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동충하초(冬蟲夏草) yarsagumba초목류 wild flower/버섯 mushroom 2008. 8. 22. 16:30
동막골을 보고 내려오는 오른쪽 길목에 누군가 동충하초를 발견했다. 눈에 띌 기회가 적은 녀석인지라 회원 대부분이 우루루 몰려가 카메라에 담기 시작했다. 동충하초과의 소형 버섯류임을 이제사 알게 되었다. 숙주가 되는 곤충은 나나니목의 붉은동충하초, 매미목의 매미동충하초, 벌목의 벌동충하초, 딱정벌레목, 메뚜기목 외에 거미에게도 기생하는 것이 있다. 이들 균은 숙주를 죽이고 곤봉 모양 또는 줄 모양 등의 자실체를 낸다. 따라서 겨울에는 벌레이던 것이 여름에는 버섯으로 변한다는 뜻에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 동충하초(冬蟲夏草)는 겨울(冬)에 벌레(蟲)의 모습으로 있다가 여름(夏)에 풀(草)처럼 곤충의 연약한 피부에서 버섯이 돋아난다는 데서 이름이 지어졌다. 동충하초의 포자가 곤충의 체내로 들어가는 경로는 동충..
-
수까치깨 Corchoropsis tomentosa초목류 wild flower/벽오동과 Sterculiaceae 2008. 8. 22. 14:50
벽오동과의 한해살이풀인 까치깨는 깻잎 모양에다 꽃의 경쾌함이 까치의 분위기를 빼꽂았다. 수까치깨 Tomentose corchoropsis. 푸른까치깨, 참까치깨, 민까치깨, 암까치깨, 학명 Corchoropsis tomentosa . 아욱목 벽오동과 까치깨속의 한해살이풀. 높이 60cm.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모양이고 꽃은 8-9월에 피며 황색이고 꽃받침이 뒤로 제껴진다. 열매는 삭과로 장각과 모양이다. 전체에 털이 밀생한다. 줄기 껍질을 섬유로 사용한다. 수까치깨는 열매 속에 깨처럼 작은 씨앗이 들어있고 꽃받침이 수직으로 젖혀져 있고 씨방의 모양이 길쭉하여 수컷을 의미하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까치깨 http://ktk84378837.tistory.com/1226 수까치깨 http://ktk84378..
-
서양톱풀 Common yarrow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8. 22. 14:49
서양톱풀 Common yarrow, Milfoil 국화과의 다년초. 유럽 원산. 학명 Achillea millefolium L. 높이 60~100cm. 잎은 대생하며, 톱니 모양이다. 6~9월에 흰색, 연홍색, 붉은 분홍색 꽃이 핀다. 서양에서는 잎을 지혈제로 사용하였는데, 프랑스에서는 연장에 다친 상처를 치료한다 하여 목수의 허브라고 한다. 속명인 아킬레아는 아킬레스가 트로이 전쟁 때 부상당한 병사들의 상처를 이 식물로 치료한 데서 붙여졌다 한다. 全草를 洋蓍草(양시초)라 하며 癰癤腫毒(옹절종독), 타박상, 痔瘡出血(치창출혈), 월경불순을 치료한다. 서양톱풀 http://ktk84378837.tistory.com/654 http://ktk84378837.tistory.com/2758 붉은톱풀 http:..
-
돌마타리 cliff-patrinia초목류 wild flower/마타리과 Valerianaceae 2008. 8. 22. 14:45
돌마타리 cliff-patrinia 마타리과, 학명 Patrinia rupestris (Pall.) Juss. 암패장(巖敗醬), 고린내 같은 냄새가 난다. 마타리와 달리 높이 20~60cm 정도이며 잎의 표면에 털이 없고 젖꼭지 모양의 돌기가 있고 금마타리에 비해 잎이 우상으로 갈라지고 화관에 거가 없다. 어린순은 식용하고 淸熱(청열), 해독, 活血(활혈), 排膿(배농)의 효능이 있다. 마타리 http://ktk84378837.tistory.com/620 http://ktk84378837.tistory.com/2000 돌마타리 http://ktk84378837.tistory.com/2759 http://ktk84378837.tistory.com/4049 마타리꽃 - 종댕이 길에서 / 최종진 그래요 제가 ..
-
마타리 dahurian-patrinia초목류 wild flower/마타리과 Valerianaceae 2008. 8. 22. 11:38
마타리 dahurian-patrinia. 고채(苦菜), 마초(馬草). 세기의 스파이 마타하리를 연상시키는 이름을 가진 마타리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Patrinia scabiosaefolia. 높이 90~180cm. 7~9월에 산방상으로 달리는 꽃은 황색이다. 뿌리에서는 콩 썩은 냄새가 난다하여 패장(敗醬)이라는 속명을 가지고 있다. 들판에 피는 노란꽃이라 하여 야황화, 야근, 여랑화 등의 이름이 있다. 어원은 밝혀지지 않았고 우리말로는 강양취, 가양취, 미역취라고도 한다. 본초명 고직(苦蘵), 녹장(鹿醬), 패장(敗醬), 황화패장(黃花敗醬)은 염증과 통증, 소염(消炎), 어혈(瘀血), 고름 빼는 약으로 사용한다. 연한 순을 나물로 먹는다. 이 외에도 멸종위기식물인 금마타리와 돌마타리가 있다. 마타리 h..
-
큰달맞이꽃 evening-primrose초목류 wild flower/바늘꽃과 Onagraceae 2008. 8. 22. 11:20
큰달맞이꽃 evening-primrose, 왕달맞이꽃. 바늘꽃과의 이년초. 남미 칠레가 원산인 귀회식물. 뿌리는 굵고 곧게 자라며 원줄기는 높이 70~140cm 정도이고 가지가 갈라진다. 로제트형으로 나오는 근생엽과 어긋나는 경생엽은 타원상 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다. 7~8월에 개화하며 원줄기와 가지 끝에 수상꽃차례로 피는 꽃은 황색이고 ‘달맞이꽃’보다 크다. 삭과는 4개로 갈라져서 많은 종자가 나오고 종자는 젖으면 점액이 생긴다. 암술이 수술보다 길이가 길고 열매의 털기부에 점이 있는 것이 ‘달맞이꽃’과 다르다. 어린잎과 꽃잎은 식용한다. 뿌리를 월견초(月見草)라 하여, 감기로 열이 높고 인후염이 있을 때 물에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종자를 월견자(月見子)라고 하여 고지혈증, 필수지방산..
-
바위떡풀 Saxifraga fortunei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08. 8. 22. 11:00
바위떡풀 Longleaf saxifrage. 지이산바위떡풀, 대문자꽃잎풀, 섬바위떡풀, 지이산떡풀, 광엽복특호이초(光葉福特虎耳草), 학명 Saxifraga fortunei 장미목 범의귀과 범의귀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없다. 잎은 뿌리에서 나며 둥근 콩팥형이고 가장자리가 11-17갈래로 얕게 갈라진다. 잎자루는 길고 거친 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꽃줄기 끝에서 원추상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흰색이거나 붉은빛이 도는 흰색이다. 꽃잎은 5장이고 위쪽 3장은 짧고, 아래쪽 2장은 길다. 열매는 삭과이며 난형이다. 울릉도에서 자라고 모두 어린 순을 식용으로 한다. 바위떡풀 http://ktk84378837.tistory.com/449 http://ktk84378837.tistory.com/1153 ht..
-
귀박쥐나물 Eared Indian plantain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8. 22. 10:23
귀박쥐나물 Eared Indian plantain 국화목 국화과 박쥐나물속의 다년초. 학명 Parasenecio auriculatus 높은 산 숲 속에 자라며 높이는 60~120cm. 줄기는 곧추서지만 마디를 따라 구불구불 자라며 꽃은 8-9월에 피며, 줄기 끝에 노란색 머리모양꽃이 핀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나래박쥐나물은 귀박쥐나물에 비해서 잎 밑부분의 귓불 길이가 2cm 이상으로 길고, 화관의 길이 8-9mm로 길다. 게박쥐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559 귀박쥐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4817 http://ktk84378837.tistory.com/2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