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culture
-
부산불꽃축제는 난리 속...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3. 11. 1. 09:57
해운대에서 진행된 고교 동문회 갔다가 광안리에 1시간 전에 도착했는 데도 길가에서, 손들고, B셔터를 눌렀다. 행가가 끝나고 100만 인파가 빠져나간 한참 후에야 삼각대를 펼칠 수 있었다. 전쟁터가 따로 없다는 생각은 민락역까지 걸어와 지하철을 탈 때까지 이어졌다. 광안대교 야경 http://ktk84378837.tistory.com/2459 불꽃축제 http://ktk84378837.tistory.com/5381 불꽃놀이 / 라진숙 캄캄한 밤하늘 쏘아 올린 불씨 하나 용트림하며 솟구쳐 올라 환상의 꽃으로 피어난다 환호와 갈채 속에 현란하게 피어나는 황홀한 축제의 꽃 단 한 번의 피움을 위해 밤하늘을 향하여 뜨거운 불길로 날아올라 화려한 찰나의 꽃 하늘에 새기고 흔적 없이 연기로 지고 마는 찬란한 허무의..
-
요산 김정한 생가문화 culture/문학 literature 2013. 11. 1. 09:54
요산의 작품을 교재에서 다룬 것만 해도 '사하촌', '모래톱 이야기'가 있다. 예전에는 '산거도', '수라도'도 있었다. 지방 작가이다 보니 접근성이 어려워 거리감이 있었다. 동문회 일행이 데려온 초등 고학년을 핑계삼아 1번 답사지로 넣었는데...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했던가 마침 문학제 행사 중이라서 겉보기만 하였다 마는, 낙동강을 끼고 도는 금정산 범어사 아래 위치한 생가이다 보니 '사하촌'이며 '모래톱 이야기'가 몸으로 다가온다. 구석봉과 이영순 http://ktk84378837.tistory.com/3501 김영랑 http://ktk84378837.tistory.com/3826 김정한 http://ktk84378837.tistory.com/5380 김현승 http://ktk84378837.tist..
-
부산 범어사(梵魚寺) 개산대제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3. 11. 1. 09:52
개산대제(開山大祭)란 창건일이나 개산조 입적일에 여는 법회를 말한다. 불가에서 개산이라 함은, ‘산문’을 여는 일, 즉 절의 창건을 의미한다. 따라서 개산대제란 절의 창건일을 기념하여 여는 큰 법회를 말한다. 또는 사찰을 창건한 스님이 입적한 날을 기리는 입적기일법회를 뜻하기도 한다. 한 종파나 사찰을 창건한 스님을 존경하여 개산조 또는 개조라 하여, 그가 입적한 날을 기념해 그 종파나 절에서 해마다 성대한 법회를 갖는 것이다. 8월 20일 금정총림 범어사에서 금어연 고불식을 거행하였다. 금어연에서 금어金魚는 부산 금정산 범어사를 상징하며 연輦은 부처님을 모신 가마를 의미한다. 즉 범어사에서 부처님을 모시는 연을 새롭게 제작하여 이를 공개한 것이다. 고불식은 불교식 행사 명칭으로 큰 사찰 등에서 소임을 ..
-
한용운 생가와 민족시인들의 시비문화 culture/문학 literature 2013. 10. 18. 16:13
생가에 걸린 '님의 침묵' 한용운 생가를 두 번째 찾았다. 시비공원이 생겨 한결 여유롭다. 왼쪽은 사당. 추사고택과 백야고택을 지나쳐 서운하다. 즐거운사진 팀은 왜 이런 것에 관심이 없을까. 한용운의 '복종' 한용운의 '알 수 없어요' 1879년 8월 29일 충남 홍성군(洪城郡) 결성면(結城面) 성곡리(城谷里) 에서 태어났다. 마을 서당에서 10여 년 동안 한학을 익히던 한용운은 무단 가출하여 오세암으로 들어간다. 얼마 뒤 오세암에서 나온 그는 개화 문물과 개화 사회에 대한 호기심과 모험심을 가득 품고 시베리아와 만주 등지로 돌아다닌다. 27세때 백담사에서 정식으로 불문에 들고 『조선 불교 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을 낸다. 1910년 한일합병이 되자 한용운은 만주로 가서 의병 학교를 세워 독립군 양성 사..
-
이응노의 암각화와 선미술관문화 culture/미술 art 2013. 10. 18. 16:08
박수근미술관 http://ktk84378837.tistory.com/1975 서울미술관 http://ktk84378837.tistory.com/4956 서울시립미술관 http://ktk84378837.tistory.com/4952 63스카이아트미술관 http://ktk84378837.tistory.com/4955 이원아트빌리지 상촌미술관 http://ktk84378837.tistory.com/4848 이응로 http://ktk84378837.tistory.com/3643 http://ktk84378837.tistory.com/5331 전북도립미술관 나의 샤갈 나의 피카소 http://ktk84378837.tistory.com/4454 환기미술관 http://ktk84378837.tistory.com/49..
-
차범석문학관문화 culture/문학 literature 2013. 8. 26. 15:23
목포문학관에는 김우진, 김현, 박화성, 차범석(車凡錫) 문학관을 설치해놓고 있다. 전통적 개성이 뚜렷한 사실주의극을 썼으며 이데올로기의 갈등과 민족분단을 객관적으로 그려냈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장, 광화문 문화포럼 회장 등을 지냈다. 사실주의 희곡의 최고봉이자 희곡 작법의 교과서로 꼽히는 '산불', '새야 새야 파랑새야'를 교과서에서 볼 수 있다. 구석봉과 이영순 http://ktk84378837.tistory.com/3501 김영랑 생가 http://ktk84378837.tistory.com/3826 김우진 http://ktk84378837.tistory.com/5030 김진섭 http://ktk84378837.tistory.com/5029 김현 http://ktk84378837.tistory.com/5..
-
김우진 문학관문화 culture/문학 literature 2013. 8. 26. 15:21
목포문학관에는 김우진, 김현, 박화성, 차범석 문학관을 설치해놓고 있다. 차범석보다 한 세대 앞선 김우진은 신파극을 무너뜨리고 근대희곡을 실험한 개척자다. '산돼지'는 조명희의 시 '봄 잔디밭 위에'에서 암시를 얻은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구석봉과 이영순 http://ktk84378837.tistory.com/3501 김영랑 생가 http://ktk84378837.tistory.com/3826 김우진 http://ktk84378837.tistory.com/5030 김진섭 http://ktk84378837.tistory.com/5029 김현 http://ktk84378837.tistory.com/5027 김현승 시비 http://ktk84378837.tistory.com/4446 김환태문학비 ht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