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culture
-
전주한옥마을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3. 11. 18. 12:47
전주한옥마을. 한옥마을이 너무 많이 변하네요. 오래된 것 보다 새 것들이 많이 보이네요 거리마다 골목마다 집집마다 온통 물건 파는 가게가 넘쳐나요. 공연을 하고 연주를 하고 책을 읽고 산책을 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한옥마을... 욕심이지? 전주한옥마을 http://ktk84378837.tistory.com/3143 http://ktk84378837.tistory.com/3716 http://ktk84378837.tistory.com/5454 양동한옥마을 http://ktk84378837.tistory.com/1685 외암민속마을 http://ktk84378837.tistory.com/2495
-
가람 이병기문화 culture/문학 literature 2013. 11. 18. 11:40
익산시 여산면의 여산휴게소. 2013년. 익산시 여산면의 여산휴게소. 2023년. 구석봉과 이영순 http://ktk84378837.tistory.com/3501 김영랑 http://ktk84378837.tistory.com/3826 김정한 http://ktk84378837.tistory.com/5380 김현승 http://ktk84378837.tistory.com/4446 김환태 http://ktk84378837.tistory.com/4782 대전문학관 및 이재복 http://ktk84378837.tistory.com/5560 http://ktk84378837.tistory.com/5825 박재삼 http://ktk84378837.tistory.com/3491 박용래, 김관식, 한용운 http://kt..
-
천기386호 은수사 청실배나무 Pyrus ussuriensis문화 culture/천연기념물 natural monument 2013. 11. 18. 11:27
청실배나무 Pyrus ussuriensis. 장미과 배나무속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 10m. 청실배나무는 산돌배나무의 변종으로 한국특산 희귀종이다. 잎은 어긋나기를 하며 달걀형이고 잎자루엔 털이 없고 꽃줄기에 털이 있다. 꽃은 암수한몸 양성화(兩性花)이다. 4∼5월에 5∼7개의 꽃이 순백색의 수평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를 산리(山梨)라 하여 독성 물질과 화농성 골수염 제거에 짓찧어 붙이거나 어혈 제거에 사용한다. 과실에는 사과산, 구연산, 과당, 포도당, 자당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은수사에 천연기념물 제386호. 정읍 두월리에 천연기념물 제497호. 마이산 은수사(銀水寺). 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879 아그배나무 http://ktk84378837.tist..
-
천기380호 탑사 줄사철나무 Euonymus fortunei문화 culture/천연기념물 natural monument 2013. 11. 18. 11:21
줄사철나무 열매 Euonymus fortune. 무환자나무목 노박덩굴과의 포복성 관목. 우리나라 중부 이남, 해발고도 500m 이하의 산지에 서식한다. 덩굴성 줄기로, 뿌리가 바위나 나무 위를 기어올라 흡착하며 자란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형이다. 꽃은 5~7월 경에 피고, 열매는 삭과로 10월에 익는다. 줄사철나무의 줄기와 잎은 한방에서 부방등(扶芳藤)이라 하여 각혈, 생리불순, 자궁출혈, 외상 출혈 등에 지혈제로 사용한다. 천연기념물 제380호 마이산. 참빗살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958 http://ktk84378837.tistory.com/4227 http://ktk84378837.tistory.com/5150 http://ktk84378837.tistory.c..
-
금산 보석사(寶石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3. 11. 14. 20:42
갑작 돌풍에 떨어지는 까마귀 날듯 푸른하늘을 검게 뒤덮은 낙엽비. 금산군 남이면 진락산(眞樂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조구(祖丘)가 885년(헌강왕 11)에 창건한 사찰이다.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창건 당시 절 앞산에서 채굴한 금으로 불상을 주조하였기 때문에 절 이름을 보석사라고 하였다.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고종 때 명성황후가 중창하여 원당(願堂)으로 삼았으며,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에 다포집 맞배지붕이며, 법당 내부에는 석가모니불·관세음보살·문수보살의 좌상(坐像)을 모셨는데, 조각수법이 정교하고 섬세하며, 상호가 원만하고 자비로워 조선시대 불상 중에서는 극치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진영각은 휴정(休靜), 유정(惟政), 영규(靈圭)의 영정을 모셨던 곳이나 최근에 영정..
-
갑사 철당간지주 甲寺 鐵幢竿 支柱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3. 11. 7. 11:08
충청남도 공주시 갑사의 동남쪽 기슭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당간. 원래 28개의 철통을 연결하였으나, 조선 고종 30년(1893)에 벼락을 맞아 4개가 사라지고 지금은 24개만 남아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공주 갑사 철당간’이다. 보물256호 남매탑 http://ktk84378837.tistory.com/4434 갑사지 http://ktk84378837.tistory.com/3691 갑사철당간 http://ktk84378837.tistory.com/5420 계명정사 http://ktk84378837.tistory.com/3693 구룡사지 석당간 https://ktk84378837.tistory.com/2277 청주용두사지철당간 https://ktk84378837.tistory.com/7154
-
죽성리(竹城里) 왜성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3. 11. 1. 10:30
기장 죽성리왜성(機張 竹城里倭城)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에 있는 임진왜란 때 일본군(倭軍)이 그들의 근거지를 확보하거나 일본군내 상호 연락 등을 위해 쌓은 일본식 성곽(왜성)이다. 1963년 대한민국의 사적 제52호로 지정되었으나, 일제지정문화재 재평가 결과 사적 지정이 해제되었다. 1999년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48호 기장죽성리왜성으로 재지정되었다가, 2014년 띄어쓰기를 적용하여 기장 죽성리왜성으로 문화재 지정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지역 임랑포왜성과 함께 인근 울산에 서생포왜성, 울산왜성이 전해지고 있다. 동래 왜성, 부산 왜성, 자성대 왜성, 동산동왜성, 구포왜성, 김해 죽도왜성, 가덕도왜성, 안골포 왜성, 웅천 왜성, 거제 영등포 왜성, 장문포 왜성 등이고 정유재란[1597~1598] 때는 ..
-
부산 해동 용궁사 海東龍宮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3. 11. 1. 10:23
해동용궁사 http://ktk84378837.tistory.com/2457 http://ktk84378837.tistory.com/5383 해운대 보고 송정 거쳐 오랑대 가는 길에 들른 기장 바닷가의 용궁사. 양양 낙산사, 남해 보리암, 해동용궁사로 한국의 삼대 관음성지의 한곳이다. 해동 용궁사는 본래 고려우왕 2년(1376년) 공민왕의 왕사였던 나옹화상(懶翁和尙) 혜근에 의해 창건되었다. 나옹스님이 법을 구하기 위해 전국토를 헤매일 때 현 해동용궁사 자리에 당도하여 지세를 살펴보니 배산임수背山臨水 조성모복지朝誠暮福地 즉 뒤는 산이요 앞은 푸른바다로 아침에 불공을 드리면 저녁에 복을 받는 신령스런 곳이다.’ 하시고 이곳에 토굴을 짓고 수행정진을 했다고 전한다. 나옹스님이 낯설지 않은 까닭은 최초의 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