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노박덩굴 Oriental Bittersweet초목류 wild flower/노박덩굴과 Celastraceae 2008. 5. 20. 11:26
노란 껍징이 쪼개지면서 속에서 튀어나오는 주홍빛 열매가 탐스러운 노박덩굴의 꽃은 자잘자잘하고 푸릇푸릇해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노박덩굴과의 낙엽활엽 덩굴나무로 노박따위나무, 노방패너울, 노랑꽃나무라고도 한다. 덩굴성으로 줄기가 길 위까지 뻗쳐나와 길(路)을 가로막는다는 뜻의 노박폐(路泊廢)덩굴이 노박덩굴로 변하였다. 산과 들의 숲속에서길이 약 10m 로 자란다. 봄에 어린 잎을 나물로 먹고 종자는 기름을 짜며 나무껍질로는 섬유를 뽑는다. 종자가 노란색 껍질로 싸여 있는노랑노박덩굴, 잎 뒷면 맥 위에 기둥 모양의 돌기가 있고 어린 가지와 꽃이삭이 평평하고 넓으며 털이 없는 개노박덩굴, 잎이 둥글고 얇으며 길이와 나비가 각각 10cm 정도이고 잎자루가 2.1cm 정도인 얇은잎노박덩굴이 있다. 노박덩굴 Or..
-
흰꿀풀 Prunella vulgaris초목류 wild flower/꿀풀과 Lamiaceae 2008. 5. 20. 11:22
흰꿀풀 Prunella vulgaris f. albiflora 꿀풀목 꿀풀과 꿀풀속의 다년초. 하고초(夏枯草), 내동(乃東), 꿀방방이, 가지골나물, 연밀(燕蜜), 학명 Prunella vulgaris var. 높이 20-60cm. 잎은 마주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톱니가 조금 있다. 꽃은 5-7월에 줄기 끝의 수상꽃차례에 빽빽이 달리며, 보라색, 분홍색, 흰색, 입술 모양이다. 열매는 소견과이며 노란빛이 도는 갈색으로 익는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이뇨제로 쓰기도 한다. 흰꿀풀 http://ktk84378837.tistory.com/3183 꿀풀 http://ktk84378837.tistory.com/750 꿀풀 / 김윤현 한 잎으로 가슴이 열리고 두 잎으로 마음이 깊어진다며 꿀풀은 몸을 바로 세웁니다 ..
-
방울비짜루 Few-twig asparagus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5. 20. 10:06
방울비짜루 Few-twig asparagus, 백합과 비짜루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에서 높이 50∼100cm. 꽃은 6-7월에 황록색이며 암·수꽃이 딴 그루에서 1-2개씩 아귀에 달린다. 포기 전체가 빗자루같이 생겼으며 꽃자루 끝에 달린 열매가 방울처럼 보인다. 외모가 비슷한 바닷가에서 자라는 천문동(天門冬)은 높이가 1-2미터에 달하고 꽃자루가 줄기에 붙은 듯 짧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7-8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긴 꽃자루끝에 방울처럼 둥근 열매가 달리기 때문에 방울비짜루라고 한다. 어린순을 식용한다. 민간에서 비짜루와 더불어 뿌리와 전초를 지혈, 이뇨약으로 쓰며 열매와 근경을 신경쇠약, 자궁출혈, 폐결핵 등에 쓴다. 노간주비짜루 열매 http://ktk84378837.tistory.com/5391..
-
왕둥굴레 Polygonatum robustum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5. 20. 10:03
왕둥굴레 Robust solomon's seal. 여위(女委), 황지(黃芝), 백합과 둥굴레속의 다년초. 학명 Polygonatum robustum. 울릉도에 자생한다. 높이 50-90cm로 위쪽이 비스듬하게 자라며, 겉에 능선이 없다. 잎은 좁은 타원형으로 9-15장이 어긋난다. 잎자루는 길이 8mm쯤으로서 뚜렷하다. 꽃은 5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난 길이 1-3cm의 꽃대에 2-5개가 피며, 녹색이 도는 흰색이다. 화관은 통 모양이다. 열매는 둥근 장과이며 검게 익는다. 根莖(근경)을 玉竹(옥죽)이라 하며 주로 심장 질환과 호흡기 질환 즉 건해, 당뇨병, 번갈, 산후허로, 소변간삽, 폐결핵, 협심증을 다스린다. 둥글레 http://ktk84378837.tistory.com/688 열매 http://ktk..
-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초목류 wild flower/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2008. 5. 17. 11:58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의 다년초. ‘미나리’와 ‘아재비’의 합성어이다. ‘아재비’가 붙으니 미나리와 모양은 비슷지 않으니 생태가 비슷해서 온 이름일 것이다. 식물에 독성이 있어 잘못 먹었던 아이들이 죽었기 때문에 아이를 잡는 ‘아잽이’란 단어가 붙었다는 설도 있다. 줄기 속이 비어 있어 애기가 젓가락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가볍다는 뜻으로 애기젓가락풀이라고도 한다. 꽃잎에 광택이 있으므로 유독성 식물이란 뜻이다. 햇볕이 잘 들고 적당히 물기가 있는 곳에서 잘 자란다. 미나리아재비와 같은 속에 속하는 식물에 바위미나리아재비, 구름미나리아재비, 왜미나리아재비, 기는미나리아재비, 왜젓가락나물, 개구리자리, 개구리갓, 매..
-
민청가시덩굴 Smooth Siebold's greenbrier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5. 17. 11:56
민청가시덩굴 Smooth Siebold's greenbrier. 백합과 청미래덩굴속의 낙엽 활엽 만경목. 길이가 5m. 백합과의 낙엽 덩굴식물로 粘魚鬚(점어수)라는 한자명이 있다. 길이 5m 내외로 벋어가며 능선과 곧은 가시가 있고 가지는 딱딱하며 녹색이다. 꽃은 6월에 피고 화피열편(花被裂片)은 6개로서 타원형이며 다소 육질이고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검은빛의 열매가 아름다우며 생울타리를 만들면 경관이 아름답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청미래덩굴 http://ktk84378837.tistory.com/852 http://ktk84378837.tistory.com/2321 청미래덩굴 열매 http://ktk84378837.tistory.com/3457 http://ktk84378837.t..
-
벌깨덩굴 Nettle-leaf mint초목류 wild flower/꿀풀과 Lamiaceae 2008. 5. 17. 11:54
벌깨덩굴 Nettle-leaf mint. 줄방아나물. 학명 Meehania urticifolia. 꿀풀목 꿀풀과 벌깨덩굴속의 다년초. 잎은 깻잎을 닮았고 줄기를 뻗으니 벌깨덩굴이라고 하는가? 산지의 응달에서 자라며 네모난 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새로운 뿌리가 내린다. 잎은 삼각형의 심장형 또는 난형으로 마주 나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잎 겨드랑이와 줄기 끝에 4송이씩 달리는데 연한 자줏빛이며 자색 점들과 흰 털이 있다. 유사한 종으로는 흰벌깨덩굴과 붉은벌깨덩굴이 있다. 어린잎을 식용한다. 밀원식물. 벌깨덩굴 http://ktk84378837.tistory.com/2199 http://ktk84378837.tistory.com/3178 꽃이름 외우듯이 / 이해인 우리 산 우리 들에 피는 ..
-
점나도나물 Cerastium holosteoides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08. 5. 17. 11:54
논밭의 언저리에서 나물 같지도 않은 풀이 업신여김을 받았는지나도 나물이라고 소리치고 있다. 학명 Cerastium holosteoides 석죽과의 두해살이풀인 점나도나물은 이채(耳菜), 권이(卷耳), 파파(婆婆), 지갑채(指甲菜)라고도 한다. 학명에 세라스티움(Cerastium)은 그리스어 Cerastes(뿔 모양)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니 꽃이 피기전 봉오리의 모습에서 유래된 이름인가 싶다. 일본명인 이채는 잎새 모양이 쥐의 귀를 닮았다는 뜻이겠다. 밭이나 들에서높이 15∼25cm로 자란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고 가축의 먹이로도 쓰인다. 북점나도나물, 북선점나도나물, 유럽점나도나물, 각시통점나도나물 등이 있다. 유럽점나도나물은 꽃자루가 꽃받침에 비하여 짧고, 점나도나물은 꽃받침보다 길게 나온다. 유럽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