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봄맞이꽃 Rock jasmine초목류 wild flower/앵초과 Primulaceae 2008. 3. 23. 22:38
봄맞이꽃 Rock jasmine. umbellate-rockjasmine, 점지매(点地梅), 동전초, 후선초, 후롱초(喉曨草), 학명 Androsace umbellate. 앵초과의 한두해살이풀. 이름에서 보듯 봄의 전령사로 들의 습지나 논, 밭둑에서 자란다. 모든 잎은 뿌리에서 난다. 잎몸은 편원형으로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백색으로 피며 1~25개가 모여 나는 화경은 높이 5~10cm 정도이고 산형꽃차례로 핀다. 삭과는 둥글고 윗부분이 5개로 갈라진다. 애기봄맞이, 금강봄맞이, 명천봄맞가 있다. 어릴 때에 식용하며 거풍, 소종, 인후통, 적안, 청열, 편두통, 해독에 사용한다. 봄맞이 http://ktk84378837.tistory.com/876 http://ktk84378837.tisto..
-
큰개불알풀 Bird's eye초목류 wild flower/현삼과 Scrophulariaceae 2008. 3. 23. 22:36
큰개불알풀 Bird's eye. 현삼목 현삼과 개불알풀속의 이년초. 학명 Veronica persica Poir. 참 이름 짓는 기술이 대단하다고 볼 때마다 감탄이 절로 나온다. 꽃의 문양과 섹깔과 계절을 보라. 속성을 그대로 표현해 아주 딱이란 느낌이다. 이렇게 순진무구한 이름도 있지만 한편으로 얼마나 짖궂고 익살맞은지 개불알풀이라고도 한다. 그것도 접두어로 '큰'이 붙는다. 웃음이 풋 터져 나올 것도 같고 에유 망측해라 고개가 돌려지면서 볼태기가 물들 법도 하잖은가. 녀석의 씨앗이 마치 두 쪽 달랑달랑 털이 숭숭한 개의 불알과 똑같다고 해야 할까. 궁금한 사람은 유념해서 한 번 주의깊게 보아둘 일이다. 학명에 Veronica 가 들어간 연유인즉 예수가 보인다 하였으나 서양 사람들의 눈에는 그리 비칠지..
-
흰민들레 white-dandelion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3. 23. 22:36
흰민들레 white-dandelion 초롱꽃목 국화과의 다년초. 한국의 특산식물이다. 학명 Taraxacum coreanum Nakai 구공영(鳩公英), 복공영(僕公英), 지정(地丁), 포공영(蒲公英). 4~6월에 혀처럼 내민 흰 꽃이 피고 7~8월에 길이 3.5mm 정도의 수과가 달려 익는다. 연한 잎은 나물로 먹는다. 急性乳腺炎(급성유선염), 淋巴腺炎(임파선염), 나력, 정독창종, 급성결막염, 感氣發熱(감기발열), 급성편도선염, 급성기관지염, 胃炎(위염),. 肝炎(간염), 膽囊炎(담낭염), 尿路感染(요로감염)을 치료한다. 민들레 홀씨 http://ktk84378837.tistory.com/817 강화도 서양민들레 & 흰민들레 http://ktk84378837.tistory.com/2316 흰민들레 h..
-
깽깽이풀 Dubia초목류 wild flower/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2008. 3. 23. 22:34
깽깽이풀 Twin leaf, 뿌리가 노란색이라서 황련, 산련풀, 학명 Jeffersonia dubia.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의 다년초. 지구상에 딱 2종이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우리나라에 있고, 북미 원산의 미국깽깽이풀이 있다. 높이 20cm. 잎은 뿌리에서 여러 장이 나며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붉은 보라색 또는 드물게 흰색으로 핀다. 열매는 삭과다. 충매에 의한 번식을 하는데 씨앗을 개미가 개미굴로 가져가 씨앗에 붙은 달콤한 엘라이오솜을 먹고 버리므로 자연스럽게 싹이 돋는다. 한방에서는 모황련(毛黃蓮)이라 하여 소화불량, 식욕부진, 오심(惡心), 장염, 설사, 구내염, 안질 등에 처방한다. 이름 참 묘하다. 깽깽이?늘 궁금한게 직업병인지 그 유래가 궁금하다.지금도 악기나 악기를 다루는 사람들을 ..
-
산수유(山茱萸) Cornus officinalis -초목류 wild flower/층층나무과 Cornaceae 2008. 3. 23. 22:33
퇴근길에 들른 동문초등학교 정원에 산수유가 지는해의 부드러운 햇살을받아 아스라한 느낌을 준다. 청소년광장(구시민공원)에선 하루 종일 구질구질 비가 내리는 가운데도 마이크 소리가 요란하다. 궁금해 나가보니 부활절 종합 예배 행사를 한다고 난리다. 때가 때인지라 지역의 모든 국회의원, 시장, 교육감, 기관장들이 단상에 꽉 차고 드넓은 잔디광장은 발붙일 틈도 없다. 예배를 마치고 돌아가는 신도들을 굽어보는 산수유는 한 귀퉁이에 비에 젖어 울고 있다. 산수유(山茱萸) Japanese Cornelian Cherry. 산형화목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의 낙엽 활엽 소교목. 학명 Cornus officinalis 광릉지역이 자생지이다. 높이 7m.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형이고 암수한꽃으로 3 ~ 4월 잎보다 먼저 개화하..
-
장수매(長壽梅) Chaenomeles lagenari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3. 23. 22:25
장수매(長壽梅) Chaenomeles lagenaria cv. 명자나무의 원예품종으로 사계절 꽃이 피며 개화 기간이 길고 분재 소재로 많이 이용된다. 언뜻 보기에 명자와 비슷도 하나 자세히 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본에서 개발된 풀명자 계통의 매화란다. 잘 지는 매화를 안타까워하여 오래가는 명자와 결합해서 새로운 품종을 만들어낸 모양이다. 전쟁을 일으키고 약소민족의 생체를 실험하면서 발전시킨 일본의 의료 생명 기술은 가히 알아 줄만하다. 장수락도 있는데 장수매와 명자꽃을 섞은 것이다. 명자꽃 중에 봄부터 가을까지 오래 피므로 장수매(長壽梅), 사철명자라는 이름이 있다. 목과(木瓜), 화목과(和木瓜), 학명 Chaenomeles japonica. 수형을 갖추지 않고 풀처럼 자..
-
자금우 紫金牛 Japanese Ardisia초목류 wild flower/자금우과 Myrsinaceae 2008. 3. 23. 22:19
2003년 11월 23일 목포. 자금우 紫金牛 Ardisia, 지채(地菜), 평지목(平地木), 지길자(地桔子), 왜각장(矮脚樟), 학명 Ardisia japonica, 장미목 자금우과 자금우속의 상록 활엽 관목. 높이 15 ~ 20cm. 잎은 돌려나기 또는 마주나기하며 타원형이고 잔톱니가 있다. 꽃은 암수한꽃으로 6월에 개화하며 2 ~ 3개의 흰색 꽃이 달리며 5개로 갈라진다. 잎과 줄기에 털이 없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10mm로 붉은색이며 9월에 익어서서 다음해 꽃이 필 때까지 달려 있다. 한방에서 줄기와 잎 말린 것을 자금우라 하여 혈액순환, 소변, 기관지염, 폐결핵, 옴의 약재로 사용한다고... 자금우과에 혼동하기 쉬운 것이 자금우, 산호수, 백량금이 있다. 자금우(紫金牛)는 이름 그대로 해석하면..
-
꽃기린 花麒麟 Crown of thorns초목류 wild flower/대극과 Euphorbiaceae 2008. 3. 23. 22:02
꽃기린(花麒麟) Crown of thorns, Crown of Thorns. 학명 Euphorbia milii var. splendens 마다가스카르 원산. 쌍떡잎식물 대극과 Euphorbia 속의 목본상 다육식물이다. 키 약 2m. 솟아오른 꽃 모양이 기린을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꽃잎은 없는데 꽃잎처럼 보이는 것은 포苞가 변한 것이란다. 2장의 포의 색깔은 노란색 붉은색이 있다. 포 안의 노란 알갱이 같은 것이 꽃기린의 진짜 꽃이다. 꽃이 핀 모양이 기린을 닮았다고 하여 꽃기린 또는 왕관을 닮았다고 하여 가시왕관이라고 한다. Crown of Thorns(예수의 가시면류관에서 연유) 기린(麒麟)은 어디서 왔을까. 기린(麒麟)은 중국 전설의 짐승으로 인수(仁獸)라고도 한다. 용과 말에서 태어난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