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자榠樝나무 Chaenomeles lagenari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4. 6. 20:37
명자榠樝나무 Chaenomeles lagenaria. 중국 원산. 장미과 명자나무속의 낙엽활엽관목. 키가 1-2m.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며 꽃은 4월에서 5월까지 백색, 분홍색, 빨강색이 계속 피고 열매는 크기 10cm 정도의 원형으로 모과를 닮았다. 그래서 과실도 모과(木果)인데 구토, 下痢(하리), 근육경련, 류머티성 마비, 脚氣(각기), 水腫(수종), 이질을 치료한다. 초 또는 약주(명자술)를 만들어 피로회복에 이용하고 이뇨작용이 있어 각기병, 류머티즘에 사용한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명자나무와 풀명자가 따로 구분된다. 장수매 http://ktk84378837.tistory.com/2393 http://ktk84378837.tistory.com/3435 http://ktk84378837.tisto..
-
현호색(玄胡索) Corydalis turtschaninovii초목류 wild flower/현호색과 Fumariaceae 2008. 4. 1. 10:03
현호색 Corydalis turtschaninovii . 연호색(延胡索), 남화채, 원호, 보물주머니. 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1∼2회 3개씩 갈라진다. 4월에 5~10개의 연한 홍자색 꽃이 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달려 핀다. 꽃받침은 2개이고 꽃 모양이 종달새의 머리깃과 닮았다. 수술은 6개가 둘로 합쳐지고 암술은 1개이다. 6∼7월에 긴 타원형의 삭과가 달려 익는데 염주 모양이다. 주로 순환계·운동계 질환을 다스린다.관련질병: 견비통, 경련, 골절, 골절증, 두통, 복통, 산증, 산후변혈, 풍도를 다스린다. 애기현호색 http://ktk84378837.tistory.com/4557 점현호색 http://ktk84378837.tistory.com/4555 댓잎현호색 http://ktk84378837.ti..
-
머위 butterbur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4. 1. 09:56
동의보감에 머휘로 나오는 머위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한방에서는 머위의 꽃봉오리를 관동화라 부른다. 산지 자갈밭에서 자라는 개머위는 산머위라고도 부른다. 털머위나 멸가치를 개머위로 혼동하기도 하는데 제각기 다른 식물이다. 머위 butterbur. 머국, 머우, 흑남과(黑南瓜), 사두초(蛇頭草), 학명 Petasites japonicus. 봉두채(峰斗菜) 잎은 꽃이 진 다음에 뿌리잎이 뿌리줄기에서 뭉쳐나고 신장형으로서 가장자리에 이빨 모양의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3~4월에 잎이 나오기 전에 뿌리줄기 끝에서 꽃줄기가 나와 산방 꽃차례로 핀다. 5~7월에 원통 모양의 수과가 달린다. 말린 머위의 꽃줄기와 꽃봉오리를 관동(款冬)이라고 하며 어린 잎은 식용하고 주로 호흡기, 소화기, 비뇨기 질환을 다스린다..
-
대파 welsh-onion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4. 1. 09:52
김희정의 작물백과를 인용하여 파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파의 점질물은 셀룰로즈와 헤미셀룰로즈, 프로토펙텐, 수용성 펙틴 등 다당류의 복합물이 수분 때문에 용액화한 것으로 과당, 포도당. 서당류가 흡수되어진 것이다. 파의 자극성물질은 파속류의 공통적인 냄새로서, 황화아미노산인 아린(Alliin)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파 특유의 냄새로 알려진 아리신(Allicin)이라는 성분이 비타민 B1을 활성화하여 특정병원균에 대해 강한 살균력을 나타내고 있다. 건위, 살균, 이뇨, 발한(發汗), 정장(整腸), 구충(驅蟲), 거담(去痰) 등의 효과가 어느 정도 인정되고 있다. " 대파 welsh-onion. 굵은파, 동총(冬葱), 총(葱), 총백(葱白), 총연(葱涎), 화사초(花事草), 학명 Allium f..
-
황새냉이 Cardamine flexuosa초목류 wild flower/십자화과 Brassicaceae, Cruciferae 2008. 3. 31. 17:31
황새냉이 Wavy bittercress. flexuous-bittercress, 만곡쇄미제(彎曲碎米薺), 쇄미제(碎米薺), 학명 Cardamine flexuosa 싸라기제, 풍접초목 겨자과 황새냉이속의 두해살이풀, 논밭 근처와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10-30cm, 줄기는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는데 어두운 보라색을 띠며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3-7갈래 깃꼴로 갈라지고 맨 끝의 갈래잎이 다소 크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열매는 익으면 2개의 조각으로 터진다. 어린잎과 줄기를 나물로 먹는다. 명목, 양혈, 조경, 청열에 사용한다. 냉이 http://ktk84378837.tistory.com/358 http://ktk84378837.tistory.com/90..
-
미선(尾扇)나무 White Forsythia초목류 wild flower/물푸레나무과(목서과) Oleaceae 2008. 3. 31. 12:14
. 미선(尾扇)나무 White Forsythia. 물푸레나무과. 미선(美扇), 학명 Abeliophyllum distichum .궁중 연회에서 시녀 둘이 왕의 좌우에서 해 가리개로 들고 있는 커다란 부채가 미선이다. 열매 모양이 이 둥근부채를 닮아 붙은 이름이다. 분홍색 꽃을 피우는 미선나무는 아련한 느낌이다. 충청북도 괴산군의 군자산록 전석지에서 자라는 우리나라 특산식물의 하나로 1종 1변종 3품종으로 구성된다. 미선나무의 자생지는 천연기념물 제147·220·221·364·370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미선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3407 미선나무라고 아시는지 / 김종제 예전에는 조선육도목(朝鮮六道木)이라고 흔하게 있었다고 하지만 지금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