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자주(紫朱)꽃방망이 Dahurian clustered bellflower초목류 wild flower/초롱꽃과 Campanulaceae 2008. 8. 25. 09:47
자주(紫朱)꽃방망이 Dahurian clustered bellflower, danesblood-bellflower, 등룡화, 학명 Campanula glomerate , 북한명 꽃방망이, 본초명 취화풍령초(聚花風鈴草), 중북부지방의 산지나 풀밭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60~120cm, 모여 나는 근생엽은 잎자루가 길지만 어긋나는 경생엽은 위로 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진다. 잎몸은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7~8월에 자주색 꽃이 모여 달린다. 어린순을 식용한다. 경풍, 보익, 보폐, 인후염, 천식, 편도선염, 한열에 적용한다. 흰꽃이 몇 송이씩 붙는 흰자주꽃방망이는 백두산과 태백산에서 자란다. 꽃방망이는 아이들이 꽃가지 여러 개를 꺾어 긴 꼬챙이에 둥글고 길게 둘러 묶어 가지고 노..
-
솔이끼 hair cap moss초목류 wild flower/선태류 Bryophyte, 지의류 lichen 2008. 8. 25. 09:45
솔이끼 hair cap moss. 솔이끼과 솔이끼속의 선태식물. 높은 산의 건조한 암반이나 토양 등에 지의류와 함께 군생한다. 높이 5-20cm이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잎은 피침형 비늘조각처럼 생겼으며, 길이 6-8mm이고, 줄기에 나선형으로 빽빽하게 달린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마른 잎은 줄기에 달라붙는다. 암수딴포기이다. 포자낭은 달걀 모양이며, 겉에 주름이 있다. 포자는 바람에 날려 이동한다. 솔이끼 & 큰솔이끼 http://ktk84378837.tistory.com/367 물이끼 http://ktk84378837.tistory.com/3107 탑골이끼 http://ktk84378837.tistory.com/1132 http://ktk84378837.tistory.com/368 고메..
-
개아마(亞麻) Wild flax초목류 wild flower/아마과 Linaceae 2008. 8. 22. 22:47
개아마(亞麻) Wild flax. 학명 Linum stelleroides Planch. 쥐손이풀목 아마과 아마속의 한해살이풀로 들아마라고도 한다. 키는 40~60㎝.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길이 1-3cm, 폭 2-3mm로서 선형이며 엽병이 없고 3맥이 있다. 꽃은 6월에 지름 1cm가량의 연한 남자색으로 줄기나 가지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총산화서 비슷하게 달린다. 수술은 5개이며 수술대의 기부는 통으로 이합되며 1개의 암술이 있다. 삭과는 둥글고 5실이다. 줄기껍질은 섬유용으로 이용한다. 종자는 기름을 짜 공업용으로 쓴다. 전초와 종자를 변비증, 피부소양증, 심마진, 과민성피부염, 종기의 치료에 쓴다. 국어사전에 아마는 아마과 식물로, 개아마는 대극과 식물로 소개되어 있다. 건조한 풀밭에서 높이 40∼8..
-
구릿대 Dahurian Angelica초목류 wild flower/산형과(미나리과) apiaceae 2008. 8. 22. 22:32
구릿대 Dahurian Angelica, 미나리과의 두해살이 또는 세해살이풀로 백지(白芷), 대활(大活), 흥안백지, 독활, 산형과 당귀속의 이삼년초. 줄기가 구리빛이고 대나무처럼 곧다고 구릿대라 이름한다. 높이 1-2m, 윗부분의 잎은 작고 엽초는 굵어져서 거꿀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으로 된다. 꽃은 백색으로 6~8월에 피며 열매는 분과는 편평한 타원형이다. 뿌리를 白芷(백지)라 하며 두통, 祛風(거풍), 燥濕(조습), 消腫(소종),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한방에서 뿌리를 백지라 하여 발한, 진정, 감기, 두통, 치통에 사용한다. 개발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493 http://ktk84378837.tistory.com/2697 구릿대 http://ktk8437..
-
쇠서나물 japanese-oxtongue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8. 22. 22:17
쇠서나물 japanese-oxtongue. 모련채(毛蓮菜), 쇠세나물, 국화과 두해살이풀이다. 학명 Picris hieracioides var. 길가, 산비탈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90cm 내외로서 줄기가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붉은빛을 띤 갈색의 굳은 털이 있다. 6~9월에 개화한다. 잎에 거센 털이 있어 소의 혀같이 깔깔한 느낌이어서 쇠서나물(소의 혀나물)이라고 한다. 경상도 방언에 ㅎ은 ㅅ으로 지금도 소리를 내는만큼 비교적 어원을 쉽게 알 수 있는 이름이다. 어린 잎은 나물로 먹을 수 있으며 풀 전체를 고미건위(苦味健胃), 진정(鎭靜)에 약용한다. 꽃의 색깔이 연초록에 가까운 붉은서나물과 붉은 색깔의 주홍서나물이 있다. 주홍서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417 ..
-
큰땅빈대 Wolf-milk eyebane spurge초목류 wild flower/대극과 Euphorbiaceae 2008. 8. 22. 22:06
아래는 반날개빈대 큰땅빈대 spotted-spurge, nodding-spurge. 큰점박이풀, 반엽지면초(班葉地綿草).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의 일년초. 높이는 20~60cm이며 땅빈대나 애기땅빈대보다 잎이 크다. 땅바닥에 빈대처럼 납작하게 붙어 자라므로 부르는 이름이다. 꽃은 8-10월에 피며,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빈대는 피를 빨아먹는 야행성 곤충으로 몸길이는 6.5∼9mm이고, 몸빛깔은 대개 갈색이다. 나병, Q열, 브루셀라병 등을 옮기는 것으로 의심되지만 사람에게 걸리는 질병은 옮기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주거환경이 청결해지면서 볼 수 없는 해충이 되었다. 애기땅빈대는 작은 잎에 자주색 무늬가 있다. 땅빈대에 비해서 잎은 긴 타원형으로서 더욱 크고, 꽃은 녹색이 도는 흰색이므로 구분된다. ..
-
선괴불주머니 Corydalis pauciovulata초목류 wild flower/현호색과 Fumariaceae 2008. 8. 22. 16:59
선괴불주머니 Upright yellow corydalis. 현호색과의 이년초. 꽃은 7~9월에 피고 노란색이며 붉은 점이 있다. 길이 1.5~2cm로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학명 Corydalis pauciovulata Ohwi 산지의 습지에 난다. 비슷한 눈괴불주머니는 북한과 만주에 서식한다. 대한식물도감에 선괴불주머니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른 괴불주머니는 봄에 피는데 눈괴불주머니만 여름에 핀다. 괴불주머니 http://ktk84378837.tistory.com/4596 http://ktk84378837.tistory.com/3203 염주괴불주머니 http://ktk84378837.tistory.com/2278 선괴불주머니 http://ktk84378837.tistory.com/514 http://ktk..
-
소엽풍란[風蘭] Wind orchid초목류 wild flower/난초과 Orchidaceae 2008. 8. 22. 16:46
아내가 석부작으로 해놓은 풍란이 저를 닮은 하얀 꽃을 피웠다. 풍란 風蘭 Wind orchid. 꼬리난초. 선초(仙草). 난초과 풍란속의 다년초. 남부 해안지역에 자생한다. 길이는 3~8cm. 잎은 넓은 선형이고 꽃은 7월에 피고 순백색이나 오래 지나면 황색으로 변한다. 꽃잎은 3개는 상향하고, 측편의 2개는 하향한다. 입술모양꽃부리는 길이 7-8mm로서 젖혀지고 3개로 갈라진다. 잎의 변형과 무늬종, 향기 등이 다양한 품종들이다. 풍란 http://ktk84378837.tistory.com/5000 대엽풍란 & 소엽풍란 http://ktk84378837.tistory.com/276 소엽풍란 http://ktk84378837.tistory.com/3960 http://ktk84378837.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