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장독대 깨뜨린 백일홍[百日紅] Zinnia elegans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9. 17. 17:15
녹두 넣고 송편 빚다 참깨 넣고 송편 빚다 등짝이 후두두해 뒤꼍 창 열어젖히다 비바람 한 세월에 흙담벼락 썩었다 장독대 가지런해도 뚜껑은 닫혀 있다 어디서 날아온 백일홍 씨앗 하나 역광에 저리 붉어 처연함을 만든다 한 마리 호랑나비 머물다 사라진다 기다리다 기다리다 간장처럼 까맣다 백일홍보다 빨갛다 마음은 백일홍[百日紅] Zinnia elegans. Zinnia violacea. 초백일홍(草百日紅). 초롱꽃목 국화과 백일홍속의 일년초. 멕시코 원산. 높이 30-90cm. 잎은 마주나며 양면에 거친 털이 난다. 꽃은 6-10월에 피고 가장자리에 혀모양꽃이, 가운데에 관모양꽃이 달린다. 열매는 수과이며 9-11월에 익는다. 나무백일홍[木百日紅]은 배롱나무라 한다. 백일홍 http://ktk84378837.t..
-
개솔새 goering-lemongrass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08. 9. 17. 17:14
개솔새 goering-lemongrass. 뚜꾸지피기, 학명 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북한명 향솔새, 벼목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 양지 바르고 건조한 들에서 자란다. 줄기가 모여 나서 큰 포기를 이루어 높이 80~120cm 정도에 이르며 털이 없다. 잎은 선형으로 길이 15~40cm, 너비 3~5mm 정도이며 잎혀는 삼각형이고 털이 없다. 8~9월에 개화한다. 꽃차례는 길이 20~40cm 정도로 거의 곧추서고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무병소수인 포영에 2개의 용골이 발달한 것이 ‘솔새’와 다르고 총상꽃차례의 아래 쌍의 소수는 같은 모양인 것은 ‘쇠풀’과 다르다. 개솔새는 은빛이 돌면서 이삭이 솔새보다 성긴 느낌이 들어 솔새보다 못하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
-
기름나물 Peucedanum terebinthaceum초목류 wild flower/산형과(미나리과) apiaceae 2008. 9. 17. 13:37
기름나물 terebinthaceous-hogfennel. 두메방풍, 참기름나물, 산호채(珊瑚菜), 석방풍(石防風), 학명 Peucedanum terebinthaceum. 높이 50~150cm. 7~9월에 개화하고 백색이다. 열매는 편평한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좁은 날개 모양이다. 산지나 들에서 자란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인 石防風(석방풍)은 感冒(감모), 기관지염, 해수, 姙婦(임부)의 해수, 頭風眩痛(두풍현통), 胸脇脹滿(흉협창만), 천식을 치료한다. 바닷가에 자라는 갯기름나물이 방풍나물로 유통되고 있으며, 북부지방에 분포하는 가는기름나물은 잎이 더욱 가늘고 세밀하다. 개발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493 고수 http://ktk84378837.tistory.com..
-
인삼 人蔘 ginseng초목류 wild flower/두릅나무과 Araliaceae 2008. 9. 17. 13:33
인삼 人蔘 ginseng. 두릅나무과의 다년초. 학명은 ginseng C. A. Meyer 높이 60㎝. 긴 엽병 끝에 5개의 장상복엽(掌狀複葉: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 달린다. 꽃은 연한 녹색으로 4월에 피며 열매는 딸이라고 하며 둥글고 적색이다. 뿌리인 인삼은 옛날부터 강장제 또는 만병통치약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최근의 과학적 연구에 의해서도 약효가 인정되어가고 있다. 인삼약효의 주성분이라고 알려져 있는 사포닌 배당체(配糖體) 물질은 항피로작용(抗疲勞作用)·작업능력증진작용·성선(性腺: 생식샘)의 발육촉진작용, 혈당치 강하작용 등을 함이 증명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인삼을 고려인삼이라 하고 ‘蔘’으로 쓰며 외국삼은 ‘參’으로 쓴다. 자연삼을 산삼(山蔘)이라고 부른다. 인삼 / 권오범 싱크대 바가지 욕조에..
-
독활[獨活] Manchurian angelica초목류 wild flower/두릅나무과 Araliaceae 2008. 9. 11. 11:51
독활 獨活 Manchurian angelica. 땅두릅이라고도 한다. 학명 Aralia cordata var. 미나리목 두릅나무과 두릅나무속의 다년초. 독활이란 바람에 움직이지 않는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높이 150cm. 잎은 어긋나며, 2-3회 홀수 깃꼴겹잎이다. 꽃은 7-9월에 연한 녹색으로 핀다. 열매는 장과이며, 둥글고, 검게 익는다. 어린 순은 식용하고 본초명은 독요초(獨搖草), 총목(憁木), 호왕사자(胡王使者), 독활(獨活)이다. 뿌리는 진통, 진정 작용과 혈관확장작용, 호흡중추를 흥분시키는 작용이 있다. 땅에서 나는 두릅이니 땅두릅, 바람이 불면 흔들리지 않고 바람이 없으면 움직인다 하여 독오초(獨搖草)라 한다. 성연희 충북대 수의과대학 교수는 2009년 10월 7일 농촌진흥청 주최로 ..
-
좀깨잎나무 Spicate Falsenettle초목류 wild flower/쐐기풀과 Urticaceae 2008. 9. 11. 11:50
좀깨잎나무 Spicate Falsenettle. 학명 Boehmeria spicata, 쐐기풀과 모시풀속의 낙엽 활엽 반관목. 높이 50 ~ 100cm. 잎은 마주나기하고 사각상 달걀꼴이며 끝이 갑자기 꼬리처럼 길어지고 큰 톱니가 5~6개씩 있다. 잎자루는 붉은빛이 돈다. 꽃은 암수한그루 혹은 암수딴그루이며 7~8월에 피며 암꽃차례는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수꽃차례는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열매는 수과로 긴 거꿀달걀형이고 털이 있다. 어린 순은 봄에 나물로 식용한다. 풀거북꼬리 http://ktk84378837.tistory.com/594 좀깨잎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2661 http://ktk84378837.tistory.com/2814 뽕모시풀 htt..
-
모시물통이 Pilea mongolica초목류 wild flower/쐐기풀과 Urticaceae 2008. 9. 11. 11:49
모시물통이 Mongolian Clearweed. 푸른물통이. 쐐기풀과 물통이속의 한해살이풀. 학명 Pilea mongolica Wedd. 잎 모양이 모시풀과 같으나 식물체에 수분이 많기 때문에 모시물통이라고 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50cm, 물기가 많고 연한 녹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이다. 잎 끝은 꼬리처럼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9-10월에 암수한포기로 피며, 연한 녹색이다. 수꽃은 화피 조각과 수술이 각각 2개씩이다. 암꽃은 길이가 다른 화피 조각이 3장 있다. 열매는 10-11월에 익고 수과이며 갈색 점이 있다. 어린순과 줄기를 식용한다. • 산물통이 : 잎은 막질, 달걀모양, 넓은 달걀모양, 길이 1-3㎝,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 제주..
-
고마리 thunberg-knotweed초목류 wild flower/마디풀과 Polygonaceae 2008. 9. 11. 11:46
국어사전에 고만은 고만하다 의 어근이고 상태, 모양, 성질 따위의 정도가 고만하다는 뜻을 지닌다. 그러므로 고만고만하다는 말은 작은 것들이 무리지어 다닥다닥 붙어있는 모양을 뜻하기에 알맞은 것 같다. 고만이 들어가는 말로 고만이는 재물이 늘거나 벼슬이 오르는 것을 막는다고 하는 귀신이다. 소리 나는 대로 쓴 고마니는 고만이의 잘못된 표기다.고마리 thunberg-knotweed. 학명 persicaria thunbergii 마디풀과 덩굴성 일년초. 고만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길이 줄줄기는 길이 50~100cm 줄기는 사각형인데 능선을 따라 밑으로 향한 가시가 나며 털은 없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극엽료(戟葉蓼) 수마료(水麻廖)는 주로 어혈을 풀어주며, 해독에도 효험이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