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뱀딸기 Duchesnea chrysanth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6. 16. 16:05
뱀딸기 Duchesnea chrysantha. 사매(蛇莓), 잎은 어긋나며 3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3출 겹잎이고 잎자루가 길다. 4~5월에 노란색의 오판화가 1개씩 달려 핀다. 6월에 지름 1cm 정도인 둥근 수과가 달려 붉게 익는다. 장미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일명 사매, 산뱀딸기, 배암딸기, 야양매 등으로 불린다. 전국의 산과 들녘의 풀밭 햇볕이 잘 쬐는 곳에서 자란다. 열매가 익을 무렵에 줄기가 길게 뻗는데 꽃이 지면 딸기모양의 붉은 열매가 열린다. 이 풀이 자라는 곳에 뱀이 많이 돌아다니기 때문에 이름이 지어진 듯하다. 열매는 식용하고 온포기를 사과초(蛇果草) 또는 정창초(疔瘡草)라고 하는데 해열제, 진해제로 쓴다. 양지꽃 http://ktk84378837.tistory.com/2532 솜..
-
도루박이 Scirpus radicans초목류 wild flower/사초과 Cyperaceae 2008. 6. 11. 15:12
하늘지긴가 했더니 인디카의 어떤 분이 금시초문인 도루박이란다. 도루박이 Rooting bulrush, woodland-bulrush, 먼검정골, 줄검정골. 북한명 민검정골, 학명 Scirpus radicans Schkuhr.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습지나 물가에서 자란다. 높이는 1∼1.5m이며, 7∼10개의 마디가 있다. 도루박이란 이름이 낯설기도 하고 무슨 말인가 싶은데 재미난 풀이가 있다. 꽃이 피는 줄기와 꽃이 피지 않는 줄기가 있는데 이중 꽃이 피지 않는 줄기가 끝이 밑으로 쳐지면서 땅에 뿌리를 내린다고 도루박이가 되었단다.(http://blog.daum.net/kualum/11636140) 도루박이 http://ktk84378837.tistory.com/3062
-
말채나무 Korean Dogwood초목류 wild flower/층층나무과 Cornaceae 2008. 6. 11. 14:59
화양 푸른 계곡물을 내려다 보고 말채나무가 법석을 떨고 있다. 말채나무 Korean Dogwood. Walter Dogwood. 朝鮮松楊, 거양목(車梁木) 말채찍나무, 학명 Cornus walteri. 높이 10m. 수피는 흑갈색으로 그물처럼 갈라지고 어린 가지는 연갈색이고 부드러운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마주나며, 길이 1-3cm의 잎자루가 있으며, 잎몸은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다. 잎 뒷면은 연녹색 또는 흰색을 띠며 짧은 센털이 많다. 측맥은 4-5쌍이다. 꽃은 5-6월에 피며 가지 끝에서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꽃잎은 4장이고 타원형이며 흰색이다. 열매는 핵과이고 둥글며 검게 익는다. 가구재나 기구재로 쓰고, 이뇨 및 지사제로 쓴다. 층층나무 http://ktk84378837.tistor..
-
각시둥굴레 Dwarf solomon's seal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6. 11. 14:25
빗방울은 구질구질 성기게도 떨어지는데 받아놓은 날짜인지 청남대를 찾은 사람들이 꽤 된다. 예전에 청남대 길은 드라이브나 소풍 코스로 참 좋았는데 돈독이 오른 지자체에서 가로막아 단체관광이 아니고는 셔틀버스를 이용해야 통행할 수 있는 또다른 상업독재 금역이 되어 있었다. 오각정으로 오르는 길목에 꽃은 이미졌지만 각시둥굴레를 본것으로 위를 해본다. 각시둥굴레는 둥굴레아재비라고도 부르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팻말에 각시둥굴레라 해서 그러려니 하는데 아무리 봐도 왕둥굴레 비슷하다. 작고 예쁘거나 해서 붙는 각시인 줄 아는데 잘못 알고 있나 둥굴레 치고는 장대하다. 아재비는 아저씨의 사투리니 각시라는 말과는 상충된다. 어린 줄기와 잎을을 나물이나 국거리로 이용할 수 있지만 삶아도 쓴맛이 나므로 물에 우려내야..
-
족제비싸리 Bastard Indigo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6. 11. 14:20
족제비싸리 Bastard Indigo. 장미목 콩과 족제비싸리속의 낙엽 활엽 관목. 북미 원산. 높이 3m. 잎은 어긋나기하며 뒷면에 잔털이 없거나 약간 존재한다. 5 ~ 6월에 자줏빛 보라색으로 향기가 강한 꽃이 핀다. 열매는 9월에 성숙한다. 잎은 혈압강하작용이 있고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꽃색이 족제비 털색과 비슷하고 줄기를 문지르면 족제비와 비슷한 고린내가 나므로 유래된 이름이다. 털족제비싸리는 키가 1m쯤 자라며 밑의 소엽이 가지에 가깝게 달리고 잎에 털이 있다. 족제비싸리 http://ktk84378837.tistory.com/208 http://ktk84378837.tistory.com/3065
-
쇠물푸레나무 Fraxinus sieboldiana초목류 wild flower/물푸레나무과(목서과) Oleaceae 2008. 6. 9. 20:27
물푸레나무과 물푸레나무속의 낙엽 활엽 소교목. 좀쇠물푸레나무. 계룡쇠물푸레. 높이 10m. 학명 Fraxinus sieboldiana Bl. 잎은 마주나기를 하며 뒷면은 중앙맥에 털이 있다. 꽃은 암수딴몸이다. 5월경 새 가지 끝에 피침형의 흰색 꽃이 많이 피고 꽃밥이 황색이다. 열매는 시과(翅果)로 선 모양의 피침형 또는 거꿀 피침형으로 9월에 홍갈색으로 익는다. 껍질을 진피(秦皮)라고 하며 이질, 대하, 다래끼, 안구충혈, 동통, 해수와 진해, 거담작용 등에 쓴다. 특히 만성 기관지염에 유효율이 높다고 한다. 나무가 질기고 단단해서 도끼, 괭이, 쟁기자루, 써레, 소코뚜레 등의 연장을 만든다. 쇠물푸레나무는 잎은 넓은 피침형 또는 긴 달걀모양이고 양끝이 뾰족하며 잔톱니가 있다. 쇠물푸레나무 http:..
-
산(山)골무꽃 Mountain skullcap초목류 wild flower/꿀풀과 Lamiaceae 2008. 6. 9. 20:19
산골무꽃 Mountain skullcap. 꿀풀목 꿀풀과 골무꽃속의 다년초. 학명 Scutellaria pekinensis var. 줄기는 높이 25cm쯤으로 겉에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가 길다. 잎몸은 난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피며 이삭꽃차례에 달리고 연한 자주색이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위쪽 갈래는 투구 모양이다. 화관의 아랫입술은 얕게 갈라진다. 열매는 4개의 소견과로 된다. 어린순은 식용하고, 全草(전초)를 韓信草(한신초)라 하며 타박상, 吐血(토혈), 咳血(해혈), (옹종정독-정창으로 重症(중증)인 것), 候風(후풍-急性 咽喉疾患(급성 인후질환)), 齒痛(치통)을 치료한다. 열매가 마치 골무같이 생겼다. 골무는 바느질 하는중에 바늘이 손밑을 찌르지 않도록 헝겊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