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culture
-
아, 경순왕 !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08. 5. 30. 13:16
신라 56대 마지막 왕인 경순왕릉(敬順王陵)은 오랫동안 잊혀져오다가 조선 영조 때 현재의 위치에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신라의 왕도인 경주 지역을 벗어나 타지역에 있는 유일한 신라왕릉임을 알게 되었다. 경기 연천군 장남면 고랑포리 산18-2번지. 망국 후에 조성된 때문인지 왕릉으로서는 매우 소박하다. 패자는 살아서도 죽어서도 외롭다.포천서 군복무하는 아들덕에 알고 알게된 우리 할아버지의 할아버지의 할아버지의 할아버지의 할아버지의 . . .사적 제244호신라경순왕지묘(新羅敬順王之陵)라 새겨진 묘표에는 한국동란시 총탄 자국이 선명하게 남아 있다. 927년 후백제의 침공으로 경애왕(景哀王)이 죽은 뒤 견훤에 의해 경순왕이 즉위했다. 국가의 기능이 마비되었으며 국토는 날로 줄어들고 견훤이 죽자 민심은 고려로..
-
<혼불>의 작가 최명희(崔明姬)문화 culture/문학 literature 2008. 5. 22. 15:51
한옥마을 내에 최명희 생가길과 생가터가 있다. 그 길 끝에 최명희문학관이 새초롬하다. 덕진동 그의 무덤은 혼불문학공원으로 꾸며져 있다. 남원 사매면 노봉리에 있다는 혼불문학관을 언젠가 찾아보아야 할 일이다. 서도 폐역과 함께. 혼불은 전라도 방언으로 사람의 혼을 이루는 바탕으로 죽기 얼마 전에 몸에서 빠져 나간다. 그 기운은 맑고 푸르스름한 빛을 띤다고 한다. 은 1930년대 전라북도 남원의 몰락해 가는 양반가의 며느리 3대(代) 이야기를 다룬 최명희(崔明姬)의 대하소설이다. 경상도에 박경리의 와 버금간다 할 것이다. 전주한옥마을 내. 구석봉과 이영순 http://ktk84378837.tistory.com/3501 김영랑 생가 http://ktk84378837.tistory.com/3826 김정한 생가 ..
-
전주 전동성당(殿洞聖堂)문화 culture/기독교문화 Christian Culture 2008. 5. 22. 15:48
전주 전동성당. 전주 전동성당. 전주 전동성당은 사적 제288호로 조선시대 천주교도의 순교터에 세워졌다. 이 건물은 천주교 신자들을 사형했던 전라북도 전주시 전동 풍남문(豊南門) 밖에 지어진 성당이다. 조선시대의 전주는 전라감영이 있었으므로 천주교회사에서 전동은 자연히 순교지의 하나가 됐다. 정조 15년(1791)에 진산사건의 주동자인 최초의 순교자 윤지충(바오로)과 권상연(야고보), 순조 원년(1801)에 호남 첫 사도 유항검(아우구스티노)과 윤지헌(프란치스코) 등이 이곳에서 박해를 받고 처형됐다. 신유박해(1801년) 때는 이곳에서 유항검(柳恒儉)과 유관검 형제가 육시형을, 윤지헌, 김유산, 이우집 등이 교수형을 당했다. 이들의 순교의 뜻을 기리고자 1891년(고종 28)에 프랑스 보두네(Bauden..
-
전주 한옥마을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08. 5. 22. 15:47
전주한옥마을 http://ktk84378837.tistory.com/3141 http://ktk84378837.tistory.com/3142 http://ktk84378837.tistory.com/3143 http://ktk84378837.tistory.com/3716 http://ktk84378837.tistory.com/5454 양동한옥마을 http://ktk84378837.tistory.com/1685 외암민속마을 http://ktk84378837.tistory.com/2495
-
경기전(慶基殿)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08. 5. 22. 15:39
경기전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영정을 봉안 곳으로 사적 제339호로지정되어 있다.국보 제317호인 조선 태조 이성계의 어진인〈조선태조어진〉. 사진은 문화재청.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로 가로 150㎝, 세로 218㎝이다. 태조의 초상화는 한 나라의 시조로서 국초부터 여러 곳에 특별하게 보관되어 총 26점이 있었으나 현재 전주 경기전에 있는 태조 초상화 1점만이 남아있다.이 초상화는 임금이 쓰는 모자인 익선관과 곤룡포를 입고, 정면을 바라보며 용상에 앉아있는 전신상으로 명나라 태조 초상화와 유사하다. 곤룡포의 각진 윤곽선과 양다리쪽에 삐져나온 옷의 형태는 조선 전기 공신상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이다. 또한 바닥에 깔린 것은 숙종 때까지 왕의 초상화에 사용된 것으로, 상당히 높게 올라간 것으로 보아 오..
-
무주 백련사 초파일의 추억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08. 5. 13. 13:32
백련사. 수양이 부족하니 누워 침 뱉는 얘기나 하나 하자. 세상에 전라도 음식 치고 이렇게 싱겁기 짝없고 나물이냐고 다섯가지 밖에 들어가지 않은 절밥 한 그릇 얻어 먹고 우리 사랑스런 마나님 설거지 공양까지 하고 내려왔는데, 세상에 내가 잘못하고도 이렇게 억울한 일이 어디 있을까. 태고사 가자는 아내 말을 들었어야지 후회해도 소용없구나. 사연인즉슨, 괜스레 이상한 느낌이 들면서도 자기 가고싶은 데로 가라는 말에 이름도 예쁜 백련사를 가겠다고 먼길 나섰겠다. 국립공원 입장료 불필요하다고 여론에 떠밀려 없앤 지가 얼마나 되나. 그거 손해 볼 사람 누가 있을까마는 당장 주차비를 올리고 입장료 올린 일이 엊그제다. 올핸 주차비를 천 원 인상해서 5천원을 받는데 1차 억울한 마음은 부처님 오신 날이라고 입장료며 ..
-
금산 태고사 太古寺 초파일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08. 5. 13. 13:30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7호 대웅전. 태고사. 금산군 진산면 대둔산(大芚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원효가 창건한 사찰. 신라시대 원효(元曉)가 창건하였고, 고려 말 보우(普愚)가 중창하였으며, 조선 중기에 진묵(震默大師)이 중창하였다. 송시열(宋時烈)의 수학지(修學地)로도 유명한 이 절은 6·25 때 전소된 것을 주지 김도천(金道川)이 30년 동안 이 절에 머무르면서 대웅전, 무량수전(無量壽殿), 요사채 등을 중건하였다. 한용운(韓龍雲)이 “대둔산 태고사를 보지 않고 천하의 승지(勝地)를 논하지 말라.”고 할 만큼 빼어난 곳이다. 태고사 http://ktk84378837.tistory.com/425 https://ktk84378837.tistory.com/2294 https://ktk8437..
-
무주 백련사에 매월당 부도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08. 5. 13. 13:26
무주 백련사. 무주 백련사 일주문 안쪽에 매월당 부도(梅月堂 浮屠)(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3호)가 있어 김시습의 것인줄 알았는데 1784년에 세워진 매월당 설흔(梅月堂雪欣) 스님의 부도이다. 호가 같아 생긴 큰일날뻔한 오해였다. 전체 높이가 190cm로 둥근 대석 위에 탑신(塔身)이 석종형(石鐘形)으로 올렸다. 대석에는 복련(覆蓮)을 새겨 놓았고, 탑신의 상륜부(相輪部)는 보륜(寶輪)을 조각한 뒤 그 위에 유두형 보주(寶珠)를 조각했다. 보륜을 중심으로 한 탑신의 윗면과 보주 위에는 화려한 복련과 앙련(仰蓮)이 조식되어 있다. 탑신에는 '매월당설흔탑(梅月堂雪欣塔)'이라는 탑명과 함께 매월당 설흔의 부도를 생질인 임선행이 세웠다는 '건륭갑진삼월생질임선행건립(乾隆甲辰三月甥姪朴善行建立)' 이라는 명문이 새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