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좀소리쟁이 Rumex nipponicus 와 참소리쟁이 Rumex japonicus초목류 wild flower/마디풀과 Polygonaceae 2008. 5. 27. 11:29
위는 좀소리쟁이 Rumex nipponicus Franch. 마디풀과 소리쟁이속의 일이년초. 높이 30~60cm. 밑부분의 잎은 피침형이고 꽃은 7~8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고 과시의 화피는 황갈색이다. 과실은 수과로 세모지고 광택이 있다. 해변의 모래밭에 난다. 아래는 참소리쟁이 참소리쟁이 Rumex japonicus. 높이 40-100cm. 근생엽은 모여나기하고 가장자리가 물결모양이다. 높이 40-100cm이고 줄기는 녹색이며 곧고 종선이 많다. 꽃은 양성으로 5-7월에 피고 연한 녹색이고 군데군데 잎같은 포가 있다. 수과는 넓은 난상 삼각형이다. 뿌리인 양제근(羊蹄根)은 大便燥結(대변조결), 淋濁(임탁), 황달, 토혈, 腸風(장풍), 기능성 자궁출혈, 禿瘡(독창), 疥癬(개선), 癰腫(옹종), 타박상..
-
물이끼 sphagnum moss초목류 wild flower/선태류 Bryophyte, 지의류 lichen 2008. 5. 27. 11:29
물이끼 Sphagnum palustre. sphagnum moss. 물이끼과 물이끼속의 선태류. 길이 10-30cm의 암수한그루로 많은 가지를 낸다. 가지는 4-5개가 한 곳에서 나오는데, 그 중 2-3개의 굵은 가지는 옆으로 퍼지고 2개의 가는 가지는 밑으로 처져 줄기를 덮는다. 잎은 주맥이 없고 투명한 세포와 녹색 세포의 두 종류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투명한 세포는 물을 저장하므로 크기가 크고 막에는 선상의 비후 부분이 있으며 커다란 구멍이 존재한다. 한편, 녹색의 세포는 길쭉한 모양이며 투명한 세포를 둘러싸고 있어서 그물코처럼 보이기도 한다. 꽃잎이끼 http://ktk84378837.tistory.com/5434 http://ktk84378837.tistory.com/2391 나무연지이끼 htt..
-
속속이풀 Rorippa palustris초목류 wild flower/십자화과 Brassicaceae, Cruciferae 2008. 5. 27. 11:27
속속이풀 Northern marsh yellowcress. 학명 Rorippa palustris 풍접초목 십자화과 개갓냉이속의 두해살이풀. 높이 30-60cm. 뿌리잎은 깃꼴로 깊게 갈라지고 잎자루에 좁은 날개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가장자리는 얕게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고, 잎자루가 없다. 꽃은 5-6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열매는 각과이고 긴 타원형이다. 어린잎을 식용한다. 전초(全草)를 風花菜(풍화채)라 하며 황달, 水腫(수종), 淋病(임병), 喉痛(후통), 癰腫(옹종), 화상을 치료한다. 개갓냉이에 비해 열매는 짧고, 암술대는 짧으며, 잎이 깊게 갈라진다. 구슬갓냉이에 비해 열매는 긴 타원형이므로 구분된다. 냉이 http://ktk84378837.tistory.com/358 http://ktk8..
-
흰물칭개 water-speedwell albino초목류 wild flower/현삼과 Scrophulariaceae 2008. 5. 27. 11:26
큰물칭개나물 water-speedwell. 물까지꽃, 큰물꼬리풀, 물냉이아재비, 학명 Veronica anagallis-aquatica L. 현삼과의 이년초. 높이 40~120cm, 마주나는 잎은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낮은 톱니가 있다. 7~8월에 개화하며 연한 하늘색 바탕에 자주색의 줄이 있다. 삭과는 지름 3mm 정도로 둥글다. ‘물칭개나물’과 달리 소화경은 길이 3mm 정도로서 다소 위로 향한다. 식용하거나 퇴비나 사료로 이용한다. 밀원용으로 심기도 한다. 방광염, 요통, 절상, 중풍에 쓴다. 큰물칭개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1455 http://ktk84378837.tistory.com/3227 흰물칭개 http://ktk84378837.tistory.com..
-
지느러미엉겅퀴 Wilted Thistle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5. 27. 11:23
지느러미엉겅퀴 Wilted Thistle. 학명 Carduus crispus 영명 Carduus crispus, 엉거시, 목화(木禾), 뇌공채(雷公菜),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 키는 1m, 꽃은 5-8월에 피고 열매는 6-9월에 익는다. 줄기 양쪽에 지느러미 같은 가시가 있는 날개에서 이름이 유래한다. 어린줄기와 어린잎은 식용한다. 원산지는 유럽과 아시아의 온대지역이다. 전초를 이뇨제, 지혈제, 해열제로 쓰며 관절염 치료에 사용한다. 포천. 뻐꾹채 http://ktk84378837.tistory.com/1516 http://ktk84378837.tistory.com/6475 조뱅이 http://ktk84378837.tistory.com/1499 http://ktk84378837.tistor..
-
쇠뜨기 Equisetum arvense초목류 wild flower/속새과 Equisetaceae 2008. 5. 27. 11:20
쇠뜨기 Field horsetail, 뱀밥, 필두채(筆頭菜), 필두엽(筆頭葉), 접속초(接續草), 공심초(空心草), 학명 Equisetum arvense . 속새과의 여러해살이풀. 쇠뜨기는 소가 잘 뜯어먹는 풀이라 부른 이름이다. 뱀의 머리처럼 생긴 포자수 때문에 뱀밥이라고도 한다. 뱀딸기와 명명법이 비슷한 경우다. 쇠뜨기와 같은 양치식물은 씨앗이 없고 대신 포자로 번식한다. 3~4월에 생식줄기(포자체) 끝에 달려있는 포자낭이삭은 긴 타원형이고 육각형의 포자엽이 서로 붙어서 거북등처럼 되며 그 안쪽에 7개 내외의 포장낭이 달린다. 포자에는 각각 4개씩의 탄사(彈絲 : 포자를 튀어나오게 하는 실 모양의 구조)가 있어 습도에 따라 신축운동을 하므로 포자를 퍼뜨린다. 포자는 바람에 의해 멀리까지 날아가 있다가..
-
돌나물 stonecrop초목류 wild flower/돌나물과 Crassulaceae 2008. 5. 27. 11:11
돌나물 stonecrop 보통 돈나물이라 부르는 돌나물과의 다년초. 학명 Sedum sarmentosum Bunge 특유의 향과 신선도가 있어 나물로 먹는다. 본초명은 반지련(半支蓮), 불지갑(佛指甲), 석지갑(石指甲), 수분초(垂盆草)라 하며 咽喉腫痛(인후종통), 간염, 熱(열)로 인한 小便困難(소변곤란), 癰腫(옹종), 화상, 蛇,蟲咬傷(사,충교상)을 치료한다. 바위채송화 http://ktk84378837.tistory.com/2090 http://ktk84378837.tistory.com/128 돌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1340 http://ktk84378837.tistory.com/3116 말똥비름 http://ktk84378837.tistory.com/709..
-
작약 芍藥 Peony root초목류 wild flower/작약과 Paeoniaceae 2008. 5. 27. 10:25
이곳은 경기도 파주군 적성면 두지리의 함박골에 함박꽃이 흐드러졌다. 연약한 둘째가 입대한지 두 달 이등병 모습을 연상하면서 서울을 거쳐 통일로를 달려 파주에 도착했다. 외박하는 재미로 부대방문의 날보다 일찍 면회를 오라 해서 갔다. 아비는 동부전선을 지키는 백골부대의 화기소대 분대장으로 충성을 바쳤다. 아들은 대를 이어 비룡부대 화기중대 박격포 대원으로 국방임무에 충실하고 있다. 꽃은 함박 피었는데 왜 이렇게 억울한 생각이 들까. 작약 芍藥, 함박꽃, Peony root. 학명 Paeonia lactiflora Pall. 물레나물목 작약과 작약속의 여러해살이풀. 키는 50~80㎝이고 뿌리는 방추형이다. 흰색, 빨간색, 혼합된 색의 꽃은 5~6월에 원줄기 끝에서 1개가 핀다. 꽃받침은 5장이고, 꽃잎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