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바보여뀌 Nonspicy smartweed초목류 wild flower/마디풀과 Polygonaceae 2008. 9. 20. 09:51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인 여뀌에는 바보 이름이 붙은 바보여뀌가 있다. 학명 Persicaria pubescens 영명 Nonspicy smartweed 바보역귀, 유모료(柔毛蓼)라고도 한다. 잎자루가 없으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양면에 짧은 털이 있고 표면에 흑색 점이 있다. 물가에서 자란다. 높이 40∼80cm로 자란다. 일본 이름을 그대로 번역했다고 하는데 여뀌가 가진 매운맛이 없어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본초명 날료(辣蓼)로 잎은 류마티즘성 관절염, 말라리아, 각기, 瘡腫(창종)을 치료한다. 꽃은 心, 胃氣痛(심,위기통), 이질, 腹腔(복강) 내의 積塊(적괴), 횡현을 치료한다. 여뀌 http://ktk84378837.tistory.com/2801 개여뀌 http://ktk84378837.tisto..
-
자귀풀 budda-pea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9. 20. 09:43
자귀풀 budda-pea. 장미목 콩과 자귀풀속의 일년초. 학명 Aeschynomene indica L. 높이 50-80cm. 잎은 엽병이 짧고 20-30쌍의 소엽이다. 꽃은 7월에 황색으로 피고 열매는 협과로 대개 털이 없다. 밭둑이나 습지에 난다. 전초(全草)를 合萌(합맹)이라 하며 風熱感冒(풍열감모), 황달, 이질, 胃炎(위염), 腹部膨滿(복부팽만), 淋病(임병), 癰腫(옹종), 皮膚炎(피부염), 濕疹(습진)을 치료한다. 자귀나무의 잎처럼 밤에는 닫힌다고 자귀풀이다. 수고맥(水固麥), 경통초(梗通草), 전비각(田鼻角), 거몰자라고도 한다. 식용이나 사료용으로 쓰이며 종자와 풀 전체를 차 대용으로 마신다. 차 대용으로 사용했다고 해서 차풀이란 이름을 가진 것도 자귀풀 비슷하다. 분절이 있어 차풀과 구..
-
알방동사니 Cyperus difformis초목류 wild flower/사초과 Cyperaceae 2008. 9. 20. 09:36
알동방사니 smallflower-flatsedge. Small-flowered umbrella sedge. Difformed Galingale, 이형사초(異型莎草), 학명 Cyperus difformis L. 사초과 방동사니속의 한해살이풀로 논과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뭉쳐나고 세모지며 높이가 25∼60cm이고 전체가 녹색이다. 꽃이 알 모양으로 둥글다고 부르는 이름인 모양이다. 방동사니, 갯방동사니, 금방도아니, 우산방동사니, 종이방동사니(파피루스), 나도방동사니 너도방동사니, 방동사니아재비, 방동사니대가리 등이 있다. 이름만 보면 떠오르는 의문이 있다. 방동사니가 무슨 말일까. 알방동사니 http://ktk84378837.tistory.com/2644 밥이 무섭다 / 김용택 밥이 무섭다 식전 논에 ..
-
물달개비 pickerelweed초목류 wild flower/물옥잠과 Pontederiaceae 2008. 9. 18. 10:55
물옥잠과의 한해살이풀로 논이나 못의 물가에서 자란다. 달개비란 이름이 붙었지만 닭의장풀과가 아니라 물옥잠과니 초보자는 혼동하지 말을 일이다. 농부들에게는 역시 짜증나는 잡초에 불과하지만 보랏빛 수줍은 볼을 이파리로 덮인 그늘 아래서 살포시 들어올리는데서 시골 색시의 매력이 뿜어져 나온다. 제몸은 흙탕물에 담가도 그 물을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능력도 있으니 얼마나 고마운 생태계의 보물이기도 하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체를 곡초라는 약재로 쓰는데, 고열·해수·천식에 효과가 있다. 달개비류가 육지식물인데 반해 물달개비는 이름 그대로 수생식물이다. 물달개비 pickerelweed, monochorea, Sheathed monochorea, 곡채(蔛菜), 압설초(鴨舌草), 압자채(鴨仔菜), 학명 Mo..
-
닭의장풀 Commelina communis초목류 wild flower/닭의장풀과 Commelinaceae 2008. 9. 18. 10:53
닭의장풀은 닭의장풀과의 한해살이풀이다. 학명 Commelina communis. 북미 원산. 달개비, 닭의밑씻개라고도 하는데 길가나 풀밭, 냇가의 습지에서 높이 15∼50cm 흔히 자란다. 며느리밑씻개에 대한 에피소드는 끔찍한 것이었는데 닭+애비>달개비라든가 닭의밑씻개는 좀 완곡한 느낌이다. 닭의장 옆에 많이 난다고 붙은 이름이라는 말은 어딘가 좀 허전한 구석이 있다. 꽃은 연한 파란색이고 7~8월에 나비와 비슷한 생김새로 피는데 어린 잎을 식용할 수 있다. 한방에서 잎을 압척초(鴨衫草)라 하는데 꽃잎이 오리발처럼 생긴데서 온 말이며 해열, 해독, 이뇨, 당뇨를 치료한다. 생잎의 즙은 화상에 사용한다. 닭의장풀 http://ktk84378837.tistory.com/1002 http://ktk843788..
-
나도송이풀 Phtheirospermum japonicum초목류 wild flower/현삼과 Scrophulariaceae 2008. 9. 18. 10:52
나도송이풀 Phtheirospermum japonicum, 나호(糯蒿), 토인진(土茵陳), 현삼과 나도송이풀속의 반기생(半寄生) 한해살이풀이라는 설명인데 반기생인지 확인하지 못했다. 풀잎이 쑥을 닮아 송호(松蒿), 가지와 잎에 부드러운 분백색 털이 많아 초백지(草柏枝)라고도 부른다. 송이맞이풀이라는 이름도 있는데 이 꽃이 필 때쯤 송이버섯을 따기 시작했다고 한다. 즉 송이버섯을 딸 때쯤 피는 꽃이니 송이풀이라는 말도 있다. 높이가 30-60cm. 전체에 부드러운 선모(腺毛)가 많이 나고 끈적거린다. 8~9월에 연한 홍자색으로 피는데 위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꽃부리는 통 모양이고 끝은 입술 모양이다. 윗입술꽃잎은 반쯤 말린다. 아랫입술꽃잎은 3개로 갈라진다. 꽃받침은 녹색이고 종 모양이며 잔톱니가 ..
-
솔방울고랭이 Oriental bulrush초목류 wild flower/사초과 Cyperaceae 2008. 9. 18. 10:37
솔방울고랭이 Oriental bulrush. 방울골, 꽃방울골, 나도고랭이, 화동표초, 학명 Scirpus karuizawensis Makino 사초과 고랭이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77-150cm. 꽃은 9-10월에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핀다. 작은이삭은 난상 타원형이다. 비늘조각은 난형이다. 화피강모는 실 모양으로 6개이다. 수술은 2개,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는 수과, 타원형이다. 구토, 어혈, 진통, 최유, 통경, 학질에 효능을 보인다. 올챙이고랭이 http://ktk84378837.tistory.com/3746 솔방울고랭이 http://ktk84378837.tistory.com/2649 http://ktk84378837.tistory.com/5136 세모고랭이 http://ktk8437..
-
사마귀풀 marsh-dayflower초목류 wild flower/닭의장풀과 Commelinaceae 2008. 9. 17. 17:18
닭의장풀과의 한해살이풀로 애기달개비라고도 한다. 연못·냇가 등 습지에서 높이 10∼30cm 정도 자란다. . 전초를 말린 수죽채는 하여해수, 간염, 고혈압, 인후염, 악성종양 등에 달이거나 즙을 내어 마신다. 사마귀풀이란 이름이 처음엔 꽃 모양이 삼각형이라 사마귀 머리 모양을 빗댔을까 했더니 그게 아닌 모양이다. 사마귀풀을 짓이겨 몸에 난 사마귀에 붙이면 치료된다는 속설에 그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훈몽자회에 기록된 사마괴는 피부병 사마귀를, 당의야지는 곤충 사마귀를 가리키는 말이다. 사마귀풀 marsh-dayflower. 학명 Aneilema keisak. 죽두초(竹頭草), 우초(疣草), 일본수죽엽, 애기달개비, 애기닭의밑씻개. 닭의장풀과의 일년초. 이 풀을 피부에 돋은 사마귀에 붙이면 사마귀가 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