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개미취 Tatarian Aster 와 벌개미취 Aster koraiensis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8. 25. 12:50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인 개미취는 산속 습지에서 자생하는데 키가 1미터 넘게 큰다. 개미취는꽃대에 개미가 붙어있는 것처럼 작은 털이 있고 먹는 취 종류여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자원, 소판, 협판채, 산백채, 자완, 자와라고도 하여 어린 잎을 취나물로 먹을 수 있다.. 뿌리와 풀 전체를 토혈·천식·폐결핵성 기침·만성기관지염·이뇨 등에 처방한다. 아래는 개미취와 흡사한 벌개미취인데 학명 Aster koraiensis 의Aster 는그리스어로 별이란 뜻이라 하니 별처럼 생긴 꽃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군락으로 핀 꽃이 마치 벌과 개미가 꿀을 따러 군집으로 모여드는 모습을 그린 것이라한다. 동서와 고금이 다르므로 꽃이름 하나도 이리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시취 http://ktk8437..
-
고추나물 Hypericum erectum초목류 wild flower/물레나물과 Hypericaceae 2008. 8. 25. 12:48
고추나물 erect-St. John’s-wort. 물레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배초(排草), 서향초(瑞香草), 제절초(第切草). 소연요(小蓮翹). 학명 Hypericum erectum. 7~8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열매가 빨갛고 고추 모양으로 생긴데서 유래한다. 5조각인 꽃받침은 긴 타원형인 꽃잎과 함께 검은 점이 있다. 암술대가 3개이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전초 말린 것을 소연요(小蓮翹)라 하며 토혈, 코피, 혈변, 월경불순, 외상출혈, 타박상, 종기 등에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7월에 잎을 따서 말려 구충제로 사용한다. 잎이 뭉쳐나는 다북고추나물도 있다. 고추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2737 애기고추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5012 물..
-
층층잔대 Adenophora verticillate초목류 wild flower/초롱꽃과 Campanulaceae 2008. 8. 25. 12:18
층층잔대 Adenophora verticillate. 초롱꽃과 잔대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40~120cm. 경엽은 3~5개씩 돌려나기 또는 어긋나기하고 장 타원형, 난상 타원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짧거나 없다. 꽃은 7~9월에 하늘색으로 피고 꽃받침의 열편은 안으로 굽으며 꽃부리는 종형으로 오므라지고 수술은 5개, 암술 1개이며 암술대는 화관 밖으로 약간 나온다. 톱잔대 http://ktk84378837.tistory.com/2593 당잔대 http://ktk84378837.tistory.com/3734 http://ktk84378837.tistory.com/1021 층층잔대 http://ktk84378837.tistory.com/571 http://ktk8437..
-
개오동(梧桐) Yellow Catawba초목류 wild flower/능소화과 Bignoniaceae 2008. 8. 25. 12:15
개오동 Chinese Catawba. 통화식물목 능소화과 개오동속의 낙엽 활엽 교목. 노나무. 재수(梓樹), 추수(揪樹), 의수(椅樹), 의재(椅梓), 목왕(木王). 벼락이 피해가는 나무라 하여 뇌신목(雷神木), 뇌전동(雷電桐). 학명 Catalpa ovata. 높이 6 ~ 10m. 잎은 어긋나고 달걀형이며 잎자루는 자줏빛이 돈다. 꽃은 6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화피에 양순이 있으며 안쪽 양면에 황색 선과 자주색 점이 있다. 수술은 완전한 것이 2개, 꽃밥이 없는 것이 3개이고 기부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삭과는 선형이고 암갈색이며 10월에 익는다. 성숙한 과실을 재실(梓實)이라 하고 慢性腎炎(만성신염), 浮腫(부종), 蛋白尿(단백뇨)를 치료한다. 나무껍질인 재백피(梓白皮)는 時病發熱(시병발열), 황달, ..
-
메밀꽃 Fagopyrum esculentum초목류 wild flower/마디풀과 Polygonaceae 2008. 8. 25. 11:47
메밀 Fagopyrum esculentum 화양(花養), 양자(養子), 교맥(蕎麥)·목맥(木麥). 7~10월에 흰색, 때로는 연한 홍색으로 피는데 암술이 길고 수술이 짧은 장주화(長柱花)와 암술이 짧고 수술이 긴 단주화(短柱花)가 거의 반반씩이다. 이를 이형애현상(異形蕊現象)이라고 하며 장주화끼리 또는 단주화끼리는 수정이 잘 되지 않는다. 열매는 삼각형에 가까운 심장 모양이다. 생약명 양맥(養麥)은 주로 신경계·소화기·부인과 질환을 다스린다. 메밀밭에 메밀꽃이 달랑 하나 피었다. 이효석의 에서 가장 멋진 부분은 이렇다. "길은 지금 긴 산허리에 걸려 있다. 밤중을 지난 무렵인지 죽은듯이 고요한 속에서 짐승 같은 달의 숨소리가 손에 잡힐 듯이 들리며, 콩포기와 옥수수 잎새가 한층 달에 푸르게 젖었다. 산허..
-
꼬리조팝나무 Willowleaf spirae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8. 25. 11:29
꼬리조팝나무 Willowleaf spiraea. 붉은조룩싸리, 진주화, 수선국, 장미과 조팝나무속의 관목. 학명 Spiraea salicifolia L. 높이 1-2m. 잎은 어긋나며, 피침형,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 또는 겹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잎자루에는 털이 없다. 꽃은 6-8월에 햇가지 끝에서 원추꽃차례로 달리며, 연한 붉은색을 띤다. 꽃차례와 꽃자루에 털이 많다. 꽃잎은 5장, 둥글다. 수술은 많고, 붉은색, 꽃잎보다 2배쯤 길다. 씨방은 4-7실이다. 열매는 골돌이며, 털이 있다. 이리 다다다닥 붚은 꽃송이를 보면 가난은 임금도 못 구한다던 시절이니 조팝으로 보이지 않겠는가. 장미과의 조팝은 조(粟)+밥+꽃인데 음운학적 특성상 조팝으로 발음된다..
-
서양조팝나무 Spiraea prunifoli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8. 25. 11:26
서양조팝나무 Spiraea prunifolia.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관목. 높이는 1.5∼2m. 줄기는 밤색이며 광택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으로 길이 4∼4.5㎝ 정도이다. 잎의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곁눈은 꽃으로 되고 4∼5월에 짧은 가지에서 4∼6개의 꽃이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털이 있다. 꽃잎은 흰색/분홍색이고 5개로서 거꿀달걀꼴이거나 타원형이며 길이 4∼6㎜이다. 암술대는 수술보다 짧으며 열매는 골돌로서 털이 없고 9월에 익는다. 꽃핀 모양이 튀긴 좁쌀을 붙인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조팝나무라고 하며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한국·중국·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조팝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3359 http:..
-
참당귀[當歸] gagantic-angelica초목류 wild flower/산형과(미나리과) apiaceae 2008. 8. 25. 10:08
참당귀[當歸] gagantic-angelica. 토당귀(土當歸), 조선당귀(朝鮮當歸), 승엽초, 건귀(乾歸), 대근(大芹), 학명 Angelica gigas. 뿌리가 굵고 원줄기는 높이 1~2m . 전체에 자줏빛이 돈다.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길고 기수 1~3회 우상복엽이다. 잎집이 타원형으로 커지고 3개의 소엽은 다시 2~3개로 갈라진다. 8~9월에 개화하며 복산형꽃차례에 피는 꽃은 자주색이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넓은 날개가 있으며 능선 사이에 유관이 1개씩 있다. ‘바디나물’과 달리 소엽과 열편은 끝이 뾰족해지고 정소엽은 잎자루가 있고 열매는 넓은 날개가 있고 유관은 능선 사이에 1개 있다. 당귀는 달짝지근하면서도 개운한 뒷맛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당(糖, sugar)으로 오해하기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