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
가야산 해인사 伽倻山 海印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20. 8. 19. 17:17
성철스님 사리탑, “내가 삼십 년 전 참선하기 전에는 산은 산으로, 물은 물로 보았다가 나중에 선지식(善知識)을 친견(親見)하여 깨침에 들어서서는 산은 산이 아니고 물은 물이 아니게 보았다. 지금 휴식처를 얻고 나니 옛날과 마찬가지로 산은 다만 산이요, 물은 다만 물로 보인다. 그대들이여, 이 세 가지 견해가 같으냐 다르냐 이것을 가려내는 사람이 있으면 나와 같은 경지에 있다고 인정하겠노라.” 성철스님은 대구 동화사에서 28세때 하안거중 대오했다. 대한불교 6,7대 조계종종정을 역임하였다. 태어나기는 산청군 단성면 겁외사이지만 열반은 해인사 백련암에서였다. 2010년의 구름처럼 모인 군중이 둘러싼 다비식 장면이 지금도 생생하다. 책을 보지 말라는 말로도 유명하다. 대한민국 선불교의 수행 전통으로 여겨온 ..
-
봉정사(鳳停寺) 도 다시 찾았다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9. 11. 20. 16:09
천등산 봉정사는 우리가 살고 있는 곳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도 험하지도 않아 잠시 바쁜 도심을 떠나 한적한 여유를 가질 수 있어서 좋은 곳이다.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을 가진 이 곳은 우리들 모두에게 자랑스러운 곳이기도 하고 누구나 봉정사에 오면 심신의 피로를 다 잊어버리고 맑은 공기를 마음껏 마시며 등반 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또한 점차 번잡해 가는 다른 사찰들과는 달리 조용한 한국산중 불교의 전통을 이어오고 있어 불교를 믿든 믿지 않든 더없이 좋은 수련의 장소이기도 하다. 봉정사는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스님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천등산은 원래 대망산이라 불렀는데 능인대사가 젊었을때 대망산 바위굴에서 도를 닦고 있던 중 스님의 도력에 감복한 천상의 선녀가 하늘..
-
경주 불국사(佛國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9. 11. 13. 22:12
경주 배동 선방사지(禪房寺址)에 석조여래삼존입상(慶州 拜洞 石造如來三尊立像)이 기우는 햇살에 더욱 쓸쓸하다. 국보급문화재가 흔한 동네라서 그럴까 보물 제63호라지만 주변을 보면 달랑 표지석 하나뿐인 홀대접 느낌이다. 상높이는 본존상 278㎝, 좌협시보살상 235㎝, 우협시보살상 292.5㎝. 흔히 배리삼존불로 부르며 삼체석불(三體石佛)이라고도 한다.중앙의 본존불은 머리에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있는데, 특이하게도 이중으로 되어 있으며, 표면이 매끄럽게 표현되었다. 어린아이 표정의 네모난 얼굴은 풍만하며, 둥근 눈썹, 아래로 뜬 눈, 다문 입, 깊이 파인 보조개, 살찐 뺨 등을 통하여 온화하고 자비로운 불성(佛性)을 표현하고 있다. 목이 표현되지 않은 원통형의 체구에 손을 큼직하게 조각하였는데, 왼손..
-
화순 쌍봉사(雙峰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9. 4. 24. 23:13
화순 쌍봉사 쌍봉 사자문. 이양면(梨陽面) 증리(甑里) 위치한 쌍봉사는 신라 신무왕 원년(839) 이전에 도윤(道允, 798~868년, 성은 박(朴)씨)이 자신의 호인 쌍봉(雙峰)을 따서 지었다. 시호는 철감선사(澈鑒禪師)이며, 탑호(塔號)는 징소(澄昭)이다. 그의 제자인 절중이 그 선풍을 받들어 사자산파를 창건하였으며 신라 선문 9산의 하나가 되었다. 쌍봉사 사천왕 남방 중장천왕과 동방 지국천왕 쌍봉사 사천왕 북방 다문천왕과 서방 광목천왕 화순 쌍봉사 대웅전 삼층목탑, 조선 숙종때 중창 소실 1984년 소실 이후 복원, 상륜(相輪)이나 찰주(擦柱)가 없어 탑파라고 보기는 힘드나 전체적인 형태가 3층목탑의 형식을 가지고 있어 현존하는 법주사 팔상전(5층)과 함께 목탑의 예로써 귀중하다. 1986년 네..
-
장흥 보림사(寶林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9. 4. 22. 23:30
가지산 보림사 천왕문, 국가보물 제1254호로 지정된 목조 사천왕을 보유하고 있다. 보림사 사천왕은 임진란 이전에 조성되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되었다. 석조이면서 보물 제318호로 지정된 청도 운문사의 사천왕도 있다. 순천 송광사의 흙으로 빚은 소조사천왕상은 보물 제1467호이며, 완주 송광사의 소조사천왕상은 보물 제1255호다. https://ktk84378837.tistory.com/7149 북방세계를 지키는 다문천왕과 동방세계를 지키는 지국천왕, 목조, 보물 제1254호. 연꽃, 국화, 모란에 불꽃, 구름 무늬까지 화려하고 아름답게 조각된 보관(寶冠)은 보림사 사천왕이 으뜸이며 특징이다. 남방세계를 지키는 중장천왕과 서방세계를 지키는 광목천왕, 목조, 보물 제1254호. 중장천왕 앞에 사찰과 불법..
-
익산 미륵사지석탑과 왕궁리오층석탑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9. 4. 14. 22:59
1989년 7월 17일.익산 미륵사지 석탑(益山 彌勒寺址 石塔), 국보11호, 백제 최대의 사찰이었던 익산 미륵사는 무왕(武王, 600-641) 대에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륵사는 전형적인 1탑1금당의 백제식 가람배치와 달리 세 개의 탑과 금당 등으로 구성된 3탑3금당의 독특한 배치형식이다. 이 미륵사지 석탑은 세 개의 탑 중 서쪽에 위치한 탑이다. 우리나라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창건시기가 명확하게 밝혀진 석탑 중 가장 이른 시기에 건립된 것이다. 원래는 9층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반파된 상태로 6층 일부까지만 남아있었다. 창건당시의 정확한 원형은 알 수 없으며, 17~18세기 이전 1층 둘레에 석축이 보강되고 1915년 일본인들이 무너진 부분에 콘크리트를 덧씌운 상태로 전해졌다.남아있던 6층..
-
남원 실상사(實相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8. 9. 12. 23:55
남원 실상사의 천왕문 실상사 동 칼을 든 지국천왕과 남 용을 움켜쥔 중장천왕 실상사 서 탑을 든 광목천왕과 북 비파를 든 다문천왕. 지리산 남원 실상사(實相寺) 실상사 삼층동탑 보물 제37호 신라말기 작품이다. IMG_9065실상사 삼층서탑 역시 보물 제37호이다. 실상사 석등 보물 제35호이며 신라말기 작품이다. 오른쪽 짤린 이미지는 석계(石階)인데 천은사(泉隱寺) 석등에서도 볼 수 있다. 실상사 보광전 전면 실상사 보광전 동벽 실상사 보광전 서벽 실상사 보광전의 풍경 실상사 보광전 범종 유형문화재 제137호(1694) 실상사 보광전 삼존불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는 실상사 보광전 앞의 반송(盤松) 실상사 명부전(冥府殿) 실상사 목탑지의 솟대 장마비를 맞고 움쑥 자란 풀이 싱그러운 실상사 목탑지 실상..
-
국립경주박물관(國立慶州博物館)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8. 7. 13. 18:07
고선사터삼층석탑, 국보 제38호, 경주 국립박물관 내, 통일신라시대. 감은사지 석탑과 비슷하다. 외동읍 말방리에 있던 숭복사터(崇福寺址) 쌍거북비석받침(雙龜趺). 원성왕의 명복을 빌어주던 사찰로 최치원이 지은 비문이 있었다. 경주 배리 창림사터와 경주 암곡동의 무장사터에도 쌍거북받침이 있는데 모두 왕실과 관련되어 있는 것이 공통점이다.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 봉덕사종, 에밀레종이라고도 불렀다. 국보 제29호, 경주국립박물관 내. 성덕대왕의 넋을 기리기 위해 지은 봉덕사에 있다가 폐허로 변하자 영묘사, 경주읍성 남문밖, 동부동 구 경주박물관에에서 지금의 자리로 옴겼다. 신라 경덕왕이 부왕인 성덕왕의 공덕을 찬양하기 위하여 동(銅) 12만 근으로 주조를 시작했으나 완성을 못하고 죽자 아들인 혜공왕이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