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
영천 은해사 거조암의 영산전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8. 6. 16. 23:01
영천 은해사(銀海寺) 거조암(居祖庵)의 영산루 거조암 맞은 편의 요사채. 조사(祖師)가 머물던 거조암(居祖庵)은 꽃대궐이다.거조사(居祖寺)를 먼저 지었는데 근래에 와서 은해사에 속하는 암자가 되어 거조암이라 부르게 되었다. 거조암 쪽에서 잡은 영산전영산전(靈山殿)이라 함은 석가모니와 팔상탱화(八相幀畫: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여덟 시기로 나누어 그린 탱화)를 봉안한 사찰의 중요 당우 중 하나이다.팔상전(捌相殿)이라고도 하며 영산(靈山)은 석가모니가 설법했던 영축산(靈鷲山)을 줄인 말이다. 불상의 후불탱화(後佛幀畫)로는 영축산에서의 『법화경』 설법상을 묘사하고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를 봉안한다. 은해사 거조암의 영산전(靈山殿)은 고려말 주심포 양식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어 부석사의 무량수전과 조사당 및 수덕..
-
일연스님 모신 군위 인각사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8. 6. 16. 10:17
군위 석굴암을 보고 서둘러 인각사(麟角寺)를 찾았다. 일연스님이 삼국유사(三國遺事, 국보 306호)를 집필한 사찰로 알려져 있다. 는 한국 고대의 신화와 민간설화와 향가 등 불교 관계 기사를 수록, 와 함께 고대문학과 역사 연구에 귀중한 문헌이 된다. 삼국유사 기이제이(奇異第二) 문무왕 법민편을 보면 깜짝 놀랄만한 거대농담이 펼쳐진다. "왕이 처음 즉위한 때는 용삭(龍朔) 신유년(661)이었다. 사비 남쪽바다에서 여자의 시체가 나왔는데 키가 73척이고 발길이가 6척이며 음부의 길이만 3척에 이르렀다. 어떤 사람은 키가 18척이라고도 했다." 1척(尺)은 한 자인데 보통 30cm로 계산한다. 73척이면 21.9m 이고 17척이라 해도 5.1m 거인이다. 한국판 걸리버여행기의 인물인 셈이다. 절은 아담하고 ..
-
군위 팔공산 석굴암(石窟庵)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8. 6. 16. 09:55
예전에 제2석굴암이라 불리던 군위 팔공산 석굴암 아미타여래삼존석굴, 국보 제109호이다. 신라 눌지왕 때 아도화상(阿度和尙)이 정진한 곳이며 문무왕 때 원효대사(元曉, 617~ 686)가 본존불 및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 삼존불을 모셨다. 국보24호인 토함산 석굴암보다 100여년 앞섰으나 늦게 발견된 연유로 석굴암 타이틀을 억울하게 빼앗겨 버렸다. 경북문화재자료 제241호. 이 모전석탑(模塼石塔)의 작자와 유래는 알 수 없으나 신라시대로 추정하고 있다. 1949년 탑신부에 자생한 소나무가 쓰러지면서 탑이 무너져 복원하였다. 분황사 모전석탑(국보30호), 의성 탑리모전석탑(국보77호), 영양 산해리모전석탑(국보187호), 의성 빙산사지오층석탑(보물327호), 구미 낙산리모전석탑(보물469호), 제천 장락동..
-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8. 6. 16. 09:36
의성 금성면 탑리리 5층석탑(義城塔里里五層石塔), 국보77호, 지붕돌의 윗면 6단 아랫면 5단 양식의 전탑과 네 귀퉁이가 살짝 들린 목탑의 수법을 동시에 보여주는 통일신라양식이다. 따라서 이 석탑은 이전에 목탑과 전탑이 존재하였음을 추정하는 유력한 근거로 평가되고 있다. 훼손이 심해 2016년 문화재청의 보수를 진행하였다. 지붕돌의 윗면이 층단을 이루고 있는데, 이것은 전탑의 양식이어서, 이 석탑을 모전석탑(模塼石塔)이라고 부른다. 같은 양식의 분황사 모전석탑은 국보 제30호이다. . 입구에 보이는 송도사진관의 허름한 건물이 역사를 말해준다. 삼층석탑을 이웃하고 있는 탑리제일교회. 의성 산운마을 http://ktk84378837.tistory.com/6379 의성 산수유마을 https://ktk84378..
-
부처님오신날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8. 5. 22. 22:49
월리사. 음력 4월8일은 부처님오신날. 예전엔 석가탄신일이라 했는데 '석가(釋迦)'는 고대 인도의 특정 씨족을 지칭하는 것이어서 불교계가 변경을 요구하였고 정부에서 이를 받아들여 2018년부터 공식적으로 부처님 오신 날이 되었다. 부처님 오신 날을 음력 4월8일로 정한 것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북방불교에서 비롯된다. 남방불교에선 음력 4월 15일을 부처님 오신 날로 지내고 있다. 월리사 https://ktk84378837.tistory.com/8228 https://ktk84378837.tistory.com/8508 부처님 오신 날 / 목필균 햇살이 세상을 고르게 밝히듯이 시방 삼세를 두루 살피시는 부처님 생사를 윤회하면서 지은 죄업은 모른 채 제 복만 비는 어리석은 중생들을 위해 룸비니 동산에 탄생하심..
-
봉화 지림사 智林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8. 5. 9. 23:28
경북 봉화군 물야면 북지리에 지림사(智林寺) 라는 손바닥만한 절이 있다. 거기 봉화군 유일의 국보 마애여래좌상(국보 제201호)이 있다. 문화재청 설명에 의하면 "불상을 만든 시기는 얼굴이나 신체에 표현된 부드러운 모습 등을 고려할 때 7세기 후반으로 추정되며,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보물 제221호)과 함께 이 시기 영주·봉화 일대 불상 양식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신라 불교조각사에 거대한 발자취를 남기고 있다." 보호각에 안치되기 전의 모습으로 위키백과에 실려 있다. 대웅전 뒤쪽 석벽에도 마애석불이며 마애석탑이 아기자기하게 양각되어 있다. 작은 절 대웅전 마당도 부처님 오신날 행사 준비에 여념이 없다..
-
예천 용문사 龍門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8. 3. 25. 19:46
소백산 용문사 일주문 용문사 전경. 신라 경문왕 때 두운선사가 창건한 천년고찰이라 하는데 고색창연한 모습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해운루 옆구리에 넋이 나간 회원의 촬영법 보광명전(普光明殿)은 철조 비로자나불을 주불로 모셨고 좌측에 소조 약사여래 우측에 소조 석가여래를 모셨다. 보광명전은 보광전(普光殿), 극락보전(極樂寶殿), 아미타전(阿彌陀殿), 무량수전(無量壽殿)이라고도 한다. 보광명전 뒤쪽 벚나무에 엉겨붙은 겨우살이 진영당, 용문사에 적을 두었던 스님들의 영정이 보관되어 있다. 보물 제145호인 대장전, 이 조그마한 건물엔 용문사가 자랑하는 보물 제989호 목각좌불 및 목각탱, 보물로는 유일한 제685호인 윤장대가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용문사에는 보물만 8개인데 보물 제1666호인 천불도며, 보물..
-
영광 불갑사(佛甲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8. 1. 16. 23:59
예전 같으면 꽃무릇 찍느라 보이지 않던 불갑사였다. 날씨 핑계를 달아 찻길을 택하다 보니 일주문을 후다닥 지나 불갑사의 대문이랄 수 있는 인왕문(=금강문) 앞까지 내달아왔다. 금강문의 왼쪽벽에는 금강저(金剛杵)를 든 야차신(夜叉神)의 우두머리인 밀적금강과 오른쪽 벽에는 코끼리의 백만배 힘을 자랑하는 나라연금강이 금방이라고 후려칠듯 굽어보고 있다. 인도승 마라난타(摩羅難陀)가 백제땅 법성포로 들어와 처음 지은 절이어서 모든 불사의 시원이요 으뜸이란 뜻으로 불갑사(佛甲寺)가 되었다. 전남 영광군 불갑면 모악리 8 에 위치한 조계종 백양사의 말사이다. 인왕문 들어서면 좌로 명경대(明鏡臺)가 보이고 우로는 수다라성보관(修多羅聖寶館)이 듬직하다. 인왕문을 지나면 천왕문이 나타나는데 오른손에 용을 거머쥔 남방수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