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물레나물 Hypericum ascyron초목류 wild flower/물레나물과 Hypericaceae 2008. 7. 6. 13:02
물레나물 Great St. Johnswort. 매대체, 황해당, 물레나물과 물레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 대연교(大連翹), 연시(連翅), 원보초(元寶草), 학명 Hypericum ascyron L. 높이가 50-100cm. 꽃은 6-8월에 피고 지름 4-6cm로서 황색 바탕에 붉은빛이 돈다. 열매가 빨갛고 고추 모양으로 생겼다. 암술대는 5가닥이 난다. 3가닥이 나면 큰물레나물이다. 열매는 삭과이고 달걀모양이다. 어린 순을 식용하고 全草(전초)를 紅旱蓮(홍한련)이라 하며 두통, 토혈, 타박상, 瘡癤(창절)을 치료한다. ‘고추나물’에 비해 식물체와 꽃이 크고 5수성이다 물레. 고추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1088 http://ktk84378837.tistory.com/201..
-
까치수염 Lysimachia barystachys초목류 wild flower/앵초과 Primulaceae 2008. 7. 6. 13:01
까치처럼 고운 흰색이다. 숲속 가장자리에 펼쳐진 흰색꽃은 영락없이 까치 색깔이미지다. 꽃자루까지 길게 늘어져 있으니 마치 수염같기도 하다. 까치수영이라고도 하는데 까치수염과 무슨 연관이 있을까. 정태현의 "조선식물향명집"에는 까치수염, 1980 이창복의 "대한식물도감"에 까치수영이다. 강원대 이우철은 "한국식물명의 유래"에서 까치수염을 까치수영으로 잘못 옮긴 것으로 결론내렸다. 그렇다면 까치수염이 정명일 터인데 무슨 말인가. 반대로 까치수영을 처음부터 잘못 적어 까치수염이 되었다면? 이 식물과 까치수염의 관계는? 느낌과 모양을 혼합시킨 이름이 까치수염일까? . 까치수염 Bog loosestrife, heavyspike-loosestrife. 꽃꼬리풀, 개꼬리풀, 호미초(虎尾草). 홍사모(紅絲毛), 중수(..
-
타래난초(蘭草) Spiranthes sinensis초목류 wild flower/난초과 Orchidaceae 2008. 7. 6. 12:59
타래난초(蘭草) Spiranthes sinensis. 잎은 뿌리와 줄기에서 나오는데 소라껍질처럼 나선 모양으로 꼬여 달리면서 올라간다. 줄기잎은 댓잎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6~8월에 분홍색 꽃이 나선 모양으로 꼬인 수상 꽃차례를 이루며 한쪽 옆을 향해 달려 핀다. 8~9월에 타원형의 삭과가 달린다. 생약명은 반룡삼(般龍蔘) 이며 주로 호흡기 질환을 다스리며, 각종 염증에 효험이 있다. 무덤가 잔디밭 어딘가에 처녀처럼 몸을 숨기고 볼을 붉히고 있는 타래난초는 곱디 고운 시골처녀다. 사리어 뭉쳐 놓은 실이나 노끈 따위의 뭉치를 타래라 하는데 이와 같은 모습이라 이름하였다. 타래처럼 스크류를 일으키며 자란 줄기에 선홍빛으로 핀 타래난초가 참 곱기도 하다. 양지 바른 풀밭에 쪼그리거나 엎드려 사진을 하다보..
-
딱지꽃 Chinese cinquefoil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7. 6. 12:56
딱지꽃 Chinese cinquefoil. 갯딱지, 딱지, 호미초(虎眉草), 계조초(鷄爪草), 번백초(翻白草), 소모약(小毛藥), 위릉채(萎陵菜)·동녹풀. 학명 Potentilla chinensis. 장미과의 다년초. 잎은 어긋나며 15~29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6~7월에 노란색의 오판화가 피고 7~9월에 열매가 익는다. 딱지는 상처가 아물면서 생기는 막, 종이를 접어 만든 장난감, 영수증이나 공문서의 속어, 거북이나 갑각류의 등을 감싸는 껍질 등을 이른다. 딱지꽃은 무슨 유래를 가지고 있을까?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주로 신경계, 순환계 질환, 거풍, 지혈, 해독, 소종(消腫)의 효능이 있다. 딱지꽃 http://ktk84378837.tistory.com/2976 http://ktk..
-
짚신나물 Hairyvein Agrimoni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7. 6. 12:54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풀밭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30∼100cm이고 전체에 털이 있다. 짚신나물의 유래는 전체에 털이 있으며 풀잎의 맥이 짚신 같다 하여 짚신나물이라 한다. 혹자는 그 열매에 갈고리같은 털이 지나다니는 사람의 짚신에 엉겨붙으므로 이름하였다고도 한다. 짚신도 짝이 있다는 속담 속의 짚신은 때로 아주 하찮고 보잘 것 없다는 의미도 있으니 그런 풀이라는 뜻으로 말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숲속에 길쭉하고 아름다운 새처럼 생겨 선학초(仙鶴草)라는 이름도 있다, 한방에서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를 전체를 용아초(龍芽草)라 하여 지혈제로 사용한다. 새싹의 모양이 용의 이빨을 닮아 용아초로 하였다는 말이 외려 신빙성이 있다. 유럽에서는 이와 비슷한 종을 만성인두염, 설사, 간장통, 신장결석,..
-
싸리나무 Lespedeza bicolor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7. 6. 12:52
싸리나무 Lespedeza bicolor. 호지자(胡枝子), 야화생(野花生), 야합초(夜合草), 장미목 콩과 싸리속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 3m. 잎은 3출엽이며 넓은 달걀형이고 꽃은 7 ~ 8월에 잎겨드랑이 또는 가지 끝에 붉은 보라색으로 달린다. 협과는 넓은 타원형으로 끝이 부리처럼 길고 털이 약간 있다. 싸리비를 만드는 재료로 쓰이기에 싸리나무라 했을 것이다. 밀원식물(蜜源植物)이며 겨울에는 땔감으로 쓴다. 잎은 사료, 줄기에서 벗긴 껍질은 섬유자원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새로 자란 줄기는 농촌에서 여러 가지 세공을 하는 데 쓰고 비도 만든다. 흰싸리, 털싸리가 있다. 열매 胡枝子(호지자)는 百日咳(백일해), 肺熱咳嗽(폐열해수), 鼻出血(비출혈), 淋病(임병)을 치료한다. 싸리나무 http://kt..
-
개머루 Amur peppervine초목류 wild flower/포도나무과 Vitaceae 2008. 7. 6. 12:48
개머루 Amur peppervine. 포도과의 낙엽성 덩굴식물인 개머루는 돌머루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높이 약 3m 로 자란다. 한방에서는 관절통, 소변불리, 붉은색소변, 만성신장염, 간염, 창독(瘡毒) 등의 치료나 상처를 닦아내는 데 쓴다. 비슷한 종으로 어린 가지와 잎자루, 잎 뒤에 짧은 털이 나는 털개머루, 잎에 흰색 얼룩점이 있고 잎자루와 어린 줄기가 자줏빛인 자주개머루), 잎이 5갈래로 갈라지는 가새잎개머루가 있다. 개머루 http://ktk84378837.tistory.com/4055 http://ktk84378837.tistory.com/5242 http://ktk84378837.tistory.com/2979 열매 http://ktk84378837.tistory.com/2670 머루 ht..
-
활량나물 Lathyrus davidii Hance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7. 6. 12:46
활량나물 david-vetchling. 콩과의 다년생 초본. 학명 Lathyrus davidii Hance. 강망결명(江茫決明), 대산려두(大山黧豆). 높이 80~120cm. 어긋나는 잎의 끝에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이 있다. 6~8월에 개화하며 황색에서 황갈색으로 변한다. 열매는 선형이고 10개 정도의 종자가 들어 있다. 강장, 이뇨, 진통제로 쓰인다. 뿌리는 지혈에 쓰인다.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이름의 유래에 대하여 재미난 이야기가 전한다. 활 쏘는 걸 좋아하는 한량(閑良)의 모습을 유추한다든지 애기완두에 비해 대형(활량=闊良)이란 뜻으로 풀이하는 경우다. 요즘처럼 이성 간의 관계가 도덕적으로 건전하지 못한 사람을 이를 수도 있겠다. 숲 가장자리에서 바람을 잘 쏘이고 덩굴이 길고 가는 몸이라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