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송정(月松亭) 일출풍경 landscape 2008. 3. 2. 21:06
국내 유일의 유황온천인 백암의 피닉스호텔에서 아침 6시에 일어나 30분 온천을 하고 나니 온몸이 매끈매끈하다.명성에 걸맞게 물이 깨끗하고 맑고 매끄러워 더 있고 싶었지만 일출 촬영을 하고 8시에 식사를 하려면 시간이 빡빡하다.요즘 카메라에 관심이 있다는 박대국과 이현형을 깨워 나왔더니 눈발이 날리고 먹구름이 깔렸다.그러면 그렇지 무슨 횅재를 하겠다고... 그래도 동해를 보지 않으면 억울할 것 같아 평해 거쳐 월송정에 닿았다.김명인의 시에서처럼 '질풍노도' 같이 '갈기 휘날리며 달려오는' 바람이 거세고 기온이 차다.월송정은 신라의 화랑인 永 ·述 ·南石 ·安祥이 이곳의 울창한 송림에서 달을 즐기며 선유(仙遊)하였다는 정자이다. 월나라에서 가져온 소나무 씨앗으로 숲을 이루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소나무와 어..
-
죽변항(竹邊港) 대게는 저녁에 맛 보고기타 etcetera 2008. 3. 2. 20:58
대나무가 많았던 동네일까? 요즘 공중파 방송에선 영덕대게가 한물 가고 죽변대게가 뜨고 있다. 말이 나온 김에 죽변을 구경하고자 인터넷 검색해서 잡은 은 추위와 귀찮음에 포기하고 눈에 띄는 로 들어갔다. 수족관의 게가 니들도 날 먹으러 왔느냐? 니들이 게맛을 알고 오는기야? 귀신처럼 눈을 부라린다. 안에선 손님들이 연신 게딱지를 떼어내고 밖에선 73세 먹은 할아버지가 연신 게를 찌어내는데 솥에서 뿜어내는 허연 김이 게맛이 좋을 것이란 예감을 한다. 그러나 몇 년 전 아내와 함께 가서 먹던 영덕대게맛이 아니다. 게딱지에 밥 비벼 먹는 맛은 둘이 먹다가 하나가 죽어도 모를 일인데 그만한 옛맛이 아니다. 아마 철이 좀 이른 걸까? 사진 찍는데 정신이 팔려설까? 죽변항. 죽변(竹邊) 기행(紀行) / 김은숙 소리 ..
-
아, 부석사(浮石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08. 3. 2. 20:53
무량수전의 배흘림기둥. 신경숙의 축축한 사랑 이야기 를 감명 깊게 읽던 생각이 난다. 국보 제18호인 무량수전의 배흘림기둥은 정말 키가 커서 시원스런 이목구비 뚜렷한 귀족 사내처럼 생겼다. 무량수전은 고등학교 시절 국사시간에 배운 최고의 목조건물인데 최근에 봉정사 극락전이 앞선 것으로 판명되어 그 가치가 떨어지는 듯 했다. 최순우의 로 유명해졌다. " . . . 소백산 기슭 부석사의 한낮, 스님도 마을사람도 인기척도 끊어진 마당에는 오색 낙엽이 그림처럼 깔려 초겨울 안개비에 촉촉이 젖고 있다. 무량수전, 안양루, 조사당, 응향각들이 마치도 그리움에 지친 듯 해쓱한 얼굴로 나를 반기고, 호젓하고도 스산스러운 희한한 아름다움은 말로 표현하기가 어렵다. 나는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에 기대서서 사무치는 고마움으로..
-
글록시니아(Gloxinia sylvatica)초목류 wild flower/제스네리아과 Gesneriaceae 2008. 2. 27. 12:05
브라질 원산의 제스네리아과 신닝기아속의 알뿌리식물이다. 시마니아는 일본식 이름이며 글록시니아 Gloxinia 라는 본명이 있는데 둘 다 참 이쁜 이름이다. 크리스파 워털루 글록시니아, 드피앙스 글록시니아, 백색의 몽블랑 글록시니아, 보라색 테두리의 프린세스 앨리자베스 글록시니아, 레드 화이드 에이지 글록시니아, 라인네 웰헤미아 글록시니아, 티그라 레드 글록시니아 등 다양한 색깔의 꽃을 피운다. 한국도로공사 수목원 팻말에 마란타과의 인시그니즈라는 이름 때문에 곤욕을 치렀다. 인시그니즈는 칼라데아 인시그니즈 Calathea insignis 이니 고쳐줬으면 좋겠다. 어느 수목원엘 가든지 관광객이 장난을 친 것인지 관리 소홀의 실수인지 거짓 정보가 많아 애를 먹곤 한다. 글록시니아 - 화려한 모습, 욕망 / 정..
-
오층탑 野路壽 Haworthia turgida초목류 wild flower/선인장과 Opuntiaceae 2008. 2. 27. 11:42
오층탑을 찾으니 야로수(野路壽), 백양궁(白洋宮), 수차(水車), 학명 Haworthia hyb. Manda, 선인장과의 육질 다년생 초본. 야로수, 나리과 하워디아(Haworthia)속의 다육. 학명 Haworthia turgida var. longibracteata. 크기 2~25cm. 잎이 옅은 녹색이며 잎면에 하얀색 줄 무늬가 있고 상단에 삼각 형태의 창이 있다. 오층탑 ktk84378837.tistory.com/3467
-
기린각(麒麟閣) Cow's-horn초목류 wild flower/대극과 Euphorbiaceae 2008. 2. 27. 11:36
기린각(麒麟閣)선인장, Cow's-horn(소의뿔), Big horned euphorbia, 학명 유포르비아 그란디코르니스 Euphorbia grandicornis, 대극목 대극과의 유포르비아 속 선인장.동아프리카 원산. 높이 1.5 m. 줄기는 3능형으로 얇고 평평한 날개 부채모양으로 된다. 12월에 꽃잎이 5장인 노란연두색 꽃이 핀다. 중국 한(漢)의 무제(武帝)가 성인이나 성군이 출현하면 나타나는 기린을 포획했다고 장안(長安)의 궁중에 기린각(麒麟閣)을 세웠다. 자신을 기린아(麒麟兒)라고 여겼던 모양이다. 한밭수목원에서. 기린각 https://ktk84378837.tistory.com/3468 꽃기린 http://ktk84378837.tistory.com/3437
-
상록바위솔 sempervivum tectorum초목류 wild flower/돌나물과 Crassulaceae 2008. 2. 27. 11:25
상록바위솔 텍트룸 sempervivum tectorum. 능견(綾絹), 영명 Old-man-and-woman, Houseleek Common, Houseleek Roof, 유럽에선 창문 근처에 많이 키우므로 Houseleek. 국내유통명 윌리엄백작. 유럽 그리스섬 원산. 지중 위에도 큰다. 주스와 잎은 냉각제, 소염제 및 이뇨제로 사용한다. 화상, 화상, 궤양 및 염증에 효과가 좋다. 꿩의비름과 http://ktk84378837.tistory.com/3469 둥근잎꿩의비름 http://ktk84378837.tistory.com/938 상록바위솔 http://ktk84378837.tistory.com/3469 큰꿩의비름 http://ktk84378837.tistory.com/1057 http://ktk84..
-
부용 Echeveria harmsii초목류 wild flower/돌나물과 Crassulaceae 2008. 2. 27. 11:15
하름시. 학명 Echeveria harmsii. Echeveria pulv oliver. 부용, 부영, 금황성(pulvinata) X 함시(harmsii=oliveranthus elegans), 영명: Echeveria Red., 돌나물과 에케베리아속의 다육. 멕시코 페루 원산. 돌나물과(경천과) 에케베리아속의 다육. 키 20cm. 잎과 줄기는 부드러운 흰 솜털로 덮여있어서 햇볕을 받으면 은빛이 난다. 잎이 둥글고 도톰하며 퍼지듯이 붉은빛으로 물들고, 부용은 잎이 가늘고 잎가장자리에 선을 이루며 핑크빛으로 물든다. 여름에 오렌지색 꽃이 핀다. 유사종으로 금황성(錦晃星)이 있다. plush plant, 학명 Echeveria pulvinate, 멕시코 페루 원산. 돌나물과(경천과) 에케베리아속의 다육. 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