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
유회당(有懷堂)과 귀후재(歸厚齋)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6. 3. 29. 13:14
솟을삼문 열자마자 손바닥만한 연못 활수담(活水潭)과 돌다리를 건너 계단을 올라야 유회당(有懷堂)에 닿는다. 주자의 시 관유유감 기이(觀書有感 其二)에 나오는 爲有源頭活水來( 위유원두활수래, 신선한 물이 흘러 들어오기 때문이라네)에서 왔다고 한다. 유회당 왼쪽은 구시재(求是齋), 오른쪽은 불기재(不欺齋)이다. 양쪽 방문 가운데는 미수 허목(眉叟 許穆)이 쓴 전서 주련이 걸려있다. 아래의 세로로 쓴 두 글은 유회당의 증조부인 만회 권득기의 열글자 훈(十字訓)인데, 어느 때인가 미수 허목이 쓴 것이라 한다. 求是齋(구시재)의 주련 : 每事必求是(매사필구시, 모든 일은 반드시 옳은 것을 구하고) 不欺齋(불기재)의 주련 : 毋落第二義(무락제이의, 의롭지 않은 일에는 빠지지 말라). 또한, 不欺(불기)는 다음..
-
구례 운조루 雲鳥樓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6. 3. 24. 22:22
솟을대문에 길게 늘어진 노란 산수유. 솟을대문에 걸린 동물뼈는 벽사(僻邪)용으로 입향조(入鄕祖, 한 씨족이 어떤 장소에 처음 자리잡게 만든 조상)인 류이주(柳爾)가 문경새재에서 물리친 호랑이뼈라 한다. 정면이 사랑채. 오른쪽이 안채. 이 큰사랑채 대청 이름이 운조루다. 안채. 안채 벽면에 붙은 민화. 솟을 대문 옆으로 이어진 행랑채. 구례 운조루(雲鳥樓)는 중요민속자료 제8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조선 중기, 당시 낙안 군수를 지냈던 유이주(1726~1797)에 의해 지어진 집으로 99칸의 방을 가진 매우 큰 집이었다. 지금은 부분적으로 훼손이 되어 원래의 모습을 볼 수는 없지만 그런대로 큰 골격만큼은 유지되고 있다. 운조루 이름은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 에 나오는 문구의 머리글자를 ..
-
사육신 김문기(金文起)유허비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6. 3. 20. 21:53
김문기(金文起.1399-1456)의 고향에 세운 유허비. 충청북도기념물 44호. 김문기 사육신현창기념비. 김문기 사육신현창판정문. 백지리 들어가는 동구. 월류정 http://ktk84378837.tistory.com/1707 http://ktk84378837.tistory.com/4344 이지당 http://ktk84378837.tistory.com/1845 남간정사 http://ktk84378837.tistory.com/4417 http://ktk84378837.tistory.com/407 http://ktk84378837.tistory.com/6411송시열유허비 http://ktk84378837.tistory.com/1068 김문기유허비 http://ktk84378837.tistory.com/7179..
-
이사동 한옥마을과 김옥균생가지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6. 3. 17. 17:54
청렴과 진실된 마음으로 봉사하고 덕을 베푸는 삶의 태도가 묻어나는 세수청덕(世修淸德) 이 시는 1619년(광해11) 1월에 명나라의 요청으로 우리나라 군사가 청나라(후금)를 치러 나갔다가 3월에 요동의 심하(深河)에서 패했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지었다고 한다. 송담우음(松潭偶吟) / 송담 송남수 石嶺春猶早 沙村雪未消 鳥投溪外樹 人斷柳邊橋 野老偏憂國 山戎久據遼 西征健兒盡 閭巷日蕭條 돌 고개에 봄이 아직 일러서 사촌에는 눈이 녹지 않았네. 새는 골짜기 너머 숲으로 들어가고 인적은 버드나무 옆의 다리에도 끊겼네. 시골 늙은이는 오직 나라를 근심하는데 오랑캐는 오래 요동에 웅거하였네. 서쪽으로 정벌 나갔던 씩씩한 청년들 모두 죽고 마을은 날마다 쓸쓸하구나. 송남수 당우인 절우당(節友堂), 송담(松潭) 송남수(宋..
-
대전 송애당 松崖堂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6. 3. 9. 13:03
조선 효종 때 충청도 관찰사를 지낸 송애당(松崖堂) 김경여가 지은 팔작지붕 형태의 별당이다.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 호종하였다가 환도 후 비분강개하여 벼슬을 버리고 귀향한 것으로 전해진다. 당호 역시 '눈서리를 맞아도 변치 않는 소나무의 굳은 절개와 우뚝 선언덕의 굳센 기상을 마음에 간직하겠다'는 뜻이다. 대전시유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어 관리하고 있다. 월류정 http://ktk84378837.tistory.com/1707 http://ktk84378837.tistory.com/4344 이지당 http://ktk84378837.tistory.com/1845 남간정사 http://ktk84378837.tistory.com/4417 http://ktk84378837.tistory.com/407 http:/..
-
대전 쌍청당 雙淸堂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6. 3. 7. 22:07
은진송씨대종가 안내문은 세워져 있으나 다른 문화재처럼 문이 굳게 잠겨 있고 문틈을 기웃거리니 사람 사는 흔적이 보인다. 정면으로 보이는 건물의 당호는 원일당인데 사랑채이다. 은진 송씨 중시조이며 여말선초에 부사정(副司正, 종칠품의 무관직)을 지낸 쌍청당 송유(宋愉)가 회덕으로 낙향한 후 세종 14년(1432)에 건립한 별당이다. 조선태조의 계비인 신덕왕후(神德王后)가 붕어(崩御)한 뒤 위패가 태조묘(太祖廟)에 부(附)해지지 않자 이를 한탄하는 글을 올리고 낙향하였다고 한다. 왕비 신의왕후의 아들인 이방원이 왕위에 올라 신덕왕후 흔적지우기에 나섰기 때문이다. 중종 19년(1524)에 1차 중수를 거친 이래 총 7차례에 걸쳤고 지금의 집은 후손인 이사동으로 옮겨진 절우당의 주인 송담 송남수(宋柟壽)에 의해 ..
-
의병장 김선복(金善復)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6. 2. 25. 22:32
김선복(金善復) 충신각(忠臣閣)과 충신의성김공선복순의비(忠臣義城金公善復殉義碑) - 청주 문의 문화재단지. 의성김씨는 임진란시 의병과 일제식민통치시 독립투사가 많기로 유명한 명문가이다. 김선복(金善復)은 임진왜란 때 중봉(重峰) 조헌(趙憲)[1544~1592]과 더불어 창의하여 청주성을 탈환한 후, 1592년(선조 25) 8월 17일 충청도 금산 전투에서 칠백의사와 함께 장렬하게 순절한 의성김씨이다. 디지털향토문화대전에는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에는 의병장 조헌에 대한 기록과 함께 김선복에 대한 사실에 대해서도 “사인(士人) 박사진(朴士振), 김선복(金善復), 복응길(卜應吉), 신경일(申慶一), 서응시(徐應時), 윤여익(尹汝翼), 김성원(金聲遠), 박혼(朴渾), 조경남(趙敬男), 고명원(高明遠), 강..
-
대전 박팽년유허비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6. 2. 25. 21:55
우암사적공원 바로 아래 우암로 326번길 28.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호. 기념물1호. 대전기념물 제5호 김익희 묘소 http://ktk84378837.tistory.com/6768 대전기념물 제10호 보문산성 http://ktk84378837.tistory.com/3567 http://ktk84378837.tistory.com/5488 대전문화재자료 제7호 김반 김익겸묘소 http://ktk84378837.tistory.com/6585 대전문화재자료 제8호 창계 숭절사 http://ktk84378837.tistory.com/6456 대전문화재자료 제8호 박팽년유허비 http://ktk84378837.tistory.com/7150 대전문화재자료 제37호 관동묘려 http://ktk84378837.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