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섬쑥부쟁이 Ulleungdo aster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10. 7. 23:14
섬쑥부쟁이 Ulleungdo aster. Aster glehni . 울릉도에서는 부지깽이나물이라 한다. 북한명 섬푸른산국.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의 다년초. 높이 1-1.5m.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긴 타원형이며 꽃은 8-9월에 흰색이다. 수과는 긴 타원형이고 10-11월에 결실한다. 어린 순을 식용한다. 본초 산백국(山白菊)은 감기의 열을 내리고 편도선염의 진해와 거담제로 사용한다. 구황식물로 배고픔을 잊기 위해 먹던 부지기아초(不知飢餓草)에서 왔다는 말도 있는데 모를 일이다. 같은 십자화과에 쑥부쟁이속에 노란꽃을 피우는 부지갱이나물Glabrous cranesbill(학명 Erysimum amurense Kitag)이 있다. 본래 부지갱이는 아궁이의 불을 땔 때에 불을 헤치거나 끌어내거나 거두어 넣거나..
-
까실쑥부쟁이 threevein-aster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10. 7. 23:12
까실쑥부쟁이 threevein-aster 곰의수해, 산쑥부쟁이, 학명 Aster ageratoides Turcz. 야백국(野白菊), 팔월백(八月白), 북한명 까실푸른산국. 높이는 1m 이고 8~9월에 자주색 보라색으로 핀다. 전초를 산백국(山白菊)이라 하여 風熱感氣(풍열감기), 편도선염, 기관지염, 정·瘡·腫(정·창·종), 毒蛇咬傷(독사교상), 벌에 쏘인 刺傷(자상)을 치료한다. 쑥부쟁이 http://ktk84378837.tistory.com/4341 http://ktk84378837.tistory.com/5273 http://ktk84378837.tistory.com/987 까실쑥부쟁이 http://ktk84378837.tistory.com/2598 무늬쑥부쟁이 http://ktk84378837.tis..
-
개쑥부쟁이 Meyendorf's aste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10. 7. 23:11
개쑥부쟁이 Meyendorf's aste. 북한명 산갯푸른산국. 국화과의 다년초. 학명 Aster meyendorfii 높이 40~80cm.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종선과 털이 있다.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다. 7~9월에 피는 두상화는 지름 3~4cm 정도이고 백색 또는 남자색(藍紫色)이다. 수과는 도란형이고 관모는 붉은빛이 돈다. 어린순은 식용하고 거담진해, 보익, 소풍, 이뇨, 청열, 해독, 해소에 좋다. 원정리. 쑥부쟁이 http://ktk84378837.tistory.com/4341 http://ktk84378837.tistory.com/5273 까실쑥부쟁이 http://ktk84378837.tistory.com/2598 무늬쑥부쟁이 http://ktk84378837.tistory.com/5626..
-
이고들빼기 Denticulate hawkweed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10. 7. 23:08
이고들빼기 Denticulate hawkweed 초롱꽃목 국화과 고들빼기속의 일이년초. 약사초(藥師草), 학명 Crepidiastrum denticulatum. 높이 30~70cm.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치아모양톱니가 있으므로 유래한다. 뿌리와 어린순을 식용한다. 건위, 발한, 소종, 이뇨, 이질, 장염, 종창, 진정, 최면, 충수염, 흉통에 좋다. 씀바귀 http://ktk84378837.tistory.com/954 http://ktk84378837.tistory.com/699 씀바귀 홀씨 http://ktk84378837.tistory.com/3185 산씀바귀 http://ktk84378837.tistory.com/9 벋음씀바귀 http://ktk84378837.tistory.com/772 흰선씀바귀 ..
-
자소엽(蘇葉) perilla초목류 wild flower/꿀풀과 Lamiaceae 2008. 10. 5. 22:14
차즈기 자소엽(蘇葉) perilla. 꿀풀과의 일년초. 히말라야, 중국 원산. 중국이 원산인 꿀풀과의 한해살이풀로 차조기라고도 하며 북한 이름과 한약명은 차즈기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20∼80cm이며 단면이 사각형이고 자줏빛이 돌며 향기가 있다. 차즈기는 잎이 자주색이고 꽃이 붉은색이라 구분이 쉽지만 청소엽은 마치 들깨와 흡사하다. 배암차즈기는 잎이 배춧잎 비슷하고 도톨도톨하다고 곰보배추라 하는데 박하의 잎과도 흡사하다. 어린 잎과 열매는 먹을 수 있으며 씨에서 얻은 기름은 향료로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잎을 소엽, 종자를 자소자(紫蘇子)라고 하여 발한, 진해, 건위, 이뇨, 진정 및 진통제로 사용한다. 생선이나 게를 먹고 식중독에 걸렸을 때 잎의 생즙을 마시거나 잎을 삶아서 먹는다고 한다. 청소엽..
-
큰자주달개비 Zebrina초목류 wild flower/닭의장풀과 Commelinaceae 2008. 10. 5. 22:00
멕시코가 원산인 닭의장풀과의 제브리나는 어여쁜 숙녀 이름이다. 부유하고 도도한 기품이 흘러넘치는 자주색 치마를 잔디밭에 솔솔 끌며 나타나 뭇 남성들의 가슴을 뭉클하게 만드는 매력이 있다. 제브리나는 닭의장풀과로 자주색달개비, 얼룩자주달개비, 얼룩청달개비 등이 있다. 자주달개비가 아닌 자주색달개비임을 산성공원식물원에 가서야 알게 되었다.. 자주달개비와 자주색달개비는 사촌간이다. 자주하트달개비 Tradescantia pallida 'Purpurea', 영명 Purple Heart, Purple Queen. 큰자주닭개비 Zebrina. 학명 Zebrina pendula. 분질배유목 닭의장풀과. 과테말라 멕시코원산. 덩굴성 초본으로 키는 50cm. 잎이 암적색 또는 암갈색이다. 'wandering Jews' '..
-
목화[木花] cotton초목류 wild flower/아욱과 Malvaceae 2008. 10. 5. 21:58
목화[木花] cotton. 면화(綿花), 학명은 Gossypium hirsutum L. (구 Gossypium indicum LAM.) 아욱과 목화속의 한해살이풀로 높이 90㎝. 열대에서는 다년생 목본식물로 180∼210㎝. 아프리카 남부 인도 원산. 인도에서는 기원전 3천년부터 재배되었으며, 우리나라는 1363년(공민왕 12)문익점(文益漸)이 원나라에서 씨앗을 가져와 장인인 정천익(鄭天益)이 경상도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에서 처음 재배하였다. 꽃은 7월 하순에서 8월 하순에 걸쳐 개화하며, 꽃봉오리가 맺히고 난 뒤 꽃이 피기까지는 약 30일이 소요된다. 꽃에는 5매의 꽃잎과 3매의 꽃받침, 1개의 암술 및 약 130개의 수술이 있다. 자가수정을 한 후 커진 자방을 다래라 한다. 다래는 달콤하여 먹을 수 ..
-
영평사 구절초(九節草) Korean chrysanthemum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10. 5. 21:45
구절초 Korean chrysanthemum 구절초 다린 물을 먹고 아이를 가졌다고 선모초(仙母草), 고뽕(苦蓬) Chrysanthemum zawadskii 국화과의 다년초. 50cm 음력 9월 9일 중양절에 채취한 것이 가장 약효가 좋다 하여 구절초라 한다. 줄기의 마디가 단오에는 다섯 중양절에는 아홉 마디가 된다는 뜻의 구와 중양절의 "절", 혹은 꺽는다는 뜻도 있다. 9~11월에 흰색 혹은 연한 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핀다. 식물 전체에서 짙은 국화 향기가 난다. 한약명 구절초(九折草)는 말려서 베개 속에 넣으면 두통이나 탈모에 효과가 있고, 머리칼이 희게 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고 한다. 주로 몸을 덥게 하고 부인과, 신경계 질환에 신효하다. 샤스타데이지 http://ktk84378837.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