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culture
-
첨성대 瞻星臺 -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1. 7. 22. 21:26
아래는 고려 때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개성 만월대 서쪽에 있는 첨성대 기대 https://youtu.be/9A_GYk0zFGs 첨성대(瞻星臺) /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 첨성대는 월성(경주) 가운데 우뚝 서 있고 瞻星臺兀月城中 옥피리 소리는 만고의 바람을 머금었네 玉笛聲含萬古風 문물은 때를 따르니 신라시대와 다르지만 文物隨時羅代異 아아 산과 물은 고금이 한가지로다 嗚呼山水古今同 첨성대(瞻星臺) / 매계 조위(梅溪 曺偉,1454~1503) 이이화서암천맥(離離禾黍暗阡陌) 나란히 자란 벼들로 둑길은 보이지 않는데 중유숭대고백척(中有崇臺高百尺) 한가운데에 백 척 높이의 대가 솟아있네 근연황온지중심(根連黃媼地中深) 뿌리를 황토 땅 깊숙이 내리고는 영대청산운외촉(影對靑山雲外矗) 청산을 마주하며 구름 밖으로 솟아..
-
안압지 & 임해전 -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1. 7. 22. 21:16
오후 일정을 마치면 식사 후에는 명색이 자유시간이지 음주와 가무의 시간입니다.우리의 음주문화가 어느 때부터인지 집 떠나면 코가 삐뚤어집니다.평소 갖지 못한 인간관계가 술 한잔에 오가면서 회포를 푸는 거지요.그래서 음주와 가무는 호탕한 사람들의 전유물인양 되어 있습니다.세상엔 영웅도 많고 호걸도 널려 있어서 음주가무에 능숙한 사람이 많습니다.나는 호탕하지도 못하고 음주니 가무와는 거리가 멀어서 이런 자리가 참 고역입니다.하여 야경으로 유명한 안압지로 알려진 임해전지 촬영을 염두에 두고 룸메이트인 조샘을 꼬드겨 숙소 앞에서 11번 버스를 탔습니다.안압지를 딱 보니 이런 곳에서의 음주가무는 할만 하겠다 싶었습니다.나는 갑자기 왕이 되어 생일을 축하하는 문무백관 내지는외교 사신들을 아래로 굽어보며 풍악을 울리라..
-
대원사(大源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1. 6. 14. 10:39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지리산(智異山)에 있는 삼국시대 승려 연기가 창건한 사찰. 548년(진흥왕 9) 연기(緣起)가 창건하여 평원사(平原寺)라 하였다. 그 뒤 폐사가 되었던 것을 1685년(숙종 11)운권(雲捲)이 옛터에 절을 짓고 대원암(大源庵)이라 하였으며, 1890년(고종 27)구봉(九峰)이 낡은 건물을 중건하고 서쪽에 조사영당(祖師影堂), 동쪽에 방장실(方丈室)과 강당을 짓고 대원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지리산 호랑이’라 불렸던 당대 3대 여걸 만허당 법일 스님은 대원사의 주지로 부임한 1955년부터 1986년까지 근30여년 동안 대원사의 중건에 힘써왔습니다. 대원사를 경남 양산의 석남사, 충남 예산의 견성암 등과 함께 우리나라 대표적인 비구니 참선도량으로 발돋움하게 하였다. - 대원사 홈페이지 ..
-
천기372호 개느삼 Echinosophora koreensis문화 culture/천연기념물 natural monument 2011. 5. 18. 19:57
개느삼은 콩과의 특산식물이며 천연기념물 제372호이다.양구 비봉공원 대암산 기슭에 자리잡은 자생지는 남방한계선이다. 한국자생식물원. 천기372호 개느삼. 개느삼은 평안남도, 함경남도, 강원도 양구 이북의 추운 지방에 분포한다. 줄기가 굵으며 키는 1m 정도로 자라고 넓은 잎은 봄에 돋았다가 가을에 떨어진다. 꽃은 황금색으로 이른 봄에 피며 줄기의 끝부분이 약간 꼬부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개느삼은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특산식물일 뿐만 아니라, 양구 비봉공원 대암산 기슭에 자리잡은 이곳 양구의 개느삼 자생지는 개느삼이 자랄 수 있는 남쪽한계선이 되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문화재청. 개느삼 http://ktk84378837.tistory.com/799 골담초 https://ktk8437883..
-
부여 미암사의 Buddha`s Birthday -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1. 5. 10. 23:17
세계 최대 와불상 이정표에 눈을 빼앗겨 찾아간 미암사.부처의 진신사리를 모셨다는 진신사리탑은 기계로 깎은 돌을 쌓았다. 대웅전 뿐인 조그만 절에 댕그마니 큰 와불만이 누워 있는데 아무리 좋게 보아도 옷가게 앞에 서 있는 인형을 뻥튀기 하고는 금박을 입힌 정도다.세계 최대가 뭐 그리 중요한 지는 몰라도 여하튼 커 보이기는 한다. 하도 커서 등쪽에 있는 문으로 들어가면 즉, 와불 속에 법당이 있다. 그러고 있는데 2555년 석탄일을 앞두고 세불(洗佛)의식을 진행하니 신도님들은 기꺼이 참여하라는 멘트가 나온다. 마침 방송국에서 취재까지 나왔다.미암사 진신사리1과. 오른쪽 끝에 보이는 미암(米巖)이 지방문화재 제371호인데 백제 무왕4년(602)에 관륵(觀勒)이 창건하였는데 의자왕 때 나당연합군에 의해 전소되었..
-
김장생의 돈암서원과 380살 무늬 white pine ring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1. 2. 24. 22:24
이상은 400여년 되었다는 동재 기둥의 무늬. 옹이도 꽃이다 / 노영숙 지금 이 자리는그냥 온 자리가 아니다 너는 떠나고네가 남긴 상처에꽃이 폈다 차가운 지성을 뿌려 놓고 떠난그 자리에진주가 반짝인다 아팠던 자리옹이도 꽃이다응도당에 걸린 돈암서원(遯巖書院) 현판.현판에 적힌 숭정은 명16대 황제(재위 1628~1644) 때 연호이며 경자년은 숭정33년 헌종 원년(1660)으로 이 해에 사액(賜額)되었음. 양성당을 가운데 두고 좌측인 동재(精義齋)와 우측이 서재(居敬齎).遯巖書院 사적383호, 인조34년(1634) 유림이 건축하였는데 본래 연산 숲말에 있다가 홍수로 고종때 현위치로 이전하였다.인근에 돼지형산의 돈암(遯巖)이 있어 서원의 이름을 땄다. 그런데 돈(遯)은 돼지(..
-
의림지(義林池) reservoir -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1. 2. 8. 18:43
호서(湖西) 호남(湖南)의 기준이 된 의림지. 오며 가며 의림지(義林池)는 언제나 볼까 했던 기억이 있다. 학창시절 국사 시간에는 뭐 그리 중한지 외우고 외워서 지금도 몇년도에 무슨 사건이 일어났는지 퍼뜩퍼뜩 떠오른다. 의림지도 그 중 기억나는 하나인데 삼한시대 인공저수지로 충북 제천에 있다. 삼국사기에 전하는 밀양 수산제나 김제 벽골제는 그 형체가 남아 있지 않다. 의림지는 옛 모습이 남아 있긴 해도 명승 20호로 지정되어 유원지로 변모되었다. 1월 한 달간 지속된 강추위로 꽁꽁 언 저수지에선 빙어낚시를 즐기고 썰매를 지친다. 제림이 잘된 늙은 소나무와 늘어진 버드나무가 오랜 역사를 말해주고 있다. 둘레는 약 2km, 수면은 약 160m², 수심은 8미터이다. 의림지는 우륵이 축조했다고도 하고, 현감 ..
-
갑사로 가는 길 temple -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1. 2. 2. 13:42
남매탑 http://ktk84378837.tistory.com/4434 갑사지 http://ktk84378837.tistory.com/3691 갑사 http://ktk84378837.tistory.com/5420 갑사철당간지주 http://ktk84378837.tistory.com/5420 갑사 가는 길 / 이운진 누구나 한 번은 길을 잃는다면 그래서 한 자리에 오래 서 있어야 한다면 거기, 서 있고 싶네 일주문 넘어가는 바람처럼 풍경소리에 걸음 멈추고 그곳에서 길을 잃고 싶네 산그늘 물소리 깊어져서 늙고 오래된 나무 꽃이 지고 꽃 피운 흔적도 지고 나면 말(言)까지 다 지우는 마음처럼 수만 개의 내 꿈들 떨구어 내는 일이 아프지 않을 때까지 저, 먼 길 끝나지 않았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