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culture
-
천기201호 백조가 나리는 금강 Tundra swan문화 culture/천연기념물 natural monument 2012. 12. 17. 14:12
고니. 백조(白鳥) Tundra swan. 기러기목 오리과 고니속. 크기 120cm. 무게 3.4kg ~ 7.8kg. 천연기념물 제201호. 멸종위기 야생동물 Ⅱ급. 겨울철새. 저수지와 습지에 총 100여 개체 내외의 적은 집단이 7~8개체에서 20~30개체 무리로 분산 활동한다. 몸은 흰색이나, 얼굴에서 목까지는 오렌지색이다. 부리는 앞 절반이 검은색, 기부 쪽은 노란색이다. 황색 부분의 선단(先端)은 둥글다. 부리 선단의 흑색부가 부리 전면(前面) 중앙을 지나 부리 기부까지 도달하는 개체도 있다. 멀어서 고니인지 큰고니인지 구별할 수가 없으나 편의상 고니로 하였다. 동이면 금강. 부리의 노란색이 작은 것이 201-1호인 고니, 큰 것은 202-2인 큰고니인데 큰고니로 보인다. 201-3은 흑고니다. ..
-
정지용, 김규홍, 육영수 생가 거쳐 대청호 바람문화 culture/문학 literature 2012. 12. 10. 10:44
정지용 생가, 오른쪽에 향수 시비가 보인다. 청석교(靑石橋) 정지용문학관, 생가 앞을 흐르는 실개천은 더 이상 휘돌아 나가지 않는다. 아이 추워! 수퍼마켓에 과자 사러 간다고 소리를 내지르며 달리던 아이는 이내 문을 닫았다며 투덕 투덕 걸어 내려왔다. 우편국 건물에 기쁜 소식을 전해 준다는 까치 그림이 인상적이다. 지금의 우체국 로고는 강남 갔던 제비가 다시 돌아온다는 제비 세 마리를 형상화하였다. 문정정미소 벽에 새겨진 의미 심장한 명문. '곡식 알이 거꾸로 떨어져도 싹은 반듯이 우로!' 애국지사 김규홍의 고즈넉한 생가도 '춘추민속관'이란 팻말을 달고 인근에 있다. 도와 군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춘추민속관'은 전통한옥체험관이다. 옥천역 앞에는 "고향' 시비가 있다. 시장통 벽면에 그려진 정지용 벽화..
-
송시열의 남간정사(南澗精舍)의 겨울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2. 12. 8. 21:06
우암 송시열이 제자들을 가르치던 남간정사는 유형문화재4호. 별당건물인 기국정(杞菊亭)은 주위에 구기자와 국화가 많았음을 짐작케 한다. 산사나무와 직박구리. 우암사적공원의 덕을 널리 베푼다는 뜻의 덕포루(德怖樓). 석파정 https://ktk84378837.tistory.com/4956 월류정 http://ktk84378837.tistory.com/1707 http://ktk84378837.tistory.com/4344 송시열의 남간정사 http://ktk84378837.tistory.com/4417 http://ktk84378837.tistory.com/407 송시열유허비 http://ktk84378837.tistory.com/1068 赴京(벼슬하여 한양에 나아감) / 宋時烈 錄水喧如努 녹수훤여노 녹수는..
-
이언적의 옥산서원(玉山書院)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2. 12. 8. 20:25
옥산서원(玉山書院).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에 위치한다.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의 덕행과 학문을 추모하기 위해 1572년(선조 5) 경주부윤 이제민(李齊閔)이 지방 유림의 뜻에 따라 창건했다. 1574년 사액 서원이 되었다. 1871년 대원군이 서원을 철폐할 때 훼철되지 않고 존속된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다. 사적 제154호이며 201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구인당(求仁堂)은 한석봉(韓濩)의 글씨이며 옥산서원 편액(扁額)은 추사 김정희의 글씨이다. 회제는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의 양동마을에서 태어났다. 양동마을의 무첨당(보물411호)은 경상감사 재직시 지은 종가이며 병중인 모친을 돌볼 수 없어 중중이 지어준 향단(보물412호)이 있다. https://ktk84378837.ti..
-
연오랑 세오녀(延烏郞 細烏女)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2. 12. 8. 19:55
새천년공원 가장자리에 설치된 연오랑세오녀상을 보고 가을 남자 최백호의 '영일만 친구'로 더 유명해진 영일만을 처음으로 찾았다.호미곶 일출만 보았지 '연오랑 세오녀'는 생각도 못했다. 최초의 설화집인 박인량의 '수이전(殊異傳)'에 실려 있다고 배웠고 그리 가르친 이야기는 일연의 〈삼국유사〉에 전한다.http://terms.naver.com/entry.nhn?cid=1614&docId=581586&mobile&categoryId=1614 을 참고로 하면, "신라 제8대 아달라왕 4년(157) 동해변에 연오랑·세오녀 부부가 살았다. 하루는 연오가 바닷가에서 해조(海藻)를 따고 있던 중 갑자기 바위가 연오를 싣고 일본 땅으로 건너갔다. 그 나라 사람들이 연오를 보고 비상한 사람으로 여겨 왕으로 삼았다.세오는 ..
-
경주 양동마을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2. 12. 3. 13:51
5월에 찾은 양동良洞 마을 입구에서 본 전경.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에 있는 민속마을이다. 한국의 씨족 마을은 조선시대(1392년~1910년) 초기에 형성되어 조선후기에는 전체 마을 중 약 80%을 차지하였다. 그중 오늘날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양동은 손씨의 선조인 손소(孫昭)라는 사람이 이 마을에 살던 장인인 풍덕유씨 유복하(柳復河)의 상속자로 들어와 정착하면서 월성손씨(月城孫氏)의 종가를 지어 번성하게 되었다. 풍덕유씨의 후손은 절손되어 외손인 손씨문중에서 제사를 지내고 있다. 또한 손씨의 딸은 이 마을의 여강이씨(驪江李氏) 번(蕃)에게 출가하여 조선시대 성리학 정립의 선구적 인물인 이언적(李彦迪)을 낳아 번성하게 되면서 현재는 월성손씨 40여 가구, 여강이씨 70여 가구가 마을을 계승..
-
김소월 산유화 시비문화 culture/문학 literature 2012. 11. 27. 14:33
배재대학교. 정지용 http://ktk84378837.tistory.com/4419 부용 묘 http://ktk84378837.tistory.com/4249 신동엽 http://ktk84378837.tistory.com/1543 이문구 http://ktk84378837.tistory.com/1542 오장환 http://ktk84378837.tistory.com/925 김영랑 http://ktk84378837.tistory.com/3826 박재삼 http://ktk84378837.tistory.com/3491 박용래, 김관식, 한용운 http://ktk84378837.tistory.com/3570 박범신 http://ktk84378837.tistory.com/2561 이상화 http://ktk8437883..
-
천기367호 선운사 송악문화 culture/천연기념물 natural monument 2012. 11. 16. 10:49
고창 선운사 입구 천연기념물 367호 송악. 송악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늘푸른 덩굴식물로 줄기에서 뿌리가 나와 암석 또는 다른 나무 위에 붙어 자란다. 잎은 광택이 있는 진한 녹색이고 꽃은 10월에 녹색으로 피며, 열매는 다음해 5월에 둥글고 검게 익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서남해안 및 섬지방의 숲속에서 주로 자라고 있다. 고창 삼인리 송악은 선운사 입구 개울 건너편 절벽 아래쪽에 뿌리를 박고 절벽을 온통 뒤덮고 올라가면서 자라고 있으며, 정확한 나이는 알 수 없으나 크기로 보아 적어도 수 백년은 되었으리라 생각된다. 고창 삼인리 송악은 그 크기가 보기 드물 정도로 크고, 고창 삼인리는 송악이 내륙에서 자랄 수 있는 북방한계선에 가까우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문화재청 http://www.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