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개갓냉이 Rorippa indica초목류 wild flower/십자화과 Brassicaceae, Cruciferae 2008. 5. 17. 11:51
개갓냉이 Variable leaf yellowcress. indian-rorippa, 쇠냉이, 선속속이풀, 학명 Rorippa indica. 양귀비목 십자화과 개갓냉이속의 두해살이풀. 원줄기는 높이 20~40cm 정도이고 전체에 털이 없다. 모여 나는 근생엽은 갈라지거나 또는 갈라지지 않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어긋나는 경생엽은 갈라지지 않고 잎자루가 없다. 5~10월에 총상으로 황색꽃이 달린다. 열매는 이며 암술대가 있다. 종자는 황색이다. ‘속속이풀’과 달리 각과는 좁은 선형으로 길며 암술대는 굵고 짧다. 어린순은 식용하며 전초(全草)를 한채라 하며 淸熱(청열), 利尿(이뇨), 活血(활혈), 通經(통경)의 효능이 있다. 속속이풀 http://ktk84378837.tistory.com/1822 htt..
-
국수나무 Lace Shrub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5. 17. 11:50
Stephanandra incisa장미과의 낙엽활엽 관목인 국수나무는 줄기의 속이 하얀 코르크로 되어 있어 국수가닥 같으므로 붙은 이름이다.한자어로 수국(繡菊)이라 하는데 산지에서 높이 1∼2m로 자란다.잎이 5갈래로 갈라지면 나비같대서 나비국수나무다.열매에 털이 없는 양국수나무이고 털이 있는 중산국수나무도 있다.국수나무 Lace Shrub, 소전주화((小珍珠花), 수국(繡菊), 거렁뱅이나무, 야주란, 학명 Stephanandra incisa, 높이 1-2m. 꽃은 5-6월에 햇가지 끝에 노란빛이 도는 흰색꽃이 핀다. 꽃잎은 5장이다. 국수나무는 가지가 자랄 때는 적갈색이지만 나이를 먹으면서 하얗게 변한다. 가느다란 줄기 뻗음이 국수 면발이 연상된다고 이름이 붙여졌다. 잘라서 세로로 찢어 보면 목질은 얼..
-
구슬붕이 Gentiana squarrosa초목류 wild flower/용담과 Gentianaceae 2008. 5. 17. 11:49
구슬붕이 Gentiana squarrosa. 용담에 비해 작아서 소용담. 용담과 용담속의 두해살이풀, 높이가 2-10cm. 줄기 밑에 달리는 잎들은 몇 장씩 돌려 나나 줄기 위에 달리는 잎은 2장씩 마주나며, 잎 밑은 줄기를 감싼다. 꽃은 연한 보라색이며 5~6월에 가지 끝에 1송이씩 피는데, 통꽃으로 꽃부리가 5갈래로 갈라진다. 꽃받침갈래가 뒤로 젖혀진다. 열매는 삭과로 익는다. 전초(全草)를 石龍膽(석용담)이라 하며 일체의 惡瘡(악창), 無名腫毒(무명종독) 및 급성결막염을 치료한다. 좀구슬붕이는 잎이 선형이고 작다. 구슬붕이 http://ktk84378837.tistory.com/4710 http://ktk84378837.tistory.com/2309 http://ktk84378837.tistory...
-
찔레꽃 Rosa multiflor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5. 17. 11:46
찔레꽃 baby brier. 상장미(棠薔薇), 야장미(野薔薇), 들장미, 학명 Rosa multiflora Thunb. 장미과 장미속의 낙엽성 관목. 높이 2m. 소엽은 5 ~ 9개로 타원형이며 꽃은 5월에 개화하며 지름 2cm로 흰색 또는 연한 붉은색으로 핀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8mm로 붉은색이며 10월에 익는다. 열매는 영실(營實)이라 하여 “각종 종기와 성병이 낫지 않는 것과 머리에 나는 부스럼과 백독창(白禿瘡) 등에 쓴다.” 뿌리는 “열독풍으로 종기가 생긴 것을 치료하며, 적백이질과 혈변으로 피를 쏟는 것을 멎게 하고, 어린이가 감충(疳蟲)으로 배가 아파하는 것을 낫게 한다.” 薔薇花(장미화)는 暑熱吐血(서열토혈), 口渴(구갈), 瀉痢(사리), 말라리아, 刀傷出血(도상출혈)을 치료한다. 營實(..
-
씀바귀 홀씨 되어 dentata-ixeris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5. 17. 09:26
민들레 홀씨보다는 확실히 성기다. 씀바귀 dentata-ixeris, 씸배나물, 국화과의 다년초. 활혈초(活血草), 은혈단(隱血丹). 본초를 고채(苦菜), 산고매(山苦買), 황과채(黃瓜菜)는 식용하고 간염(만성간염), 강장보호, 건위, 골절, 골절증, 구고 등에 효과가 있다. 《시경》 〈곡풍(谷風)〉에 “누가 씀바귀를 쓰다고 하였던가 내게는 달기가 냉이와 같네”라는 노래 구절이 나온다. 《시경》 〈곡풍(谷風)〉에 “누가 씀바귀를 쓰다고 하였던가? 내게는 달기가 냉이와 같네”라는 노래 구절이 나온다. 씀바귀 http://ktk84378837.tistory.com/954 씀바귀 홀씨 http://ktk84378837.tistory.com/3185 산씀바귀 http://ktk84378837.tistory.co..
-
선개불알풀 corn-speedwell초목류 wild flower/현삼과 Scrophulariaceae 2008. 5. 17. 09:22
선개불알풀 corn-speedwell. 선봄까지꽃, 선지금, 선조롱박풀, 북한명 들꼬리풀. 학명 Veronica arvensis L. 본초명 비한초(脾寒草), 직립파파납(直立婆婆納), 현삼과의 한두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10~25cm 정도이고 짧은 털이 있다. 마주나는 잎은 삼각상 난형이며 윗부분의 잎은 어긋나고 크기가 작다. 5~7월에 피는 꽃은 벽자색이고 삭과는 너비 4mm 정도의 도심장형이며 끝이 깊게 파진다. 개불알꽃에 비해 곧추서고 소화경이 없거나 몹시 짧으며 꽃받침도 몹시 짧고 종자는 평탄하다. 골절, 방광염, 요통, 절상, 중풍, 학질에 효능이 있다. 개불알풀 http://ktk84378837.tistory.com/333 http://ktk84378837.tistory.com/1600 개불알..
-
백선(白蘚) fraxinella초목류 wild flower/운향과 Rutaceae 2008. 5. 17. 08:55
백선 fraxinella, 백선피(白鮮皮), 백전, 백양피(白羊皮), 뿌리의 모양이 봉황을 닮고 약효가 산삼과 같아 하여 봉황삼(鳳凰蔘), 봉삼, 팔고우(八股牛), 금작아초(金爵兒椒), 자래초, 검화, 학명 Dictamnus dasycarpus Turcz. 무환자나무목 운향과 백선속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의 반그늘 혹은 햇볕이 잘 드는 습기가 많은 곳에 자란다. 줄기는 높이 60-90cm, 밑부분이 딱딱하지만 운향과 식물들 가운데 유일하게 나무가 아닌 풀이므로 구분된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2-4쌍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톱니가 있다. 꽃은 흰색 바탕에 엷은 홍색의 줄무늬가 있다. 5-6월에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연한 붉은색을 띤다. 꽃차례와 꽃자루에 기름구멍이 많아 역한..
-
은난초 Erect cephalanthera초목류 wild flower/난초과 Orchidaceae 2008. 5. 17. 08:49
은난초 銀蘭草 Erect cephalanthera. 난초과 은대난초속의 다년초. 학명 Cephalanthera erecta. 물 빠짐이 좋은 반그늘 혹은 양지에서 자란다. 높이 40-60cm. 잎은 어긋나기하고 기부는 줄기를 감싸며 털이 없고 끝이 뾰족하다. 꽃은 5월에 피고 백색으로서 3~10개가 원줄기 끝에 달린다. 꽃잎은 넓은 피침형이며 꽃받침보다 약간 짧고 끝이 둔하다. 입술모양꽃부리는 밑부분이 짧은 거(距)로 되어 꽃밖으로 나온다. 은난초는 꽃이 은빛이고 금난초는 꽃이 황색으로 구분된다. 은난초 http://ktk84378837.tistory.com/3188 http://ktk84378837.tistory.com/775 은대난초 http://ktk84378837.tistory.com/3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