한 강해서 연약하기 짝없는 우리 꽃들이 쫒겨나고 있는 현실이다. 꽃의 중앙에 원추가 달려 있는 국화라는 뜻이다. 천인국과 비슷하나 원추가 작은 삼잎국화도 있다. 루드베키아 http://ktk84378837.tistory.com/69 http://ktk84378837...
-
쇠서나물 japanese-oxtongue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8. 30. 09:29
쇠서나물 japanese-oxtongue. 모련채(毛蓮菜), 쇠세나물, 국화과 두해살이풀이다. 학명 Picris hieracioides var. 길가, 산비탈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90cm 내외로서 줄기가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붉은빛을 띤 갈색의 굳은 털이 있다. 6~9월에 개화한다. 잎에 거센 털이 있어 소의 혀같이 깔깔한 느낌이어서 쇠서나물(소의 혀나물)이라고 한다. 경상도 방언에 ㅎ은 ㅅ으로 지금도 소리를 내는만큼 비교적 어원을 쉽게 알 수 있는 이름이다. 어린 잎은 나물로 먹을 수 있으며 풀 전체를 고미건위(苦味健胃), 진정(鎭靜)에 약용한다. 꽃의 색깔이 연초록에 가까운 붉은서나물과 붉은 색깔의 주홍서나물이 있다. 지금도 경상도 사투리는 ㅎ 음이 ㅅ 음으로 난다. 형님>성님으로 한다던가 ..
-
벼 Rice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08. 8. 30. 09:28
벼 Rice, 나록(羅祿), 학명은 Oryza sativa L. 벼과 벼속에 속하는 한해살이 식용작물. 오늘날 재배되고 있는 종은 아시아가 원산인 오리자 사티바와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오리자 글라베르리마이다. 전세계 인구의 약 40% 정도가 주식으로 이용하고 있다. 배주(자방 속에 생긴 뒤에 씨가 되는 기관)가 자방에 둘러 싸여 있는 피자식물(被子植物)에 속한다. 종자 내에 자엽이 하나인 단자엽식물(單子葉植物)이기도 하다. 청보리밭 http://ktk84378837.tistory.com/296 http://ktk84378837.tistory.com/4678 벼 http://ktk84378837.tistory.com/732 http://ktk84378837.tistory.com/2706 원정리 벼 http:..
-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초목류 wild flower/삼과 Cannabaceae 2008. 8. 30. 09:27
환삼덩굴 japanese-hop, 한삼덩굴, 껄껄이풀, 범삼덩굴, 갈늑만(葛勒蔓), 흑초(黑草), 내매초(來莓草), 천장초(穿腸草), 학명 Humulus japonicus, 삼과의 한해살이덩굴풀로 길이 2∼3m, 온몸이 가시투성이라 옷이고 몸에고 달라붙는 들이나 길가에 나는 잡초다. 잎은 마주나며 긴 잎자루 끝에 달려 손바닥처럼 5∼7개로 갈라진다.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7∼8월에 잔꽃이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암수딴그루의 단성화로 달려 핀다. 황록색인 수꽃은 수술은 각각 5개씩이다. 화려하고 멋드러진 수꽃에 비해 암꽃은 역시나 수수하고 뭉툭하다. 녹색인 암꽃은 수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혈압을 낮추고 폐를 튼튼하게 하며 이질, 방광염, 요도염, 요로결석, 부스럼에도 효과가 있다. 환삼덩굴 http:/..
-
덤불꼭두서니 Shruby Indian madder초목류 wild flower/꼭두서니과 Rubiaceae 2008. 8. 30. 09:26
덤불꼭두서니 Shruby Indian madder. 활혈단(活血丹), 혈견수(血見愁), 초자숙초(草子莤草). 학명 Rubia cordifolia var. 용담목 꼭두서니과 꼭두선이속의 다년초. 원줄기에서는 6~10개, 가지에서는 4~6개가 돌려나는데 긴 타원 모양의 달걀꼴로서 끝이 뾰족하다. 6~7월에 5개로 갈라진 지름 3.5mm 정도의 흰 꽃이 핀다. 8~9월에 둥근 장과가 2개씩 마주 달려 검게 익는다. 주로 순환계, 신경계, 동계 질환을 다스리며, 혈증 질환에도 효험이 있다. 뿌리를 하혈제(下血劑)로 하고, 어린 순은 나물로 한다. 참갈퀴 http://ktk84378837.tistory.com/511 갈퀴 & 참갈퀴 http://ktk84378837.tistory.com/769 갈퀴덩굴 http:..
-
이질풀 痢疾草 Thunbergii초목류 wild flower/쥐손이풀과 Geraniaceae 2008. 8. 30. 09:20
이질풀 痢疾草 Thunbergii. nepalese-cranesbill, 노관초(老鸛草), 오엽초(五葉草), 현지초(玄之草), 이질병에 특효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Geranium은 그리스어로 학을 뜻하는 게라노스(Geranos)에서 유래했는데, 열매의 모양이 학의 부리를 연상시키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원줄기는 40~60cm 정도로 가지가 갈라지며 위로 퍼진 털이 있다. 마주나는 잎은 잎자루가 있고 잎몸은 3~5개로 갈라지며 약간의 털이 있다. 8~9월에 개화하며 화경이 2개로 갈라져서 연한 홍색, 홍자색 또는 백색의 꽃이 핀다. 삭과는 5개로 갈라져서 위로 말리며 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쥐손이풀에 비해 주근이 여러 개이고 꽃대에 꽃이 2개씩 달리고 소화경과 꽃받침에 긴 선모가 있다. 민간에서 이질..
-
광대[廣大]싸리 Asian bushweeds초목류 wild flower/대극과 Euphorbiaceae 2008. 8. 29. 14:34
광대[廣大]싸리 Asian bushweeds. 대극목 대극과 광대싸리속의 관목. 구럭싸리, 서수라목(西水羅木),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6-7월에 암수딴그루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리고, 노란빛이 난다. 수꽃은 2-12개씩 피고, 암꽃은 1-3개씩 피며 꽃자루가 5-10mm로서 수꽃보다 길다. 어린잎을 식용한다. 알츠하이머병(Alzheimer disease)과 같은 퇴행성 신경 질환의 치료제로 개발되는 등의 신약 개발의 잠재성이 높은 분류군이다. 싸리나무는 콩과의 낙엽성식물이지만 광대싸리는 대극과의 낙엽 관목이다. 광대라는 말은 광대거품벌레, 광대나물, 광대꽃하늘소, 광대꽃벼룩처럼 그와 비슷하다는 뜻으로 붙었다. 광대싸리는 무슨 뜻으로 붙였을까? 싸리나무의 잎을 닮았을..
-
꽃댕강나무 Glossy Abelia초목류 wild flower/인동과 Caprifoliaceae 2008. 8. 28. 14:30
아벨리아, Glossy Abelia. 왜댕강이, 학명 Abelia mosanensis. Abelia×grandiflora 인동과 댕강나무속의 낙엽활엽 관목. 속명 Abelia는 식물학자 아벨(Clarke Abel) 박사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종명인 grandiflora는 '큰 꽃'이라는 뜻이지만 꽃댕강나무의 꽃은 크지 않다. 높이 1 ~ 2m. 꽃은 6 ~ 11월에 피고 연한 분홍색 또는 흰색이며 종모양이다. 꽃받침조각조각은 2 ~ 5장이고 붉은 갈색이고 수술은 4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4개의 날개가 달려 있고 대부분 성숙치 않는다. 댕강나무는 평안도의 석회암 지대 양지에서 자생하는 우리 나라 고유종이다. 가지를 꺾으면 '댕강' 소리가 난다고 댕강나무라 한다. 자작나무가 자작자작, 닥나무가 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