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산여뀌 nepal-knotweed초목류 wild flower/마디풀과 Polygonaceae 2008. 9. 11. 11:45
산여뀌 nepal-knotweed, Nepalese smartweed, 산모밀, 애기개뫼밀, 관모역귀, 마디풀과의 일년초. 학명 Persicaria nepalensis 북한명 골여뀌. 꽃은 8월에 피며 백색 바탕에 붉은빛이 돌고 수과는 평평한 달걀모양이다. 전체에 털이 거의 없고, 마디에 육질로 된 갈고리 모양의 털이 있다. 본초명 니박이료(尼泊裏蓼), 묘안정(貓眼睛) 은 인후통, 치은종통, 이질 등에 쓴다. 여뀌 http://ktk84378837.tistory.com/2801 개여뀌 http://ktk84378837.tistory.com/1206 꽃여뀌 http://ktk84378837.tistory.com/7770 바보여뀌 http://ktk84378837.tistory.com/2642 http://..
-
들깨풀 Dotted miniature beefsteak plant초목류 wild flower/꿀풀과 Lamiaceae 2008. 9. 11. 11:43
들깨풀 Dotted miniature beefsteak plant 꿀풀과의 일년초. 학명 Mosla punctulate 높이 20~60cm 둔한 사각형이며 흔히 자줏빛이 돌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전초를 석제녕이라 하여 (서열사증), 鼻出血(비출혈), 血痢(혈리), 感氣咳嗽(감기수), 만성기관지염, 癰疽瘡腫(옹저창종), 風疹(풍진), 熱 (열비-땀띠)를 치료한다. 들깨 http://ktk84378837.tistory.com/3664 참깨 http://ktk84378837.tistory.com/1230 소엽과 청소엽 http://ktk84378837.tistory.com/6872 청소엽 http://ktk84378837.tistory.com/2666 자소엽(차즈기) http://ktk84378837.ti..
-
청소엽 Perilla frutescens초목류 wild flower/꿀풀과 Lamiaceae 2008. 9. 11. 11:42
청소엽 Perilla frutescens 꿀풀과 들깨속의 일년초. 높이 20-80cm. 잎은 청색으로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넓은 달걀모양이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백색이며 분과는 지름 1.5mm로서 둥글다. 열매를 식용하고 잎은 종자와 더불어 발한, 진해, 진통 및 이뇨제로 사용한다. 차즈기를 일명 자소엽이라 한다. 들깨 http://ktk84378837.tistory.com/3664 참깨 http://ktk84378837.tistory.com/1230 청소엽 http://ktk84378837.tistory.com/2666 자소엽(차즈기) http://ktk84378837.tistory.com/2605 배암차즈기 http://ktk84378837.tisto..
-
하늘말나리 열매 Lilium tsingtauense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9. 11. 11:41
하늘말나리 Lilium tsingtauense, 우산말나리, 소근백합(小芹百合), 야백합(野百合), 산채(山菜), 키는 60~90㎝. 어린잎은 식용한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황적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많이 있고, 지름은 4㎝ 정도이다. 원줄기 끝과 곁가지 끝에 1~3개의 꽃이 위를 향해 달린다. 9~10월에 편평한 열매가 익는다.꽃이 하늘을 보고 잎이 말나리를 닮아 하늘말나리라고 한다. 하늘을 보면 하늘나리, 땅을 보면 땅나리, 중간쯤에 비스듬히 있으면 중나리라고 한다. 짙은 황색꽃이 피는 것을 누른하늘말나리, 화피에 자주색 반점이 없는 것을 지리산하늘말나리라고 한다. 각혈, 강심제, 강장보호, 구역증, 기관지염, 동통 등 주로 호흡기 질환과 각종 염증을 다스린다. 중나리 http://ktk8437..
-
애기나팔꽃 White morningglory초목류 wild flower/메꽃과 Convolvulaceae 2008. 9. 11. 10:37
다른 나팔꽃에 비해 잎이며 꽃이며가 5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갓 태어난 애기처럼 작고 앙증맞기 이루 말할 수 없어 애기나팔꽃이다.작은 것에는 좀 자가 붙어 좀나팔꽃이라고도 부른다.애기나팔꽃은 작아도 갖출 것은 다 갖추어 있어 더 아름다운지 모른다.나팔꽃은 아침에 피었다가 점심에 시들어서 저녁에 지고 마는 생명이 짧은 꽃이다.흔해서 평소에는 꽃으로 보이지 않는 있으나 마나한 존재.어느 누구도 다가와 예쁘단 말 한 마디 해주지 않는 꽃.그래도 담장에 걸터앉아 또 피우고 또 피우는 끈질긴 꽃.잡초려니 이 손에 뜯기우고 저 손에 뽑혀 울타리에서나 살아갈 수밖에 없는 꽃.그 나팔꽃보다 더 작고 더 가늘고 더 하이얀 애기나팔꽃.그런 속성 때문에 임주리의 립스틱 짙게 바르고>는 세상을 힘들게 살아가는 가냘픈 여인이..
-
뻐꾹나리 Tricyrtis dilatata, Speckled Toadlily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9. 10. 12:20
뻐꾹나리를 첨 봤을 때가 언제드라 4년 전 금강비엔날레 보러 공주영상정보대 갔을 때던가.그 놀라웠던 기억, 세상은 참 둥글구나.때늦었지만 늦깍이 뻐꾹나리가 무에 그리 부끄러운지 숨어 있다가 숲을 들추니 그 고운 자태를 배시시 드러낸다.한국 특산종이란 사실도 놀랍거니와 뻐꾸기의 가슴 무늬를 생각해내어 붙인 이름에 감탄하지 않을 수가 없다.뻐꾹새의 가슴팍를 보아라! 언제 누가 그런 관찰력이 있어 그렇게 가까이 갔었단 말인가. 중부지역 이남의 산지 숲속에서 자라며, 7월 무렵 꽃을 피운다. 꽃 하나에 암술과 수술을 동시에 갖고 있는 암수한꽃이고, 꽃받침과 꽃잎이 분화되지 않고 꽃덮이로 합쳐져 있다. 뻐꾹나리 Tricyrtis dilatata, Speckled Toadlily, Toad lily, 백합목 백합과..
-
개머루 Amur peppervine초목류 wild flower/포도나무과 Vitaceae 2008. 9. 9. 16:47
자줏빛 보석(紫水晶) 이 초가을 아래 싱그럽게 빛나고 있다. 이렇게 아름다운 열매를 맺는 녀석 있으면 나와보라 그래. 누가 이런 멋쟁이한테 개머루니 돌머루니 하는 턱도 없는 이름을 지었대? 포도과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로 산과 들에서 높이 약 3m 정도 자란다. 꽃은 여름에 녹색으로 피고 열매는 장과(漿果)로 머루와 비슷하나 먹지 못한다. 어린 가지와 잎자루, 잎 뒤에 짧은 털이 나는 털개머루, 잎에 흰색 얼룩점이 있고 잎자루와 어린 줄기가 자줏빛인 자주개머루, 잎이 5갈래로 갈라지는 가샛잎개머루가 있다. 개머루 Amur peppervine. 갈매나무목 포도과 개머루속의 낙엽 활엽 덩굴성. 길이 5m. 잎은 어긋나기하고 3 ~ 5개로 갈라지고 치아모양톱니가 있다. 암수한꽃으로 녹색이고 취산꽃차례이다. 열매..
-
참취꽃 Aster scaber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9. 9. 13:05
이 년석은 무녀리로 태어났단 말인가 다들씨앗이 영글어가는 판인데 이 년석은 이제사 꽃을 피운다. 참취는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 Aster scaber Thunb. 엽병이 길며 심장형이고 줄기잎은 어긋나기하며 밑부분의 것은 날개가 있는 긴 엽병이 있고 거칠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치아모양톱니 또는 겹톱니가 있다. 봄나물의 대명사였던 참취나물의 쌉싸롬한 향을 아직도 잊을 수 없다. 사실 삶아 말렸다가 추운 겨울에 무쳐먹는 묵나물이 더 맛이 구수하다. 全草는 東風菜(동풍채), 산백채(山白菜), 根은 東風菜根(동풍채근)이라 하며 타박상, 毒蛇咬傷(독사교상), 腸炎(장염)에 의한 腹痛(복통), 骨節疼痛(골절동통), 타박상을 치료한다. 참취 외에 개미취, 벌개미취, 갯개미취, 단풍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