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참으아리 Clematis terniflora초목류 wild flower/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2008. 5. 23. 13:43
참으아리 vergins-bower. 목몽화통.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의 낙엽 활엽 만경목. 학명 Clematis terniflora DC. 길이가 5m. 잎은 마주나기하며 3~7개의 소엽으로 넓은 달걀모양이다. 꽃은 7-9월에 지름 2-3cm 백색으로 피고 꽃받침 잎은 4개로 긴 타원형이며 수술대는 꽃밥보다 길다. 열매는 수과로 잔털이 있고 긴 암술대가 달려 있다. 으아리의 根(근)을 威靈仙(위령선)이라 하며 祛風(거풍), 祛濕(거습), 經絡疏通(경락소통), 消痰涎(소담연), 散癖積(산벽적)의 효능이 있다. 으아리는 꽃의 지름이 12-20㎜이다. 방태산 할미밀망 http://ktk84378837.tistory.com/4714 사위질빵 http://ktk84378837.tistory.com/2858 htt..
-
완두 豌豆 pea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5. 23. 13:26
완두 豌豆 pea. 흰꽃완두, 콩과 완두속의 한두해살이풀. 학명 Pisum sativum L. 높이 1m. 잎은 어긋나며 깃꼴겹잎이며 1-3쌍의 작은잎으로 되고 끝이 갈라진 덩굴손이 있다. 작은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톱니가 약간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에 달리고 흰색이다. 열매는 협과로 선형이며 씨는 5개씩 들어 있고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꽃이 자주색인 것을 붉은완두라 한다. 완두 http://ktk84378837.tistory.com/3124 갯완두 http://ktk84378837.tistory.com/253 나래완두 http://ktk84378837.tistory.com/707 http://ktk84378837.tistory.com/2119 얼치기완두 http://k..
-
자주감자꽃 Solanum tuberosum초목류 wild flower/가지과 Solanaceae 2008. 5. 23. 13:13
감자 potato 가지목 가지과의 일년초. 남미 안데스 원산. 북저(北藷), 토감저(土甘藷), 양저(洋藷), 지저(地藷). 크기 60~100cm 학명 Solanum tuberosum L. 16c에 유럽에 전해지고 우리나라는 순조24년(1824)에 만주 간도에서 도입되었다. 세계적으로 중요한 식용작물 중의 하나로 덩이줄기를 먹는다. 감자에는 솔라닌이라는 알칼로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아린 맛이 있으며 싹이 트면 식중독을 일으킨다. 강원도 감자가 가장 유명하다. 자주감자 http://ktk84378837.tistory.com/3125 고구마꽃 http://ktk84378837.tistory.com/3934 http://ktk84378837.tistory.com/5863 자주감자꽃 / 김귀녀 나도 한 떨기 ..
-
아까시 Black Locust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5. 23. 10:55
아까시나무 Black Locust, false acasia, 한자어로는 자괴(刺槐). 학명 Robinia pseudo-acacia L. 콩과의 교목. 북미 원산. 구분을 해야 할지 하지 말아야 할지 어려운 일이 아까시와 아카시아다. 아까시는 북미 원산으로 나무껍질은 노란빛을 띤 갈색이고 세로로 갈라지며 턱잎이 변한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9∼19개이며 타원형이거나 달걀 모양이고 길이 2.5∼4.5cm이다.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우리가 알고 있는 아카시아는 아카시아가 아니라 아까시란다. 가시가 없고 꽃이 피지 않는 민둥아까시나무, 꽃이 분홍색이며 가지에 바늘 같은 가시가 빽빽이 나는 꽃아까시나무가 있다. 아카시아는 호주 쪽이 원산인데 잎은 짝수 2회 ..
-
신나무 Amur Maple초목류 wild flower/단풍나무과 Aceraceae 2008. 5. 23. 09:12
신나무 Amur Maple. 때깔나무의 뜻으로 색목(色木), 북한명 시닥나무. 학명 Acer tataricum subsp. 단풍나무과의 낙엽소교목으로 높이 2-10m, 잎은 마주나고 세모진 타원형이거나 달걀 모양이며 밑부분이 흔히 3개로 갈라진다. 꽃은 5-6월에 원추꽃차례 가지 끝에 노란색으로 달린다. 잎을 염료로 사용하기도 하였고 나무껍질을 간장염, 안질에 약으로 쓴다. 시과의 각도가 넓게 벌어지는 괭이신나무, 시과의 빛깔이 붉은 붉신나무가 있다. 싣(楓)나모>싯나모>신나무에서 유래했다는 말이 있다. 수원시 팔달구 신동(莘洞)은 예전에 신나무가 많아 신나무실 또는 신촌으로 불렸다는데, 이때 신은 개나리 신(莘)이다. 단풍의 비밀 http://ktk84378837.tistory.com/969 단풍5종 ..
-
찔레 Rosa multiflor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5. 23. 08:45
전설 없는 꽃도 드물다. 고려시대, 몽골에 처녀를 바치던 관례가 있는데 찔레라는 여인이 잡혀갔다. 찔레는 그리운 고향과 부모와 동생들의 생각을 지울 수가 없었다. 가난해도 고향이 좋고 지위가 낮아도 내 부모가 좋고, 남루한 옷을 입어도 내 형제가 좋았다. 고향을 그리는 마음을 버리지 못하고 10여 년의 세월을 눈물로 보내던 어느 날이었다. 찔레를 가엾게 여긴 주인은 사람을 보내 찔레의 가족을 찾아오라고 했으나 찾지 못하고 그냥 돌아왔다. 할 수 없이 찔레는 주인의 허락을 얻어 고향의 가족을 찾아 나섰다. 고려의 고향집을 찾아나선 찔레는 동생을 찾아 여기저기 산속을 헤매었으나 찾지 못했다. 슬픔에 잠김 찔레는 몽골로 다시 가서 사느니 차라리 죽는 것이 낫다고 생각해 고향집 근처에서 목을 매었다. 이후 골짜..
-
약모밀 Heartleaf Houttuynia초목류 wild flower/삼백초과 Saururaceae 2008. 5. 23. 08:27
아, 이 비릿한 내음. 약모밀 Heartleaf Houttuynia. 후추목 삼백초과 약모밀속의 다년초. 어성초(魚腥草), 십약(十藥), 어린초, 취채, 학명 Houttuynia cordata Thunb. 높이 10-60cm. 잎은 어긋나며 넓은 난형이고 꽃은 5-6월에 줄기 끝의 흰색으로 달린다. 전체에서 역겨운 냄새가 나는데 魚腥은 물고기의 비린내를 뜻한다. 하고 많은 냄새 가운데 비린내를 풍기는 풀이 또 있지는 않을것이다. 어성초[魚腥草]는 삼백초과의 약모밀에 해당한다. 그래서 약(藥)으로 쓸 수 있는 모밀을 닮은 풀이라는 뜻이다. 모밀은 메밀로 현대화되었다. 중국의 진(秦)나라에서는 저자(菹子), 즉 젓갈과 같은 냄새가 나는 식물이라 하여 즙채라고 불렀다. 원래는저(菹)인데 즙(蕺)과 소리가 비슷..
-
젓가락나물 Ranunculus chinensis초목류 wild flower/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2008. 5. 22. 16:18
젓가락나물 Asian buttercup, chinese-buttercup, 젓가락풀, 좀젖가락바구지, 반데나물, 학명 Ranunculus chinensis Bunge. 높이 40-80cm, 꽃은 5-8월에 피며 줄기와 가지 끝에서 달린다. 열매는 6-9월에 익는다. 미나리아재비과 두해살이풀 가운데 젓가락나물과 개구리미나리가 가장 혼동된다. 온몸에 털이 있는 것이나습한 양지에서 자라는 것도 똑같다. 수과 열매 끝이 곧은 것은 젓가락나물이고 굽은 것은 개구리미나리다. 개구리미나리는 잎이 미나리를 닮았다. 줄기가 가늘고 억세져서 젓가락같이 되는 데서 이름지어졌다. 이름이 같은 놋젓가락나물이 있는데 같은 미나리아재비과다. 꽃 모양과 색이 전혀 다른 투구형의 자주색 꽃을 피우는 한해살이 독초다. 왜젓가락나물도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