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히어리 Corylopsis coreana초목류 wild flower/조록나무과 Hamamelidaceae 2008. 3. 31. 11:27
호남대 임동욱교수의 기고문을 인용하여 이해를 돕자. "송광은 송광사 부근에서 채집되어서, 납판화는 꽃이 벌집의 밀랍모양에서 따온 것이다. 그 후 ‘송광꽃나무’로 부르기도 하고, 북한에서는 분포하지는 않지만 학계에서 ‘납판나무’로 부르고 있다. 최근 이창복 박사가 전라도 방언에서 따온 ‘히어리’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히어리는 순천지역에서 시오리로 부르고 있다. 그 어원은 큰 산자락의 주능선이나 남사면에 분포하지 않고, 골짜기를 따라 북사면에만 분포하므로 마치 시오리 간격마다 출현하는 종으로 알려져서 향명으로 ‘시오리’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시오리는 십리(4km)에 오리(2km)를 더한 약 6km 거리를 의미하는데, 계족산 아래 청소골지역 히어리는 골짜기를 따라 시오리 정도 떨어져 분포한다. " 히어..
-
홍매화(紅梅花) Prunus mume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3. 31. 11:04
梅花 Prunus mume, 일지춘(一枝春), 군자향(君子香), 중국 원산. 장미과 벚나무속의 상록 활엽 소교목. 높이 5m. 4월에 잎보다 먼저 연한 홍색이 도는 흰빛으로 피는데 꽃자루는 없고 향기가 강하다. 꽃잎은 5개가 기본형이고 7월에 둥근 핵과가 달려 황색으로 익는데 이것을 매실이라 한다. 성숙하기 전의 매실을 청매, 성숙하고 난 뒤의 매실을 황매라고 한다. 살구와 비슷하게 생겨 혼동하기 쉽다. 난초, 국화, 대나무와 더불어 4군자의 하나로 유명하다. 주로 소화기 질환을 다스리고, 건위제로 효험이 있다. 오래 전부터 목마름, 설사, 만성기침 등의 치료를 위한 약재로도 쓰여 온 식재다. 구연산과 무기질 등이 풍부하여, 체내 신진대사 활성화, 노폐물 제거 등 피로 개선에 도움을 주는 건강 기능성을 ..
-
청매화(靑梅) Prunus mume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3. 31. 10:30
梅花 Prunus mume, 일지춘(一枝春), 군자향(君子香), 중국 원산. 장미과 벚나무속의 상록 활엽 소교목. 높이 5m. 4월에 잎보다 먼저 연한 홍색이 도는 흰빛으로 피는데 꽃자루는 없고 향기가 강하다. 꽃잎은 5개가 기본형이고 7월에 둥근 핵과가 달려 황색으로 익는데 이것을 매실이라 한다. 성숙하기 전의 매실을 청매, 성숙하고 난 뒤의 매실을 황매라고 한다. 살구와 비슷하게 생겨 혼동하기 쉽다. 난초, 국화, 대나무와 더불어 4군자의 하나로 유명하다. 주로 소화기 질환을 다스리고, 건위제로 효험이 있다. 오래 전부터 목마름, 설사, 만성기침 등의 치료를 위한 약재로도 쓰여 온 식재다. 구연산과 무기질 등이 풍부하여, 체내 신진대사 활성화, 노폐물 제거 등 피로 개선에 도움을 주는 건강 기능성을 ..
-
자목련 紫木蓮 Magnolia liliflora초목류 wild flower/목련과 Magnoliaceae 2008. 3. 28. 14:46
자목련 紫木蓮 Magnolia liliflora. 자주색(紫朱色) 거 묘한 색이다. 짙은 남빛을 띤 붉은색이라는 정의가 내려져 있다. 검은 계통인 검자주색과 밝은 계통인 꽃자주색으로 다시 분류된다. 하근찬의 에는 "벌건 불길이 구름을 태우고 온 벌판으로 쏟아져 내렸다. 강물도 꽃자주색으로 출렁거리고, 불어오는 바람에도 붉은 빛깔이 물들어 있었다."는 대목에서 잘 쓰였다. 권순홍은 에 나타난 어휘들을 연구하면서 자주색은 권력(權力), 권위(權威), 부(富)를 상징한다고하였다. 그래서 이 빛깔로 옷을 해 입으면 황제의 색이다. 자목련의 거만한 자태가 품위 높은 귀족의 자태를 뽐내는 백목련을 거느리고 있다. 일목련 http://ktk84378837.tistory.com/197 http://ktk84378837..
-
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초목류 wild flower/녹나무과 Lauraceae 2008. 3. 28. 14:41
생강나무는 자기 몸에 상처가 나면 방어기제로 뿜어내는 생강 냄새를 뿜어낸다. 김유정의 에는 강원도 사투리로 동백꽃이라 한다. 마지막 장면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그리고 뭣에 떠다밀렸는지 나의 어깨를 짚은 채 그대로 퍽 쓰러진다. 그 바람에 나의 몸뚱이도 겹쳐서 쓰러지며 한창 피어 퍼드러진 노란 동백꽃 속으로 폭 파묻혀 버렸다. 알싸한 그리고 향긋한 그 냄새에 나는 땅이 꺼지는 듯이 온 정신이 고만 아찔하였다." 生薑나무 Japanese Spice Bush. 학명 Lindera obtusiloba Blume. 산호초(山胡椒), 삼찬풍(三鑽風). 납매(蠟梅), 동박나무. 개동백나무. 녹나무목 녹나무과 생강나무속의 소교목. 잎은 어긋나며, 심장형 또는 난형으로 3-5갈래로 크게 갈라진다. 꽃은 3-4월에 잎..
-
오, 너는 살구? apricot tree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3. 28. 14:37
살구나무 꽃이 화들짝 피어났다. apricot tree. 행목(杏木), 행핵자(杏核子), 초금단(草金丹). 학명 Prunus armeniaca. 중국 원산. 장미과의 낙엽 활엽 소교목. 높이 5m.. 4월에 잎보다 먼저 연분홍색의 오판화가 지난해 나온 가지에 핀다. 7월에 지름 3cm 정도의 핵과가 달려 황색 또는 황색을 띤 붉은색으로 익는다. 열매에는 비타민 A와 천연 담류가 풍부하다. 또한 말린 열매에서는 철분을 섭취할 수 있다. 씨알맹이를 행인(杏仁)이라 하여 주로 이비인후과, 호흡기 질환을 다스리며, 각종 체증을 풀어 준다. 꽃받침이 뾰족하고 뒤쪽으로 졎혀지면 살구이고, 꽃빋침이 둥글고 뒤쪽으로 젖혀지지 않으면 매화이다. 살구나무의 이름은 열매가 익을 때 개를 잡았다는 데서 개살구(殺狗)라 하였다..
-
깽깽이가 피었습니다 Twin leaf초목류 wild flower/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2008. 3. 26. 20:19
깽깽이풀 Twin leaf, 뿌리가 노란색이라서 황련, 산련풀, 학명 Jeffersonia dubia.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의 다년초. 지구상에 딱 2종이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우리나라에 있고, 북미 원산의 미국깽깽이풀이 있다. 높이 20cm. 잎은 뿌리에서 여러 장이 나며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붉은 보라색 또는 드물게 흰색으로 핀다. 열매는 삭과다. 충매에 의한 번식을 하는데 씨앗을 개미가 개미굴로 가져가 씨앗에 붙은 달콤한 엘라이오솜을 먹고 버리므로 자연스럽게 싹이 돋는다. 한방에서는 모황련(毛黃蓮)이라 하여 소화불량, 식욕부진, 오심(惡心), 장염, 설사, 구내염, 안질 등에 처방한다. 깽깽이풀 http://ktk84378837.tistory.com/3433 http://ktk84378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