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culture
-
겨울의 보문산성(寶文山城)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07. 11. 26. 21:02
대전시도기념물 10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는 보문산성은 백제시대 것으로 둘레가 300미터 밖에 안되는 테메식 석축산성이다. 시내 복판을 가로질러 앞쪽으로 보이는 계족산성[鷄足山城]의 삼분지일도 채 안되는 소규모이나 인근 성들과의 연락 구실을 톡톡히 하는 입지 조건을 갖추었다고 한다. 지금은 대전시민의 건강과 여가를 즐기는 공원시설로 애용되고 있다. 대전기념물 제10호 보문산성 http://ktk84378837.tistory.com/3567 사적 제355호 계족산성 http://ktk84378837.tistory.com/2496
-
박용래, 김관식, 한용운, 최원규가 있는 사정공원문화 culture/문학 literature 2007. 11. 20. 20:48
사정동에 위치한 보문산 사정공원에는 손바닥만한 식물원과 함께 부여에서 나고 강경에서 자란 눈물의 시인 박용래(朴龍來)의 시비가 해 저문 그림자처럼 길쭉하게 서 있다. 박용래 옛가옥 터가 오류동 사설 주차장에 표지석으로 남아 있다. 공주칼국숫집 2층이 생가였다는데 언제쯤인가 해서 헐리고 주차장이 들어섰다. 대전시의 잘못이 크다. 너무 야박스럽다. 문화강국은 먼길인가. 신동 소리 듣던 김관식(金冠植)의 시비는 왜 둥글게 했을까. 홍성 출신의 한용운의 시비는 근엄하게 네모지다. 사진반 아이들과 함께 맑은 공기를 쏘이러 갔다. 충남대 교수이기도 했던 최원규의 '비둘기'도 오석에 새겨 있다. 보문산. 구석봉과 이영순 http://ktk84378837.tistory.com/3501 김영랑 http://ktk8437..
-
공주 박희선 시비문화 culture/문학 literature 2007. 11. 15. 11:04
국립공원 주차비 4천원을 낼 때는 왜 그리 아까울까.갑사 초입 주차장 언저리는 헌 건물을 철거하는 중이고 찬바람 도는 날씨에 인부들은 모닥불 곁으로 부나비처럼 모여든다.초입에 즐비하게 들어선 노점상 좌판에는 밤, 은행, 마, 당귀, 말린 고사리, 표고버섯, 각종 말린 산나물이 넘쳐난다.만남의 광장에는 박희선의 시비 가 사람들을 기다린다.향토시인임에도 생소한 야석 박희선(1923~1988)은 충남 강경 출신의불교시인이며독립운동가이기도 하다. 정훈, 박용래 등과 시동인지 을 창간하면서 문단활동을 시작하였고, 1952년 이후 호서문학에 시의 고향을 둔 사람임을 이제야 알았다. 지비(紙碑) / 박희선 대적광전(大寂光殿) 오래 기두렸던 달이나 떠오를 양이면 체온이 스민 돌 하나를 남기고 멀리 떠나는 그윽한 새벽이..
-
문경 가은역(加恩驛)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07. 11. 6. 12:00
문경시는 개발 논리에 밀려 철거 위기에 처해 있던 가은역을 대한민국 근대문화유산 304호로 보존하고 있다.석탄을 캐던 1960-70년대에 가장 흥청거렸다던 가은에는 석탄박물관과 연개소문 촬영지가 있어 차며 사람이며 뒤범벅이다.우리나라 문화재 관리는 허술할 데가 이를데 없어 대문 철컥 잠궈 문틈으로 엿보다 나오는게 일쑤다.여긴 그럴 수 없으니까 개방은 했겄다.근데 안은 도둑이 들어 털린집인양 잡다한 물건이 제멋대로 널부러져 있고 거미줄이 치렁거리고 먼지는 펄펄 난다.주변은 쓰레기더미요 철로변은배추도 심고 콩도 심고 아예 경작지다.그래 분노와 억울과 실망을 가득 안고 겉만 봐야 했다.개방을 하면 이러니까 어디든 철컥 자물쇠를 채우는거다.노래를 부르던 간이역 가은였는데 아내와 화서까지 왔을 때 왜 여길 생각을..
-
이응로미술관문화 culture/미술 art 2007. 10. 23. 10:52
대전시립미술관 옆에 이응로미술관이 들어섰다. 홍성에서 태어난 이응로는 사실적인 남화계였으나 파리 정착 뒤 동양의 서예정신과 문인화정신을 기반으로 서양의 콜라주기법을 혼용하여, 독특한 환상적 기호로써 개성적 화면을 구축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부인 박응경씨와 대전시가 협의하여 시의 지원하에 이곳에 미술관을 건축했다. 건축사에 혹독한 비평을 받은 멋없는 미술관일 것이다. 박수근미술관 http://ktk84378837.tistory.com/1975 서울미술관 http://ktk84378837.tistory.com/4956 서울시립미술관 http://ktk84378837.tistory.com/4952 63스카이아트미술관 http://ktk84378837.tistory.com/4955 이원아트빌리지 상촌미술관 h..
-
체험 프로그램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07. 10. 16. 19:32
공산성 안으로들어가니 성안은 온통체험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다.비누방울 놀이를 하는 어린이들은 마냥 신기하고,들기도 어려운 크기의 윷을 끙끙 들어올려 윷을 뿌려보기도 하고,얼굴에 꽃무늬를 넣기도 해본다.왕비나 왕자가 되어보는 일이 가장 멋질 것 같은데공주에 왔으니 공주가 되어보는체험이 그중 나을 것이다.백제문화제 http://ktk84378837.tistory.com/3667 700미터 인절미 http://ktk84378837.tistory.com/3668
-
700미터 인절미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07. 10. 16. 19:15
13일 토욜 아점으로 여유를 부린 다음 공주를 찾았다.제53회 백제문화제를 올 첨으로 공주와 부여에서 동시에 여는데 보고픈 무왕 즉위식은 시간이 안 되고 공산성 건너는 차 안 다니는 다리에서 700 미터짜리 인절미를 어른 아이 남정네 여편네 할 것 없이 다 나와 만들었다.공주 천도 700년을 기념하는 행사라 좀 기다리니 기네스북에 올린다고 협회에서 나와 실사를 하고 있다.사진기를 디밀고 있는데 선생님 갑작 호들갑에 깜짝 놀라 보니 어디서 본 얼굴이더라?전광석화로 파노라마처럼 지나가는데 아들녀석 이름을 대며 잘 지내느냔 말에 아하, 하숙집 아줌니 !남편은 충남 어디 중학의 체육 선생님인데 살림 어려워서가 아니라 뭔가를 하고 싶어서 하숙을 친다던 아고, 사모님이시네.아이고, 여기서 뵙겠습니다. 인절미를 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