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범부채 Blackberry lily초목류 wild flower/붓꽃과 Iridaceae 2008. 7. 1. 09:01
범부채 Blackberry lily. 귀선(鬼扇), 냉수화(冷水花), 오취(烏吹), 황화편축(黃花萹蓄), 학명 Belamcanda chinensis. 붓꽃과 범부채속의 여러해살이풀. 편죽란이란 이명이 있으며 잎이 부채처럼 펼쳐져 있고 꽃잎의 무늬는 마치 범무늬 같다.산지와 바닷가에서 화경은 높이 60~120cm 정도이고 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어긋나는 잎은 2줄로 부채처럼 배열되고 녹색 바탕에 다소 흰빛이 돌며 길이 25~50cm, 너비 2~4cm 정도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서로 껴안는다. 7~8월에 개화한다. 꽃은 수평으로 퍼지고 황적색 바탕에 짙은 반점이 있다. 삭과는 길이 3cm 정도의 도란상 타원형이며 종자는 흑색으로 윤기가 있다. 애기범부채는 범무늬가 없고 꽃이 여러 개 달린다. 근..
-
큰엉겅퀴 pendulate-thistle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7. 1. 09:00
큰엉겅퀴 pendulate-thistle. 일명 장수엉겅퀴, 야홍화(野紅花), 유월상(六月霜), 학명 Cirsium pendulum 영명 pendulate-thistle, 대계(大薊), 연관계(烟管薊), 호계(虎薊) 높이 1~2m 8~10월에 피는 두상화는 지름 2~3cm 정도로 자줏빛이 돌며 밑을 향하여 구부러진다. 어린순은 나물로 식용한다. 전초는 주로 부인과·비뇨기 질환,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血尿(혈뇨), 血淋(혈림), 血崩(혈붕), 帶下(대하), 腸風(장풍), 腸癰(장옹), 癰瘍腫毒(옹양종독), 정창을 치료한다. 뻐꾹채 http://ktk84378837.tistory.com/1516 http://ktk84378837.tistory.com/6475 조뱅이 http://ktk8437883..
-
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6. 24. 12:25
멍석딸기 Small-leaved raspberry, 백사파(白蛇波), 홍매소(紅梅消), 번둥딸기, 멍두딸기, 덤불딸기, 학명 Rubus parvifolius. 장미과 > 산딸기속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 30cm. 꽃은 5 ~ 6월에 피고 연분홍색이며 꽃잎은 붉은색이며 위를 향한다. 열매는 둥글며 붉은색으로 7 ~ 8월에 성숙한다. 全草(전초)는 호전표라 하며 생약명은 산매(山莓)인데 吐血(토혈), 打撲刀傷(타박도상), 産後瘀滯腹痛(산후어체복통), 이질, 痔瘡(치창), 疥瘡(개창), 나력을 치료한다. 어디가 한구석 멍석과 연관되는 것이 있르까 싶어 뒤져보니 멍석을 깔아놓은 것처럼 땅에 바짝 붙어 자란다하여 붙은 이름이란다. 그럴 듯한 말이다. 잎 뒷면에 털이 없는 청명딸기, 잎의 길이가 2 cm 정도이고..
-
개사상자 Rough hedgeparsley초목류 wild flower/산형과(미나리과) apiaceae 2008. 6. 24. 12:21
개사상자 Rough hedgeparsley. 산형과 사상자속의 여러해살이풀. 키는 약 60㎝이다. 잎은 새의 날개처럼 많이 갈라져 있으며, 줄기에서 자란 잎은 길이가 5~10㎝가량이다. 줄기에는 잎처럼 가는 잔털이 많이 나 있다. 꽃은 흰색 또는 자주색으로 피는데, 작은 꽃들이 뭉쳐서 핀다. 열매는 8~9월경에 열린다. 자줏빛이 돌며 긴 타원형으로 생겼다. 이 열매에는 가시 같은 돌기가 있어서 다른 물체에 잘 달라붙는다. 이것은 씨를 되도록 멀리 퍼뜨리려는 식물의 생존전략 중 하나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개발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493 http://ktk84378837.tistory.com/2697 고수 http://ktk84378837.tistory.com/48..
-
며느리밑씻개 Persicaria senticosa ㅋㅋ초목류 wild flower/마디풀과 Polygonaceae 2008. 6. 24. 12:20
며느리밑씻개 Prickle tearthumb. 학명 Persicaria senticosa 마디풀과 여뀌속의 덩굴성 일년초. 가시덩굴여뀌. 북한명 사광이아재비. 세상에나 이걸 어쩌누. 마디풀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들에서 흔히 자란다. 이름이 그런만큼 여기 얽힌 애기도 재미난다고 해야 하난? 며느리 벌 주려고 이 풀로 뒤를 닦게 해서 붙은 이름이라고도 하고... 이 풀 삶은 물로 엄마들 밑을 씻으면 좋다고 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는 말도 있다. 세상에 얼마나 보드라운 살인데 가시투성이 풀로 닦는담! 아마 고부간 갈등이 얼만큼인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서글픈 이야기겠다. 시집살이를 하는 제도가 빚어낸 영원한 미스터리이니만큼 다양한 반응이 나올 것이다. 각설하고, 우리 어릴 적 가난할 적 1960년대는 짚단에..
-
뱀무 Geum aleppicum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6. 24. 12:19
큰뱀무 Geum aleppicum Jacq. 장미과 뱀무속의 다년초. 수양매(水揚梅) 라고도 한다. 높이는 1미터 정도이다. 뱀 자가 붙는 연유는 다른 것에 비해 못하거나 모양이 다른 것이라고 하는데 뱀무는무보다 못하단 뜻일까? 뱀딸기는 이해가 되는데 뱀무란 이름과 연결이 되지 않는다.. 뱀무의 꽃잎색이 징그러울 정도로선연하다. 저 작은 이파리 어디에다 그 많은 색소를 저장해 두었다가 저리 진하게 풀어내는 것일까. 자연의 신비와 오묘함으로 밖에 답할 수 없는 무지가 갑갑하다. 사상자를 뱀도랏이자 부르고 먹지 못하는 야생딸기를 뱀딸기라 하는 것을 보면 뱀 자가 붙은 말들은 징그러울 정도로 진해서 감히 범접을 못하는 뜻이 들어 있다. 죄 없는 뱀이 식물의 이름에도 좋지 않게 쓰이는 걸 보면 뱀으로 태어난 걸..
-
바위취 Saxifraga stolonifera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08. 6. 24. 12:18
바위취 Creeping saxifrage, 학명 Saxifraga stolonifera. 범의귀과의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호이초(虎耳草), 불이초(佛耳草), 범의귀, 왜호이초, 등이초(橙耳草), 석하엽(石荷葉)이라고도 한다. 잎은 신장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얕은 톱니가 있다. 앞면은 녹색 바탕에 연한 색의 무늬가 있으며, 뒷면은 자줏빛이 도는 붉은색이다. 그늘지고 축축한 땅에서 잘 자란다. 5월에 흰 꽃이 긴 꽃줄기 끝에 원추 꽃차례로 달려 피는데 꽃차례에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의 짧은 샘털이 있다. 꽃받침은 깊게 5개로 갈라진다. 꽃잎도 5개로 갈라지는데 위의 3개는 연한 홍색 바탕에 짙은 홍색 반점이 있으나 아래쪽 2개는 흰색 바탕에 반점이 없고 댓잎피침형이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대는 2..
-
애기수영 sheep sorrel초목류 wild flower/마디풀과 Polygonaceae 2008. 6. 24. 12:17
큰애가 공군을 제대하고는 영국으로 어학연수를 가겠다고 22일 새벽 3시에 선사유적지 앞 인천공항행 버스를 탔다. 비가 온다는 예보에 새벽 타임이라 아내가 데려다 준다는 말에도 미안함 반 염려 반이었다. 큰애는 걱정 말라고 하지만 항상 어려보이는 부모 맘이 어디 그런가. 미국이라면 거기 사는 아는 사람이 더러 있어 도움을 받을까도 했는데영국은 맨땅에 머리박기였다. 그곳엘 혼자 간다는 마음을 먹은 것만도 대단하다 싶다. 미국영어가 아니라 고급영어를 배우겠다고 생각한 녀석의 생각이 분명 남을 뛰어넘는 거 같아 뿌듯하기도 하다. 환율이 미국보다 센데다가 요즘 고유가로 계속 환율이 오르는 것에 부담이 가는 형편이기는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왕 보내는 거 공항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 버스까지는 태워주고 싶었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