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신경초(神經草) Mimosa pudica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9. 25. 14:49
신경초 Mimosa, common-sensitive-plant, 잠풀, 견소초(見笑草), 파수초, 민감풀, 갈호채(喝呼菜), 지수초, 콩과 미모사속의 여러해살이풀. 브라질 원산. 높이 30-100cm, 잔털과 가시가 있다. 꽃은 3-10월에 핀다. 꽃은 꽃자루 끝에 둥글게 모여 달리며 분홍색으로 핀다. 일명 미모사라 하는 이 신경초는 자기 몸을 만지면 금방 간저러워 못 살겠다는 듯 호들갑을 떨며 활짝 펼쳤던 잎을 접는다. 그래서 잠풀, 감응초, 함수초라는 이름도 있다. 조금만 건드려도 재빠르게 반응하는 것은 잔잎과 잎자루의 밑부분에 있는 특수세포에서 수분이 빠르게 방출되기 때문이다. 미모사과, 혹은 콩과로 분류하기도 하는 남미 원산의 다년초식물이다. 미모사와 같은 이름을 가진 사람이 있어 흥미롭다. 백제..
-
낮달맞이 Oenothera speciosa초목류 wild flower/바늘꽃과 Onagraceae 2008. 9. 25. 14:45
낮달맞이 oenorhera speciosa nutt. Pink Sundrops, Mexican Evening Primrose, 분홍월견초(粉紅月見草), 분색월견초(粉色月见草), 북미 원산의 바늘꽃과 여러해살이풀. 일반 달맞이꽃은 이름 그대로 저녁에 피었다가 오전에 지고 만다. 낮달맞이는 식물계의 청개구리라고 해야 할까. 낮에 피고 저녁이 되면 접는다 큰달맞이 http://ktk84378837.tistory.com/2761 http://ktk84378837.tistory.com/3884 씨방 http://ktk84378837.tistory.com/1772 황금낮달맞이 http://ktk84378837.tistory.com/2087 http://ktk84378837.tistory.com/4888 애기달맞이 ..
-
수련(睡蓮) 종합세트 water-lily초목류 wild flower/수련과 Nymphaeaceae 2008. 9. 23. 17:06
내가 연꽃마을에 주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연꽃마을은 내게 이런 의미와 기쁨과 아름다움을 준다. 가까이 연꽃마을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한 거다. 누가 영명 water lily 을수련(水蓮)으로 하지 않고 수련(睡蓮)으로 번역했을까. 수련(水蓮)이라 하면 어떻다고 그건 틀린 말입니다 수련(睡蓮)이 맞습니다 라고 우기는 걸까. 水蓮이단순하면서도 직시적인 이름인데 반해 (睡蓮은 한 걸음 관조적이고 성찰적인 이름이다. 사실 lily는 백합이나 나리를 뜻하기도 하며 백합목 백합과에 속하는 식물이다. 蓮은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에 속하는 말이므로蓮을lily 로 본 것은 잘못이 아닐까. 동서의 시각과 관점의 차이로 볼 수 있는 걸까. 식물 이름은 이명, 향명이 많기로 유명하니 구태여 수련(水蓮)을 문제삼을 이유가 ..
-
물양귀비(楊貴妃) Hydrocleys nymphoides초목류 wild flower/양귀비과 Papaveraceae 2008. 9. 23. 13:26
물양귀비 Water Poppy, Hydrocleys nymphoides. 택사목 양귀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아르헨티나 원산. 길이 50~60cm. 습지에서 자라는 수생식물로 흙속에 뿌리를 내리고 줄기의 일부분은 물속에서 일부분은 물위에 떠서 잎과 함께 자란다. 초록색의 둥근 잎은 물옥잠처럼 반질반질하고 깔끔하면서도 단순해 보이는 노오란 꽃잎이 3장으로 피고 꽃 중앙에 붉은 빛의 수술부분이 자리 잡고 있다. 물양귀비 http://ktk84378837.tistory.com/1311 http://ktk84378837.tistory.com/2631 http://ktk84378837.tistory.com/4903
-
황금 어리연 Nymphoides indica초목류 wild flower/조름나물과 Gentianaceae 2008. 9. 23. 13:23
어리연 Nymphoides indica. 조름나물과의 여러해살이 수생식물. 1~3개의 잎이 자라 물 위에 뜨는데 잎자루를 길게 하며 드문드문 자란다. 잎은 지름 7~20㎝로 뒷면은 자줏빛을 띤 갈색이다. 꽃은 흰색 바탕에 꽃잎 주변으로 가는 섬모들이 촘촘히 나 있고 중심부는 황색이다. 열매는 10~11월에 달리고 종자는 타원형이디. 노랑어리연꽃은 꽃이 노란색이며 3~4㎝로 어리연꽃보다 약간 더 크다. 황금 어리연은 아직 정명이 없다. 어리연 http://ktk84378837.tistory.com/1223 노랑어리연 http://ktk84378837.tistory.com/1355 http://ktk84378837.tistory.com/2632
-
여뀌 Pepper smartweed초목류 wild flower/마디풀과 Polygonaceae 2008. 9. 22. 16:07
마디풀과의 일년초인 여뀌 waterpepper, Pepper smartweed 는 버들여뀌, 매운여뀌, 날료(辣蓼), 수료(水蓼), 택료(澤蓼), 천료(川蓼)라고도 한다. 키 40~80cm 지혈의 효과가 있어 상처가 났을 때 찧어 바르기도 하고, 물에 풀으면 물고기가 정신을 잃어 떠올라 잡기도 한다. 각기, 감기, 강심제, 개선, 고혈압, 만성피로, 부종에 효능이 있다. 여뀌 http://ktk84378837.tistory.com/2801 http://ktk84378837.tistory.com/2639 가시여뀌 http://ktk84378837.tistory.com/5079 흰꽃여뀌 & 흰여뀌 http://ktk84378837.tistory.com/2640 흰꽃여뀌 http://ktk84378837.ti..
-
흰여뀌 Persicaria lapathifolia초목류 wild flower/마디풀과 Polygonaceae 2008. 9. 22. 15:27
흰꽃여뀌와 흰여뀌는 구태여 구분할 필요가 있겠느냐는 생각이 든다. 식물을 공부하다 보니 이런 경우가 참 많다는 걸 깨닫는다. 이런 의문을 가지면서도 떼내지 않으면 안 되겠다는 생각은 분명 딜레마다. 흰꽃여뀌는 순수하게 흰색으로만 꽃을 피운다. 흰여뀌는 붉은 색을 띤 흰색의 꽃을 피운다. 흰꽃여뀌는 줄기가 푸른데 흰여뀌는 붉은색이니 싸잡아 말하기는 아무래도 꺼림직하다. EBS에서 미기록종을 찾는데 헌신하는 어류학자 이야기를 다큐로 본 적이 있다. 수심 100미터를 넘는 경계수역에 들어가 미기록종을 찾아내는 그들의 학문적 열정을 생각하면 고개를 끄덕거리지 않을 수 없다. 내가 이렇게 문제를 제기했던 흰여뀌의 이미지는 아래는 같다. 흰여뀌 Persicaria lapathifolia. 마디풀과 > 여뀌속의 일년..
-
가막사리 Bur Beggarticks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9. 22. 12:12
가막사리 Bur Beggarticks. 오파(烏杷), 파파침(婆婆針), 학명 Bidens tripartite. 초롱꽃목 국화과 도깨비바늘속의 일년초.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 20∼150cm 정도 크기로 논이나 개울에서 흔히 자란다. 줄기는가지를 치며 전체에 털이 나 있다. 낭파초(狼把草)˙털가막사리라고도 부른다. 가막사리가 대체 무슨 말일까 궁금하다.가막 은 아마도 검다 에서 온 말이 아닐까. 가막사리의 씨앗은 모두 검은색이고 미국가막사리는 줄기까지 검다. 사리는 국수, 새끼, 실 따위를 동그랗게 포개어 감은 뭉치를 뜻하는데 가막사리의 씨앗이 그럴 듯하다. 사리는 싸리 라고 발음하는데 싸리는 싸리나무를 말하니그와 연관되는 것이 있는가?. 싸리비를 만들어 썼을까? 재질로 보아 싸리비를 만드는 재료로 쓰기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