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개망초 Annual fleabane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5. 20. 21:34
개망초 Annual fleabane 초롱꽃목 국화과의 이년초. 계란꽃, 치학초, 왜풀, 천장초(千張草), 지백채(地白菜), 풍년초, 넓은잎잔꽃풀. 학명 Erigeron annuus (L.) 높이 30-100cm. 꽃은 지름 2cm 정도로 6~8월에 흰색으로 핀다. 가장자리의 꽃은 암술만 가지고 있으며, 중앙부위의 꽃은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가지고 있다. 망초는 꽃의 모양이 종모양이고 개망초보다 작다. 꽃이 피는 시기도 개망초보다 조금 늦게 7~9월에 핀다. 암꽃이 좁은 통모양으로 되고 잎이 선형으로 좁은 것은 실망초이다. 어린순을 식용한다. 全草 및 根을 一年蓬(일년봉)이라 하며 소화불량, 腸炎(장염)의 설사, 전염성 간염, 淋巴節炎(임파절염), 血尿(혈뇨)를 치료한다. 망초 http://ktk843788..
-
노랑꽃창포 Iris pseudacorus초목류 wild flower/붓꽃과 Iridaceae 2008. 5. 20. 21:28
노랑꽃창포가 있는 풍경 Yellow flag-iris. Water flag, Jacob's wort, 옥선화(玉蟬花), 서양창포, 서양꽃창포, 학명 Iris pseudacorus L. 노랑꽃창포는 우리나라에서 옛부터 여인들이 단오날 머리감기에 애용했던 창포와 잎이나 생태는 같지만, 창포의 녹색의 부들 같은 형태의 꽃이 아닌, 노란색 화려한 꽃을 피우는 데서 이름지어졌다.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 식물이라 "서양꽃창포"라고도 하며, 지금은 널리 퍼져서 웬만한 연못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크기는 1m 정도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뻗어나가지 않고 전체가 튼튼한 큰 그루로 되어 있으며 내부의 육질은 담홍색이다. 줄기는 둥근모양에 잎이 무더기로 난다. 잎은 칼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녹색으로 ..
-
큰방가지똥 prickly-sowthistle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5. 20. 21:11
큰방가지똥 prickly-sowthistle. Spiny Sow-thistle, 개방가지똥. 북한명 큰방가지풀. 고거채(苦苣菜), 속단국(續斷菊). 학명 Sonchus asper (L.) 국화과 방가지똥속의 일이년초. 유럽 원산. 높이 40~120cm 정도로 가지가 갈라진다. 둥근 줄기는 굵고 속이 비어 있으며 줄이 있고 남색이 도는 녹색으로 자르면 유액이 나온다. 6~10월에 산형으로 달리는 두상화는 지름 1~2cm 정도로 설상화로 구성되며 황색이다. 수과는 길이 3mm 정도의 난상 타원형이다. 방가지똥’과 달리 잎이 줄기에 달리는 곳은 둥근 이저로 되며 잎 가장자리의 가시는 굵고 수과의 옆줄은 뚜렷하지 않다. 어린순을 식용하며 급성인후염, 대변출혈, 대하증, 소변출혈, 소종화어, 양혈지혈, 이질, 종..
-
수리딸기 Rubus corchorifolius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5. 20. 20:33
수리딸기 a kind of wild strawberry, Rubus corchorifolius 현구자(懸鉤子), 연구자(沿鉤子), 장미과 산딸기속의 낙엽 활엽 관목. 수리딸기는 수릿날(단오) 전후해서 꽃이 피는 딸기나무이기에 부른 이름인데 높이 1m 내외로 자란다. 줄기에 털이 없고 잎의 뒷면 맥 위에만 털이 다소 있는 청수리딸기가 있다. 높이 1m. 잎은 어긋나기하며 표면은 맥 위에 털이 있고 뒷면은 융털이 밀생한다. 꽃은 2월 ~ 3월에 개화한다. 열매는 둥글며 노란붉은색이고 4 ~ 6월에 성숙한다. 懸鉤子(현구자) 는 痛風(통풍-筋肉(근육)류머티즘類(류)), 丹毒(단독), 遺精(유정)을 치료한다. 간장과 호흡기 질환을 다스리며, 신경계 질환에도 효험이 있다. 거제딸기 http://ktk8437883..
-
갈퀴덩굴 Galium spurium초목류 wild flower/꼭두서니과 Rubiaceae 2008. 5. 20. 20:13
갈퀴덩굴 false-cleavers. 꼭두서니목 꼭두선이과 갈퀴덩굴속의 일이년초. 가시랑쿠, 거거등(鋸鋸藤), 납납등(拉拉藤), 저앙앙(猪殃殃), 팔선초(八仙草). 학명 Galium spurium L. 줄기는 덩굴지며, 가지를 치고 길이 40-100cm, 네모지며, 모서리에 거꾸로 향한 짧고 굳은 가시털이 많다. 잎은 보통 6장씩 돌려나며 잎자루는 없다. 잎몸은 좁은 피침형으로 길이 2.5-4.8cm, 폭 3-6mm, 끝은 까락처럼 되며, 가장자리와 뒷면 맥에 밑을 향한 가시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화관은 연녹색, 끝은 4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분과, 2개씩 붙으며, 겉에 갈고리 모양의 가시털이 많다. 큰잎갈퀴에 비해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로 잎..
-
개옻나무 East Asian sumac초목류 wild flower/옻나무과 Anacardiaceae 2008. 5. 20. 12:21
개옻나무 Chinese Sumac, Bristly fruit sumac, East Asian sumac, 칠사(漆渣), 칠저(漆底), 학명 Rhus trichocarpa. 북한에선 옻나무보다 털이 많다고 털옻나무, 무환자나무목 옻나무과 붉나무속의 낙엽 활엽 소교목 혹은 관목. 높이 7m. 잎은 어긋나기하며 홀수깃모양겹잎이며 소엽은 13 ~ 17개이며 타원형이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4월 말 ~ 6월 중순에 개화하는데 녹황색의 작은 꽃이 조밀하게 달리고 원뿔모양꽃차례다. 매는 핵과로 편구형이며 9월 초 ~ 11월 말에 성숙한다. 잎을 칠엽(漆葉), 씨를 칠수자(漆樹子), 건피를 칠수피(漆樹皮), 심재(心材 : 나무줄기의 중심부인 단단한 부분)를 칠수심(漆樹心)이라 하며 건위, 관절염(화농성관절염), 구충, ..
-
때죽나무 Japanese Snowbell초목류 wild flower/때죽나무과 Styracaceae 2008. 5. 20. 12:09
때죽나무 Japanese Snowbell. Japanese styrax. 감나무목 때죽나뭇과 때죽나무속의 낙엽성 교목. 높이 10m.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형 5 ~ 6월에 흰색으로 개화한다. 열매는 핵과로 회백색인데 삭발한 스님이 떼로 몰려드는 모습에서 이름을 유추하기도 한다. ‘에고노끼’라는 일본 이름에서 딴 때죽나무의 에고사포닌(egosaponin)은 물고기의 아가미 호흡을 일시적으로 마비시키는 어독(魚毒)이 있어 고기잡이에 이용했으며, 고기가 떼로 죽어 떠올랐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수피의 색깔이 검어서 때가 낀 것처럼 보인다는 유래도 있다. 허북구 박석근 이일병의 공저인 에는 열매와 과피를 물에 불린 다음 그 물(사포닌이 함유)로 빨래를 하는데, 때를 쭉 뺀다는 뜻에서 때죽나..
-
토끼풀 clover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5. 20. 11:45
토끼풀 clover. 학명 Trifolium repens . 유럽이 원산이지만 이제 우리풀 같은 토끼풀은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 20∼30cm 정도이고 전체적으로 털이 없고, 땅위로 뻗어가는 줄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잎이 긴 잎자루에 달린다. 잎은 3장이 붙어서 한 개의 잎을 이룬다. 잎자루는 길이 5∼15cm로서 길다. 잎은 심장 모양이고 길이 15∼25mm, 너비 10∼25mm이다. 끝은 둥글거나 오목하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유럽에서는 6월 24일 또는 그 전날밤에 뜯은 4잎토끼풀은 악마를 물리친다고 믿었다. 433년 성(聖) 패트릭이 아일랜드에 가톨릭을 선교할 때 그리스도의 삼위일체를 이것으로 설명하였다. 이후 이 꽃은 아일랜드의 국화가 되었고 3개의 작은잎은 애정, 무용, 기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