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팝나무 Bridal wreath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4. 14. 15:09
장미과의 낙엽관목으로 빗자루의 재료로 사용하였기에 싸리나무라 부르기도 하는데 싸리나무가 따로 있으니 혼동해선 안된다. 꽃핀 모양이 튀긴 좁쌀을 붙인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조밥나무>조팝나무가 되었다. 농경사회에서 춘궁기는 민중들에게 힘겨운 시절이었다.해도 해도 끝없는 일이지만 왜 해도 해도 가난의 굴레는 벗지 못했을까? 다닥다닥 붙은 꽃밥을 보며 쓰려오는 뱃가죽을 부둥켜 안았을 것이다.이밥나무가 이팝나무가 되었듯이 조밥나무도 조팝나무가 되었다. 조팝나무 Bridal wreath. 계뇨초(鷄尿草), 압뇨초(鴨尿草), 목상산(木常山), 눈버들(雪柳), 학명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장미과 꼬리조팝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 키 1.5~2m. 4~5월에 흰 꽃이 4~6..
-
족도리풀 Asarum sieboldii초목류 wild flower/쥐방울덩굴과 Aristolochiaceae 2008. 4. 14. 10:06
쥐방울덩굴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나무그늘에서 자란다. 꽃의 모양이 둥근 원통형에 가운데를 비워서 머리 위에 얹는 여자들의 예장 족두리를 닮아 족두리풀로 불리다가 족도리풀로 변했다. 이 족두리는 중요민속자료 제218-19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세신(細辛)이라 하여 발한, 거담, 진통, 진해 등의 효능이 있어 두통, 소화불량 등에 사용한다. 족도리풀 siebold-wildginger. 학명 Asarum sieboldii Miq. 세신, 만주족도리풀, 본초명 금분초(金盆草), 북세신(北細辛), 세신(細辛), 한성세신(漢城細辛). 쥐방울덩굴과의 여러해살이풀. 키는 15~20㎝. 5~6월에 꽃이 피고 8~9월에 열매를 맺는다. 족두리는 옛날 여자들이 결혼할 때 머리에 쓰던 쓰개다. 작고 ..
-
산자고(山慈姑) Korean turips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4. 14. 09:59
누가 꾸며낸 얘기인지 출처 모를 전설이 전해진다. 까치무릇에 대한 전설이 아니라 산자고에 대한 전설이니 우리 것이 아닐 수도 있겠다. 옛날 어느 산골에 마음씨 고운 아낙네가 살고 있었다. 그런데 이 아낙네는 3남매를 키웠는데 위로 딸 둘은 출가시키고 막내인 외아들만 남았다. 그런데 늙은 어머니를 부양하며 가난한 산골에서 사는 이 총각에게 시집을 오겠다는 처녀가 없었다. 아들을 장가들이기 위해 근처 큰 마을에 몇 번이나 매파를 보내 보았지만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그렇게 몇 년이 지나는 동안 늙은 어머니의 시름은 깊어만 갔다. 그러던 어느 봄날 밭에서 일하던 어머니의 눈에 보퉁이를 든 처녀 하나가 나타났다. 이 처녀는 산 너머에서 홀아버지를 모시고 살고 있었는데 역시 시집을 가지 못하고 있던 중 아버지가 돌..
-
매화말발도리 Deutzia uniflora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08. 4. 14. 08:55
바위틈에서 범의귀과의 낙엽관목인 매화말발도리가 하얗게 웃고 있다. 아름답기는 소복한 여인인데 물가 바위틈에 자리를 잡고 앉아 세월을 낚는 것을 보면 풍월주인이다. 열매를 보진 못했지만 그 모양이 말발굽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란다. 바위말발도리, 애기말발도리, 넓은잎말발도리, 둥근말발도리, 철말발도리, 꼬리말발도리 등이 있다. 매화말발도리는 묶은가지에서 꽃이 피고, 바위말발도리는 새 가지에서 꽃이 핀다. 꽃이 뒤로 젖혀지면 물참대다. 매화말발도리 deutzia. 댕강목. 학명 Deutzia uniflora Shirai . 범의귀과 말발도리속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 1m. 잎은 마주나기하고 긴 타원형이며 불규칙한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4~6개로 갈라진 별모양의 털이 있다. 매화말발도리는 묵은 가지에..
-
서울제비꽃 Viola seoulensis초목류 wild flower/제비꽃과 Violaceae 2008. 4. 13. 21:17
서울제비꽃 Seoul violet, 학명 Viola seoulensis Nakai. 경기도의 특산식물이다.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탁엽은 엽병에 붙어 있으며 끝이 떨어지고 선형으로서 톱니가 약간 있으며 엽신은 긴 타원형이며 톱니가 있다. 화경은 털이 있고 꽃잎은 보라색 또는 연한 보라색이고 개화기는 4월로 다화성이다. 삭과는 난상 타원형. 뫼제비꽃 http://ktk84378837.tistory.com/315 줄민둥뫼제비꽃 http://ktk84378837.tistory.com/280 고깔제비꽃 http://ktk84378837.tistory.com/317 http://ktk84378837.tistory.com/4551 태백제비꽃 http://ktk84378837.tistory.com/3365 졸방제비꽃 ..
-
태백제비꽃 Viola albida초목류 wild flower/제비꽃과 Violaceae 2008. 4. 13. 21:15
태백제비꽃 Viola albida Palib, 태백씨름꽃, 사향씨름꽃, 태백오랑캐,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물 빠짐이 좋은 곳에 잘 자라며, 키는 약 25㎝ 정도이다. 잎은 안쪽으로 꼬부라진 톱니가 있으며, 잎은 뿌리에서 바로 나온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향기가 있으며 꽃줄기가 나와 1개씩 달린다. 포가 2개씩 마주나며 열매는 6~7월경에 타원형으로 달린다. 노랑제비꽃 http://ktk84378837.tistory.com/3309 뫼제비꽃 http://ktk84378837.tistory.com/315 줄민둥뫼제비꽃 http://ktk84378837.tistory.com/280 고깔제비꽃 http://ktk84378837.tistory.com/317 http://ktk8..
-
고비 Osmunda japonica초목류 wild flower/고비과 Osmundaceae 2008. 4. 13. 20:58
고비 japanese-royal-fern. 가는고비, 학명 Osmunda japonica, 자기(紫箕), 구척(狗脊), 미궐(薇蕨). 고빗과의 다년초. 이른 봄에 나오는 어린잎은 둘둘 말려 있고 흰 솜털이 많이 나 있다. 포자잎이 먼저 나오고 다음에 영양잎이 나온다. 5~6월에 포자잎에 포자주머니가 무리 지어 달린다. 포자는 9~10월에 익는다. 구충작용, 抗비루스作用, 항균작용 등이 있다. 회충, 조충, 요충을 구제, 淸熱(청열), 해독, 凉血(양혈), 지혈의 효능이 있다. 고비는 고사리와 함께 대표적인 식용 산채로서 어린순을 삶아 말렸다가 나물로 먹으며 국 고기찜 튀김 등의 요리에 사용한다. 양질의 단백질 비타민A B2 C 펜토산 카로틴 니코틴산을 함유하고 영양가가 높다. 고사리 http://ktk8..
-
산(山)괴불주머니 Corydalis speciose초목류 wild flower/현호색과 Fumariaceae 2008. 4. 13. 20:49
괴불주머니와 현호색의 차이 괴불이란 어린아이의 주머니끈 끝에 차는 노리개의 일종인데, 색색의 천으로 모양을 만든 다음, 속에 솜을 통통하게 채워 넣고 색끈을 달아 놓은 것을 말하는데 흔히 고추모양으로 만든다. 꽃의 모양이 이와 비슷하여 괴불주머니라 한다. 현호색과는 뿌리가 괴경과 근경으로 구별되는데 괴경(덩이 줄기)일 경우에는 현호색이라 이름하며 약용으로 사용하나, 근경일 경우에는 괴불주머니라 하며 약용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산(山)괴불주머니 Beautiful corydalis, 학명 Corydalis speciose. 암괴불주머니, 조선괴불주머니, 황근(黃菫), 북한명 산뿔꽃. 현호색과 현호색속의 두해살이풀. 높이 50cm.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있으며 열편은 달걀모양이며 다시 우상으로 갈라지고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