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
민물도요 Calidris alpina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11. 3. 21. 15:04
민물도요 Calidris alpina, 도요류 중 가장 흔한 종이며, 봄, 가을 전국의 해안가나 내륙습지에서 쉽게 관찰된다. 크기 19cm. 번식기에는 머리와 등이 적갈색 바탕에 흑갈색 무늬가 흩어져 있다. 배는 흰색이며 큰 검은색 알록달록한 무늬가 있다. 겨울에는 무늬가 없으며 등은 옅은 회색, 부리는 검은색. 부리는 길고 아래로 약간 휘어져 있다. 눈썹선은 흰색이다. 유등천. 도요새 / 박경리 가엾은 넋이여 어디를 헤매다 이제 오나 수만 리 장천 한 마리 도요새 되어 날아가다 돌아왔나 때 묻은 장판방 벽에는 작업복 줄레줄레 걸려 있고 한밤은 창가에 걸려 있다 개구리가 운다 봄이 지나가고 초여름인 것을 깜빡 잊고 있었구나 한 마리 도요새 되어 수만 리 장천 날아가다 돌아온 나의 넋이여 자리 잡고 앉아요..
-
금계(金鷄) golden pheasant -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10. 11. 8. 21:17
중국 남서부가 원산인 꿩과의 닭.검색하다 보니 러시아 작곡가 림스키코르샤코프의 '금계'가 있다. 프롤로그, 에필로그가 딸린 3막짜리 작품으로 푸시킨의 환상적인 이야기에 바탕을 둔 비에르스키의 대본으로 되었다. 1906년부터 이듬해에 걸쳐 작곡되었는데, 내용이 당시의 제정러시아를 비판한 것이라 하여 상연 금지되었다가 작곡자가 죽은 다음해인 1909년 모스크바에서 초연되었다.내용은 위급한 일이 닥칠 때면 운다는 금으로 된 닭을 점성술사로부터 받은 도든왕(王)은 그 점성술사가 요구하는 것을 준다고 약속한다. 이윽고 왕국에 적군이 쳐들어오자 금계가 울고 왕자들은 싸움터로 나간다. 왕이 전쟁터에 이르니 두 왕자는 이미 죽었고 거기에는 셰마카의 여왕이라는 미녀가 있었다. 왕은 여왕을 자기 나라로 데려가는데, 그때 ..
-
딱새의 육아일기 daurian redstart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10. 7. 19. 17:04
여름이라 사용하지 않는 시골집 보일러의 굴뚝 속에 둥지를 튼 딱새 한 쌍. 100mm 마크로를 가지고 5m 정도 떨어진 보일러 기름통 뒤에서 가다렸다. 몇 번이고 되돌아가던 수컷은 경계를 늦추지 않으면서도 결국은 먹이를 건네주는 행위를 반복하였다 암컷은 의심이 어찌나 많은지 주변을 맴돌다 끝내는 잡어온 먹이도 제가 먹고는 날아가버렸다. 암컷은 역시 겁도 많고 수다만 열심이지 이내 새끼도 잊어버린다. 수컷은 가장으로서의 책임감을 다하는 눈물겨움이 있다. 딱새의 육아일기 daurian redstart. 학명 Phoenicurus auroreus. 참새목 지빠귀과. 크기 14cm. 텃새 겸 철새. 도시 변두리나 농촌 등 인가 근처에서 단독으로 생활하며 관목에 앉아 꼬리를 까딱까딱 상하로 흔들며 운다. 알 낳는..
-
백로[白鷺]냐 학[鶴]이냐 Egretta intermedia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10. 6. 6. 22:00
옥정호를 보고 내려와 임실읍에 들렸다.아침을 거르지 않았다면 기다렸다 어미와 조우하는 모습을 보고 왔을 터.못내 아쉽지만 이만도 덤인 것이 넘치는 복하다.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건 백로다.백로에는 쇠백로, 중백로 중대백로, 황로, 노랑부리백로가 있다.두루미라는 것도 백로가 아닌 학을 가리킨다.백로는 왜가리와 비슷하고 사촌이라이웃하고 산다.백로는 왜가리와 비슷하니 왜가리과이며, 학은 두루미과로 구분된다.백로를 우리말로 부르는 이름이 없나보다.두루미는 뚜르뚜르 우는 소리에서 이름이 유래한다고 전한다.백로와 학(두루미)에 대해서는 확실한 설명이 있다. http://blog.daum.net/originalstone/16906086 그러고 보니 백로는 오다가다 만나기도 하지만 조선 태종 때 이직의 시조로 유명하..
-
왜가리 Grey Heron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10. 6. 6. 21:58
왜가리는 뒷머리에 푸른 깃이 있는 흰 새 라는 어원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왜가리에서 왜는 푸르다는 뜻의 아오(靑)에서, 가리는 희다는 뜻의 사(白)와 새라는 뜻의 기(鳥)가 합쳐져 변형되어 나온 말이라고 한다. 왜가리 Grey Heron. 학명 Ardea cinereal. 황새목 백로과. 크기 94~97cm. 백로류 중에서 가장 크다. 수명 10~15년. 여름철새. 여름 번식기에는 부리가 주황색을 띠며, 다리도 붉어진다. 한배에 낳는 알의 수는 3~5개이다. 알을 품는 기간은 25~28일이다. 새끼는 부화 후 약 50~55일 동안 어미가 먹이를 공급하여 키운다. 독수리 http://ktk84378837.tistory.com/1726 고니 http://ktk84378837.tistory.com/4423 ..
-
꿩알 Common Pheasant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10. 5. 6. 10:00
아내는 고사리를 꺾고나는 푸르딩한 꿩알을 보았다.병아리로 깨어나길 기원하면서 취나물을 뜯었다.꿩 pheasant. 꿩은 나는 것이 마치 화살(矢) 같다고 치(雉)이다. 학명 Phasianus colchicus. 꿩과. 크기 수컷 85~95cm, 암컷 56~60cm. 4~6월에 야산의 덤불숲, 숲 속의 땅 위에 알을 8~12개 낳는다. 포란기간은 23일이다. 암컷이 포란하고, 새끼를 돌본다. 수컷은 뒷머리에 녹색 귀깃이 있으며, 뺨에는 붉은 살이 있고, 번식기에 부풀려 암컷에게 과시한다. 목에 흰색 띠가 뚜렷하며 뒷목까지 연결된다. 발목 뒤의 날카로운 며느리발톱은 번식철에 수컷끼리의 경쟁에 이용한다. 중국 한나라 때에는 선비가 높은 사람을 찾아갈 때 지니고 가는 폐백, 즉 예물로 흔히 꿩을 가지고 갔다. ..
-
오리떼를 스치는 민물가마우지 great cormorant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10. 1. 26. 21:25
가마우지는 본래 바다에서 살아 바다가마우지다.먹이를 찾아 강으로 올라와 돌아가지 않고 터잡은 민물가마우지가 있다. 겉만 시커먼 녀석들이 아니라 속도 검은 녀석들이다. 가마우지는 '가마+우지'의 합성어다.'가마' 는 '검은' 이고, '우지' 는 '우는 이' 일 것이다. 검은 녀석들이 먹이 쟁탈을 하는라 울어대니 그 시끄럽고 우악스러워 붙인 이름으로 딱이다. 배가 부른지 해바라기를 하는 중에 오리떼가 지나가는데도 시선이 엉뚱하다.인기척을 느꼈는지 경계를 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그러거나 말거나 궁둥짓하는 오리를 생각하니 귀엽고 익살스럽다. 물속에서는 떼를 지어 제트기 지나가듯 쌩쌩거리니 더욱 신기하다. 고려시대 선종이 대동강 부벽루에서 시짓기로 노니는데, 일곱살(혹은 다섯살이라고도 하는) 천재시인 정지상이지었..
-
바위종다리 alpine accentor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10. 1. 4. 23:14
바위종다리 alpine accentor. 학명 Prunella collaris (Scopoli, 1769). 참새목 바위종다리과. 겨울철새. 크기 18cm. 바위산 정상지대에서 이끼와 풀, 낙엽이 덮인 지역에서 곤충류, 거미류, 씨앗 등을 찾아 먹는다. 날개는 검은색이고 두 줄의 흰색 띠가 나 있다. 꼬리는 검은색이며 끝만 흰색이다. 대둔산. 큰오색딱따구리 http://ktk84378837.tistory.com/1730 쇠딱따구리 http://ktk84378837.tistory.com/1729 멧비둘기 http://ktk84378837.tistory.com/3892 바위종달이 http://ktk84378837.tistory.com/1728 호랑지빠귀, 까치, 직박구리, 박새 http://ktk843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