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억새 Flame Grass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07. 10. 30. 22:48
벼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억새는 산에 사는 산억새와 물가에 사는 물억새가 있다. 이와 혼동되는 갈대는 물가에 서서 계곡바람에 살랑거리는데 물억새와 함께 그러기도 한다. 사람들은 외형이 비슷하긴 하지만 엄연히 구분되는 억새와 갈대를 왜 혼동하는 걸까. 전남 장성의 갈재(蘆嶺)는 갈대가 많은 고개지만 사실은 억새밭이란다. 공주 공산성 앞 모래톱에도 안내판 에는 갈대밭이라 되어 있지만 보니 억새밭이다. 억새와 갈대가 바로 섰을 때의 차이는 이렇다. 억새는 밋밋한 몸으로 이삭이 가벼우니고개를 반쯤만 숙이고 갈대는 칙칙하고 뭉툭하여 무거우니 푹 숙였다. 억새도 억센 새(풀)이요 갈대는 이보다 더 억센 대(竹)이지만, 여자여 그대는 연약한 억새-가 아닌 갈대인 연유는 갈대의 줄기에 비해 머리가 무겁고 바람이 센 물가에..
-
노간주나무 juniper tree초목류 wild flower/소나무과 Pinaceae 2007. 10. 30. 22:46
노가지나무로도 불리는 노간주나무는 측백나무과의 상록침엽 교목이다. 시골에서는 야산에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땔나무였다. 불을 붙이면 타다닥타다닥하는 소리가 재미나서 아궁이에 자꾸만 넣게 되는 나무다. 비슷한 종으로 잎이 짧고 수꽃이 둥근 서울노간주, 잎의 끝쪽이 뭉뚝한 평강노간주, 바닷가에서 자라는 해변노간주, 열매가 잎보다 짧은 두송, 열매가 잎보다 긴 곱향나무가 있다니 노간주도 다양한 편이다. 정원수로 심어도 좋고 목재는 조각재로 쓰고 열매는 식용한다. 생약의 두송실(杜松實)은 이뇨·신경통·류머티즘에 쓴다. 양주 진(Gin)의 향료와 그 밖의 여러 향료에도 사용한다니 얕잡아 볼만한 나무가 결코 아니다. 노간주나무 juniper tree. Needle Juniper, 老柯子木, 老松. 학명 Junipe..
-
민청가시덩굴 열매 Smooth Siebold's greenbrier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7. 10. 30. 22:45
민청가시덩굴 Smooth Siebold's greenbrier. 백합과 청미래덩굴속의 낙엽 활엽 만경목. 길이가 5m. 야산에 여름에 피는 연녹색의 산형 꽃은 청미래덩굴과 비슷하지만 열매는 전혀 다른 청가시덩굴이 발목을 잡는다. 청미래덩굴의 열매는 명감이라고 해서 빨갛게 익어 가는 이 오는 이의 눈을 즐겁게 해준다. 경상도에서는 청미래덩굴의 잎에 떡을 싸서 망개떡을 만들어 특산품으로 판매하고 있다.청가시덩굴의 열매는 크기도 작고 검정색이라 그냥 지나치기 일쑤다.백합과의 낙엽 덩굴식물로 멜쑨, 밀순, 실순(제주) 같은 향명이 있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철조망, 울타리 같은 곳에 심어 생울타리를 만들면 경관이 아름답다. 줄기에 가시가 있는 청가시덩굴이 있다. 보문산에서. 청미래덩굴 http://ktk..
-
뽕모시풀 Mulberry-weed초목류 wild flower/뽕나무과 Moraceae 2007. 10. 30. 22:42
뽕모시풀 Mulberry-weed. 뽕나무과의 한해살이풀, 뽕잎풀. 쐐기풀목 뽕나무과 뽕모시풀속의 한해살이풀. 식물체 전체에 잔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이고 양면이 거칠고 톱니가 있다. 꽃은 9-10월에 암수한포기로 피며, 원줄기 또는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화피는 4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이다. 열매는 수과로 여러 개가 모여 덩어리를 이룬다. 모시물통이와 엇비슷하니 혼동하지 말아야 할 일이다. 뽕모시풀의 저근(뿌리)은 임신부가 태동이 되어 유산될 듯하며 배가 몹시 아플 때에 달여먹는 약초다. 거북꼬리 & 개모시풀 & 좀깨잎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2031 거북꼬리 http://ktk84378837.tistory.com/2661 좀깨잎나무..
-
붉게 물든 대둔산[大芚山]풍경 landscape 2007. 10. 30. 21:17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과 논산군 벌곡면과 전라북도 완주군 일대에 걸쳐 있는 총면적 24.54㎢의 공원이다.소금강이라 불릴 정도로 1,000여 개의 암석 봉우리가 6㎞에 걸쳐 있는계곡미가 뛰어나다. 낙조대의 일몰 광경이 빼어나며 6·25전쟁 때의 격전지인 월성고지·철모봉·매봉·깃대봉 등이 있다.원효대사가 사흘을 둘러 보고도 발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격찬하였으며 금강다리와 동심바위가 유명하다. 수백단 철계단을 가슴 찌릿찌릿 오줌을 질금질금 싸면서 마침내 마천대에 다다르면 하늘을 찌를 듯한 개척탑이 서 있다.멱둥구미(짚으로 둥글고 울이 깊게 결어서 곡식 따위를 담는 큰그릇)를 닮은 모양이라고 대둔산이다.혹은 진칠 屯 자를 써서 대둔산이라 하는 이유는 동학혁명군이 주둔했던 때문이 아닌가 한다.(벼르고 별렀던 장면..
-
실화백나무 Chamaecyparis pisifera초목류 wild flower/측백나무과 Cupressaceae 2007. 10. 30. 17:09
실화백 학명 Chamaecyparis pisifera var. filifera, 日本絲花柏, 가지가 실과 같이 늘어지는 편백이나 화백나무의 변이종. 편백과 측백은 아무리 봐도 비슷비슷하다. 둘이는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이므로 형제간이다. 잎의 무늬가 W자면 측백이고 Y자면 편백이므로 구분이 쉽다. 어떤 퀴즈 프로에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1호가 무어냐고 했는데 전혀 감이 잡히질 않아 애를 먹은 적이 있었다. 생뚱맞게도 측백나무요 대구 달성에 있었다.피톤치드가 소나무보다 3배 이상 많이 방출되어 피부 면역력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피부병 환자들이 편백 숲을 선호하고 있다. 편백 http://ktk84378837.tistory.com/4291 실화백 http://ktk84378837.tis..
-
개잎갈나무 Hymalaya Cedar초목류 wild flower/소나무과 Pinaceae 2007. 10. 30. 17:07
개잎갈나무 Hymalaya Cedar. Deodar Cedar, 설송(雪松). 학명 Cedrus deodara (Roxb.) Loudon. 소나무목 소나무과 개잎갈나무속의 상록침엽교목. 히말라야, 아프카니스탄원산으로 1930년경 우리나라에 도입되었다. 높이 30m, 지름 1m. 잎은 침엽으로 길이 3~4cm로서 짧은 가지에는 30개가 모여 난다.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10 ~ 11월에 피고 수꽃차례는 원주형이며 암꽃차례는 달걀모양이다. 구과는 타원형이며 길이 7 ~ 10cm, 지름 6cm정도로서 녹색이 도는 회갈색이다. 수형이 아름다워 가로수나 공원수로 이용된다. 삼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5222 일본잎갈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14..
-
모감주나무 Goldenrain tree초목류 wild flower/무환자나무과 Sapindaceae 2007. 10. 29. 16:04
모감주나무에 단풍이 멋지게 들었다. 무환자나무과의 낙엽 소교목으로 열매가 염주의 재료이기에 염주나무라고도 한다. 피나무과 나무도 염주나무라 부르는 나무가 꽤 있다.박상진의 에는 불교와 인연이 있는 묘감주(妙敢株)가 모감주가 되었을 것이라 말하고 있다.국립수목원 이유미씨의 해설에 모감주나무란 이름은 닳거나 소모되어 줄어둔다는 뜻의 모감(耗減)에서 유래, 염주와 연관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고 되어 있다. 중국에서는 즐거운 나무 또는 열매란 뜻의 이름을 가지며 영어 이름은 Golden rain Tree, 즉 황금비 나무이다. 7월에 피는 황색 바탕에 적색 밑동의 꽃이 다닥다닥 열렸을 떄 너무 이뻐 놀랐던 적이 있다.안면도 꽃지 해수욕장 할미·할아비바위 근처에는 모감주나무 400여그루가 3300㎡ 규모로 군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