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술패랭이 Dianthus superbus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08. 6. 24. 11:52
술패랭이 Fringed Pink. 석죽(石竹), 대란(大蘭), 장통구맥, 수패랭이꽃, 사시미(四時美), 거구맥(巨句麥), 학명 Dianthus superbus. 석죽과 패랭이꽃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30-100cm. 잎은 마주나기하며 선형이고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잎은 5개로 밑부분이 가늘고 길며 끝이 깊이 잘게 갈라지고 그 밑에 털이 있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2개이다. 삭과는 원주형이다. 全草(전초)를 瞿麥(구맥)이라 하며 小便不通(소변불통), 혈뇨, 腎炎(신염), 淋病(임병), 水腫(수종), 무월경, 癰腫(옹종), 목적장예, 浸淫瘡毒(침음창독)을 치료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술패랭이 http://ktk84378837.tis..
-
노랑물봉선 Impatiens noli-tangere초목류 wild flower/봉선화과 Balsaminaceae 2008. 6. 24. 11:51
노랑물봉선 yellow-balsam, Western touch-me-not. 학명 Impatiens noli-tangere L. 무환자나무목 봉선화과 물봉선속의 일년초. 본초명 수금봉(水金鳳), 야봉선화(野鳳仙花), 산지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40~80cm. 8~9월에 개화하며 연한 황색이다. 삭과는 피침형이다. 붉은빛이 강한 자주색꽃을 피우는 물봉선과 검은빛을 띤 자주색으로 피는 가야물봉선과 흰물봉선도 있다. 노랑물봉선과 아종인 미색물봉선이 있다. 전초를 월경불순, 통경, 풍습통, 타박상, 음낭습진, 뱀독 등에 쓴다. 봉선화 http://ktk84378837.tistory.com/98 http://ktk84378837.tistory.com/3586 열매 http://ktk84378837.tistor..
-
찰피(皮)나무 Tilia magaphylla초목류 wild flower/피나무과 Tiliaceae 2008. 6. 23. 13:30
화양계곡 입구에 가로수로 심었을 보리수로 기억하는 나무가 즐비하다. 관리원에게 물으니 찰피나무라 하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보리수란 이름도 맞다. 피나무과의 낙엽교목인 찰피나무는 산지에서 높이는 10m까지 자란다. 예로부터 나무 껍질을 섬유로 이용하였으며, 한자로 피목(皮木)이 되었고이를 따라 피나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정원수로도 심으며, 목재는 가구재로 쓰이고, 나무 껍질은 섬유 자원이며, 꽃은 꿀벌에게 꿀을 제공한다. 한방에서는 꽃을 약재로 쓰는데, 땀을 내게 하여 해열 효과가 있고 진정제로도 사용한다. 또 꽃에는 많은 밀원이 있어 꿀을 생산할 수 있으며 대기오염에 강하고 수형이 아름다워 가로수, 공원수로 적합하다. 피나무의 목재는 가볍고 재질이 치밀하며 쪼개기 쉽고 가공이 용이하다는 특성 때문에 ..
-
고삼(苦蔘) Sophora flavescens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6. 19. 11:39
고삼 苦參, lightyellow-sophora. 학명 Sophora flavescens. 따뜻하고 양지바른 곳을 좋아해 묘지 부근에 분포한다. 키 80~100cm. 작은 잎은 어긋나고 15~41개이며 양면에 털이 있다. 6~8월에 연한 노란색으로 피는데 총상 꽃차례로 줄기 위와 가지 끝에 많이 달린다. 8~9월에 협과인 꼬투리가 달려 익는데 염주 모양이다. 고삼은 맛이 써서 고(苦), 효능이 삼과 유사하여 삼(參)이라 하였다. 다른 이름으로는 뿌리의 생김새 때문에 도둑놈의지팡이라 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잔류성이며 약성은 매우 쓰고 차다.[苦寒] 이질, 대하, 음부소양증, 피부가려움증 등에 사용하며소변을 잘 못보고 통증이 있을 때 사용한다. 고골(苦骨), 고직(苦蘵), 교괴(驕槐), 금경(芩..
-
솔나물 Asian yellow spring bedstraw초목류 wild flower/꼭두서니과 Rubiaceae 2008. 6. 19. 11:38
솔나물 Asian yellow spring bedstraw 꼭두서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잎이 솔을 닮아 솔나물이다. 용담목 꼭두서니과 갈퀴덩굴속의 다년초. 학명 Galium verum var. 어린잎은 식용한다. 높이가 70-100cm. 잎은 길이 2-3cm 8-10개가 돌려나기하며 뒷면에 털이 있다. 꽃은 6-8월에 피고 열매는 분과로 타원형이며 2개씩 달린다. 흰색 꽃이 피는 흰솔나물, 연한 황록색 꽃이 피는 개솔나물, 연한 황색 꽃이 피고 씨방에 털이 있는 흰털솔나물, 잎에 털이 많이 난 털잎솔나물 등이 있다. 다른 종으로는 솔나물과 같으나 모든 부분의 크기가 작은 애기솔나물은 한라산 정상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종이다. 全草(전초)를 蓬子菜(봉자채)라 하며 肝炎(간염), 喉蛾(후아-편도선염)의 腫痛(종..
-
피마자(蓖麻子) castorbean초목류 wild flower/대극과 Euphorbiaceae 2008. 6. 19. 11:33
아프리카 원산의 피마자는 일본어로 아주까리라고도 하는데 피마엽은 묵나물로 먹는다. 열매인 피마자에서 뽑아낸 피마자유는 불건성유이고 점도가 낮으며 열에 변화가 적어 응고점이 낮다. 리시닌이라는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어 염증 제거,설사약, 도장밥, 페인트 니스, 인조가죽과 프린트 잉크 제조, 공업용 윤활유로 사용한다. 피마자[蓖麻子] castorbean. 피마인. 비마(箄痲), 비마자. 아주까리(トウゴマ, 唐胡麻). 학명 Ricinus communis L. 대극과의 일년초. 남미 원산. 열대에서 다년초. 줄기는 2m. 잎의 지름 20~30cm. 아프리카 원산. 수꽃은 황색이고 암꽃은 홍색이다. (蓖 : 아주까리 피, 아주까리 비) (箄 : 쳇불 비, 종다래끼 비, 떼 패, 발 비, 어구 비, 시루 깔개 폐, ..
-
반하 半夏 Pinellia ternate초목류 wild flower/천남성과 Araceae 2008. 6. 19. 11:32
반하 Pinellia ternate, 수옥(水玉), 치모읍(雉毛邑), 지문(地文), 끼무릇, 법반하, 소천남성, 학명 Pinellia ternate. 반하(半夏)라는 이름은 절반의 여름이라는 뜻이다. 키는 20~40㎝. 알줄기에서 겹잎이 1~2개 나오는데 3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되어 있다. 잎의 밑부분 안쪽에 1개의 눈이 달리는데, 위 끝에 달리기도 한다. 5월에 뿌리(잎줄기)에서 솟은 꽃줄기 끝에 엷은 황백색 꽃이 달려 핀다. 꽃턱잎은 녹색이며 안쪽에 털이 있다. 암꽃은 꽃차례의 밑 부분에 ,위쪽에는 수꽃이 달린다. 7~8월에 녹색의 장과가 달려 익는데 가늘고 작다. 덩이줄기를 수전(守田)이라고도 하며 감기, 거담(혈담), 건비위, 건위, 결기, 결핵, 경련 같은 호흡기, 순환계 질환을 다스린다. 넓은..
-
갯무 Raphanus sativus초목류 wild flower/십자화과 Brassicaceae, Cruciferae 2008. 6. 17. 16:56
갯무 wild-radish, 무우아재비, 학명 Raphanus sativus , 장다리꽃. 십자화과 무속의 두해살이풀. 지중해 원산. 바닷가 모래땅에 자란다. 줄기는 높이 30-60cm이고 곧추서며 드문드문 가지를 낸다. 잎은 어긋나며 깃꼴로 갈라진다. 갈라진 잎은 2-7쌍이고 양면에 털이 있다. 꽃은 4-5월에 피며, 흰색 또는 엷은 자주색으로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4장이다. 열매는 장각과 염주 모양으로 2-5개의 씨가 들어 있다. 무가 야생화된 것으로 뿌리가 가늘고 딱딱하며 잎이 작다. 갯무 http://ktk84378837.tistory.com/225 http://ktk84378837.tistory.com/3047 갯무꽃 / 이시향 "아무짝에도 쓸모없어 밭에 심기지 못한 갯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