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
참새들의 장마 대비 반상회 tree sparrow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08. 7. 1. 08:59
참새 tree sparrow. 참새목 참새과. 크기 10~15cm. 대표적인 텃새, 새의 크기를 비교하는 ‘자’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하여 자새라고도 한다. 부리는 짧고 단단해서 곡식을 쪼아 먹기에 알맞다. 수명은 5~6년 정도이다. 부리는 짧고 단단해서 곡식을 쪼아 먹기에 알맞다. 여름에는 해로운 곤충을 잡아먹어 익조이나 가을에는 농작물에 피해를 줘 지청구를 듣는다. 아파트 1층에 사는 즐거움과 편리함이 이만저만 아니다. 공포의 엘리베이터를 경험하나 산소 희박한 고층에서 먹먹하게 사나 편리하기 이를데 없거늘. 봄에는 사군자의 으뜸인 매향에 취하면서 푸르른 녹음을 눈으로 보고 코로 맡는다. 여름이 오기 전엔 매실을 8kg 나 따서 설탕을 1:1 비율로 버무려 엑기스를 낸다고 담았다. 현관 입구 왼편 부엌..
-
어치 Eurasian Jay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08. 5. 4. 20:41
어치 Eurasian Jay. 산까치. 학명 Garrulus glandarius. 참새목 까마귀과. 크기 33cm. 나뭇가지에서 가지로 옮겨 갈 때나 땅 위에서 걸을 때는 까치처럼 양쪽 다리를 함께 모아 통통 뛰며 걷는다. 작은 새들의 새끼를 사냥하는 숲속의 폭력자이다. 한배에 낳는 알의 수는 5~6개이다. 알을 품는 기간은 16~17일이며, 새끼는 부화 후 약 17~20일 후에 둥지를 떠난다. 몸은 회갈색이며 파란색 광택의 독특한 날개덮깃에 검은 줄무늬가 있다. 다람쥐처럼 도토리 같은 잘 썩지 않는 열매를 열심히 목 부분에 담고 저장장소에 옮겨 놓기도 한다. 보문산. 어치 http://ktk84378837.tistory.com/3248
-
딱새 daurian redstart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08. 4. 14. 15:36
딱새의 육아일기 daurian redstart. 학명 Phoenicurus auroreus. 참새목 지빠귀과. 크기 14cm. 텃새 겸 철새. 도시 변두리나 농촌 등 인가 근처에서 단독으로 생활하며 관목에 앉아 꼬리를 까딱까딱 상하로 흔들며 운다. 알 낳는 시기는 5~7월이며 한배에 낳는 알의 수는 5~7개이다. 수컷은 이마, 머리꼭대기, 뒷목까지 잿빛이 도는 흰색이고, 등과 어깨는 검은색으로 잿빛 갈색의 가장자리가 있다. 허리와 아랫가슴, 배 아래쪽은 붉은 갈색이고 날개는 검은색바탕에 흰 얼룩이 있다. 암컷은 이마, 아랫등, 배면까지 연한 갈색이며, 날개부분에 흰 반점이 있다. 수컷의 바깥꼬리깃은 적갈색이며, 암컷은 수컷보다 옅은 적갈색의 바깥꼬리깃을 가지고 있다. 붉은머리오목눈이 http://ktk8..
-
붉은머리오목눈이 Vinous-throated Parrotbill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08. 3. 11. 09:39
붉은머리오목눈이 좀 보세요. 인석이 흔히 뱁새라는 녀석입죠. 아무리 눈을 휘둥그레 둘러봐도 보이질 않습니다. 세상에 이런 위장술이 어디 있단 말입니까? 한 곳에 머물지 못하는 촐랑거림이있지요. 그렇지 않으면 족제비나 황조롱이나 들고양이에게 잡힐 겁니다. 생기기는 뭐 이리 착하게 생겼습니까? 그러니까 뻐구기가 와 탁란을 해도 제 새끼로 알고 키우잖아요? 뻐꾸기가 나쁜 녀석으로 보이나요? 오목눈이는 바보일까요? 바보로 보는 사람이 바보일까요. 뱁새와 관련된 속담을 보면 뱁새에 대한 조상들의 생각을 엿볼 수 있습니다. 뱁새가 수리를 낳는다, 뱁새는 작아도 알만 잘 낳는다 는 긍정적인 의미랍니다. 뱁새가 황새 흉내를 내면 다리가 찢어진다 는 대개 경구로 쓰입니다. 못 올라갈 나무 쳐다보지도 말라는 뜻이겠지요. ..
-
직박구리 Brown-eared Bulbul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08. 3. 11. 09:38
직박구리 Brown-eared Bulbul. 훌우룩 빗죽새. 학명 Hypsipetes amaurotis. 참새목 직박구리과의 텃새. 크기 28cm. 주로 나무에서 생활하며, 땅 위에 거의 내려오지 않는다. 한배에 낳은 알의 수는 4~5개이며, 암컷이 알을 품는다. 알을 품는 기간은 13~14일이며, 부화 후 10~11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식물의 열매를 매우 좋아하며, 봄에는 식물의 꽃을 따먹고, 여름에는 곤충을 잡아먹는다. 도시에 가장 빨리 적응이 된 새이다. 한밭수목원.. 지바뀌, 까치, 직박구리, 박새 http://ktk84378837.tistory.com/4421 직박구리 http://ktk84378837.tistory.com/3450 직죽(稷粥) / 계곡(谿谷) 장유(張維, 1587년-16..
-
검은등할미새 Motacilla grandis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08. 2. 4. 21:37
참 재미난 이름도 가졌다. 검은등할미새. 반 아이들이 붙인 별명일까? 덩치 큰 기러기 떼지어 우루루 우루루 늙어 왜소해진 할미는 무리에서 빠져나와 살짝 언 강물 위를 살금 포롱 살금 포롱포롱 .. 저 가는 다리좀 보아. 차가운 얼음바닥에 오똑한 모습이 얼마나 위대하냐. 산다는 것이 얼마나 애처로운 것이냐. 검은등할미새 Motacilla grandis. 참새목(Passeriformes) 할미새과. 텃새. 크기 23cm. 자갈과 바위가 풍부한 지역, 계곡, 하천, 강에서 생활한다. 전체적으로 검은색을 띠며, 이마와 눈썹선, 턱 밑, 둘째날개깃, 배는 흰색이다. 암컷은 등이 수컷보다 색이 연하다. 검은등할미새 ktk84378837.tistory.com/3503 척령(鶺鴒) / 유숙(柳潚, 1564~1636) ..
-
백조의 호수 Tundra swan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08. 1. 15. 21:08
1월 15일자 동아일보를 화장실에 앉아 뒤적이다가 옥천 동이면 적하리 금강에서 찍었다는 고니 사진이 실렸기에 한달음에 달려갔겠다. 양반의 고장 충청에 백조가 떴다. 얼라, 정말이네? 웬 고니야? 이런 겨울의 진객이 沃川을 알아 보다니... 우리 마을 금강 줄기에 백조가 찾아들었다. 흰색 새니까 백조일텐데 우리말 고니는 무슨 말이지. 훈몽자회에 곤[鵠]이고니가 되었으니 큰 새를 가리킨다. 풍모로 보아군자의 새다. 나는 거위이니 천아(天鵝)요. 주둥이가 누런 고니니 황곡(黃鵠)이다. 너희는 시베리아에서 번식을 하고 추위를 피해 장장 3천 키로 남쪽으로 날다가 팔 아프고 배 고파서여기 잠깐 쉬는거겠지? 아님 일행과 어쩌다 떨어진 거니? 일곱 쌍 열네 마리가 맨 앞의 우두머리 지시에 따라 물살 타고 내려갔다가 ..
-
되솔새 pale-legged willow warbler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07. 9. 22. 18:28
어제 죽은 녀석의 어미일까? 형제일까? 오늘도 어김없이 녀석들이 찾아와 긴장을 늦추지 않은 자세로 구릿대 열매를 쫀다.베란다 유리창은 열려 있으나 부스럭 소리에도 도망하는 녀석들이다.모기장을 간신히 열고 100mm 를 ISO 200으로 높히고 F2.8 에서 몇 방 쏘아댔다.아픔에 멍이 든 가슴일까 평소보다 느슨해진 폼새로 배를 채우고는 어디론가 초롱초롱 사라진다. 아, 삶이 이다지도 애닲은 것일 줄이야. 되솔새 pale-legged willow warbler, Pale-legged Leaf Warbler. 학명 Phylloscopus tenellipes. 참새목 휘파람새과. 여름철새. 봄, 가을철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통과철새이다. 크기 11~12cm. 윗 머리가 등보다 색이 어두우며, 명확한 흰색 눈썹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