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culture
-
윤선도의 세연정(洗然亭)문화 culture/문학 literature 2012. 5. 22. 13:06
고산 윤선도가 67세때인 1653(효종4) 마련한 세연정(洗然亭)이다. 고산 윤선도가 보길도(甫吉島)에 머물면서 지은 정자로 날이 좋은 날이면 노비들에게 술과 안주를 마차에 가득 싣게 하고 기생들을 거느리고 나와 술을 한 잔 걸치고서는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를 부르게 했던 곳이다. 주자학에서 신선이 산다는 동천석실(洞天石室)이며 우암 송시열의 글씐바위는 언제 보나?! 보길도는 윤선도가 청에 항복했단 임금의 소식을 듣고 제주로 가다가 풍랑을 만나 자리잡은 곳이다. 우암이 숙종때 장희빈의 아들 경종의 세자 책봉에 반대하다 탄핵되어 제주로 가다가 풍랑을 피해 들른 곳이기고 하다. 동천석실* / 김인강 짊어진 고뇌 모두 풀고 하늘로 통하는 자리에 앉아 푸르게 단장한 세상을 멍하니 내려다보네 땅에서 끌어 올린 생..
-
고창읍성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2. 4. 30. 13:03
전북 고창읍 읍내리의 조선전기 읍성으로 사적 제145호로 지정되었다. 고창읍성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 1486년(성종 17) 간행된『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인 만큼 1453년(단종 1)에 세워지지 않았을까 추정하고 있다. 고창읍성 http://ktk84378837.tistory.com/295 계족산성 http://ktk84378837.tistory.com/4007 http://ktk84378837.tistory.com/2496 http://ktk84378837.tistory.com/394 공산성 http://ktk84378837.tistory.com/7105 보문산성 http://ktk84378837.tistory.com/3567 상당산성 http://ktk84378837.tistory.com/7153
-
진산향교 珍山鄕校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2. 3. 9. 20:03
냉이밭을 수소문하다가 발길 닿은 금산군 진산면 교촌리 향교마을엔 봄기운이 더디다. 충남 금산 진산의 진산향교 명륜당. 시도기념물 제122호. 지금의 진산중학교 자리에 창건하였으나 임란때 소실되어 1775년(영조 51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 지은 후 보수하였고, 1950년 625전쟁으로 훼손된 후 다시 보수하였다. 명륜당 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2현(宋朝二賢),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 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노성향교 http://ktk84378837.tistory...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상화문화 culture/문학 literature 2012. 3. 8. 09:21
생가 앞 보도에 모자이크 태극기가 ... (이 태극기 사진을 2012년 12월 26일 "봄을 그리워 하며" 제목으로 대전시청 제2전시실 대전사진써클연합회 회원전에 출품하였다.) 이상화, 그는 해방을 앞둔 1943년에 눈을 감았다. 이웃엔 국채보상운동에 앞장선 서상돈의 고택이 있다 1901년 세워진 계산동(桂山洞)성당. 1899년 한국식의 목조 십자형 건물으로 지어졌으나 1년 만에 화재로 모두 소실되었다. 그 후 재건축에 착수하여 로베르 신부가 설계하고, 국내에서 찾아보기 힘든 함석이나 스테인드 글라스 등의 재료들은 프랑스 및 홍콩에서 들여와 사용하였다. 건물은 공사가 시작되고 3년이 지난 1902년에 완성되었다. 이 건물은 대구 지역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1900년대 초기의 건축물이다. 성당건축은 순수한..
-
소록도小鹿島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2. 2. 10. 12:12
소록도 호랑가시나무. 수탄장 자리가 있던 소나무밭. 소록도병원 입구. 병원 입구에 세운 추모비. 병원 출입구에 놓인 전동 휠체어. 소록도병원. 소록도병원 검시실. 소록도병원 감금실. 소록도병원 자료관. 소록도병원 자료실에 걸린 세종대왕과 설립자 한센. 향나무밭. 소록도병원교회. 호랑가시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4383 http://ktk84378837.tistory.com/955 완도호랑가시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2409 http://ktk84378837.tistory.com/5481 http://ktk84378837.tistory.com/4383 소록도 빛 - 문효치 슬픔과 슬픔 사이에서 탄생되는 빛을 잡고 슬픔과 슬픔 사이에서 ..
-
여수 향일암(向日庵)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2. 2. 7. 16:07
일출로 유명한 향일암을 차았다. 먼저 범종각.종무소관음전관음전의 관음보살.일출고향바다를 향해 걸음하는 바위거북. 절 뒷산에 있는 바위가 거북의 등처럼 생겼다 하여 영구암(靈龜庵)이라 하였다. 때문에 향일암에는 돌거북 수십마리가 해가 올라오는 바다를 향하여 줄지어 배치되어 있으며 이 또한 장관이다.향일암으로 들어서기 위해서는 이 석문을 통과해야 한다.식당 '황토방' 밖의 막걸리병이 대롱대롱 종업원은 홍합알을 뒤척이고 안에선 죤 웨인이 종이등불 아래 말을 몰고 있다.향일암(向日庵)은 여수시 돌산읍 금오산(金鰲山)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화엄사(華嚴寺)의 말사이다. 644년(선덕여왕 13) 원효(元曉)가 창건하여 원통암(圓通庵)이라 하였으며, 958년(광종 9)에 윤필(輪弼)이 중창한 뒤 금오..
-
계족산성(鷄足山城) -또 다른 산행-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2. 1. 16. 14:53
계족산성(鷄足山城) 산정상을 빙 둘러 쌓은 방식을 테뫼식 산성이라 하죠.우리나라 산성의 대부분이 테뫼식인데 여기 대전 대덕구 장동에 위치한 계족산성은 신라때 축성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전면은 증축된지 몇 년 되지 않아 가지런한데뒤쪽은 무너진 성벽이 그대로 남아 있는데다가 까마귀까지 까악까악 울어대니고려의 멸망을 눈앞에서 겪은 지식인의 참담한 심정을 오백 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 산천은 의구하되 인걸은 간 데 없다. 어즈버 태평연월이 꿈이런가 하노라. 라고 한탄한 저 야은 길재의 시가 생각나는군요.말이 나왔으니 그를 배향한 청풍서원엘 언제 들러봐야겠어요.가까운 금산군 부리면 불이리에 있거든요. 계족산성. 대전 계족산성(大田 鷄足山城)은 대전광역시 대덕구 장동에 있는 백제시대 석축산성이다. 사적 제35..
-
흑룡(黑龍)의 해-벽골제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2. 1. 7. 17:36
흑룡(black dragon)의 해라고 떠들썩하다.분명 호사가들이 혹은 상술이 빚어낸 화려한 말일 것이다. 동양의 우주 철학인 음양오행을 근거로 하여 10天干과 12地支를 운행하면 다음과 같다. 천간은 하늘이고 지지는 땅이니 음양이 이치이다. 10천간은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요, 12지지는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이다. 10천간을 5행으로 분류하면 甲乙, 丙丁, 戊己, 庚辛, 壬癸이며 甲乙은 청색, 丙丁은 적색, 戊己는 황색, 庚辛은 백색, 壬癸는 흑색을 띤다. 이를 12지와 교행시키면 甲辰년은 청룡, 丙辰은 적룡, 戊辰년은 황룡, 庚辰년은 백룡,壬辰년은 흑룡의 해인 것이다. 이들 용은 각기 동남중서북방을 지키는 호위신이다. 해당 년은 60년 만에 한 번씩 돌아오니 다음 용은 2024년에 청룡의 모습으로 나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