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떡잎 cotyledon초목류 wild flower 2008. 4. 19. 21:13
떡잎 cotyledon 자엽(子葉), 본래는 씨의 배 안에 있는 잎처럼 생긴 기관을 말하는데 대부분 싹이 터서 처음 나오는 잎을 뜻한다. 떡잎에 영양분이 들어 있어야 잘 자란다. 될성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는 속담이 여기서 비롯된다. 꽃피는식물 중 떡잎이 1장만 있는 식물들을 외떡잎식물, 떡잎이 2장인 식물들을 쌍떡잎식물이라고 한다. 겉씨식물 씨의 배 안에는 8~20개 또는 그 이상의 떡잎이 있다. 떡잎 / 유안진 조용히 문을 여는 한 왕조(王朝)를 본다 두 연인이 일으키는 어린 왕국이여 저마다의 생애는 영광과 비극의 대 서사시(大 敍事詩) 그 첫장을 기록하는 떡잎 두 쪽 봄 아지랑이 황홀한 춤 앞세워 모든 인연이 움 돋았건만-.
-
라일락 Syringia vulgaris초목류 wild flower/물푸레나무과(목서과) Oleaceae 2008. 4. 18. 16:58
라일락 lilac. syringa. 서양수수꽃다리. 라라꽃, 자정향(紫丁香), 양정향나무, 학명 Syringia vulgaris. 유럽 원산. 꿀풀목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의 관목. 높이 3~5m. 잎은 대생하며 난형이다. 열매는 타원형의 삭과이다. 4~5월에 흰색, 보라색, 연보라색 꽃이 피는데 향기가 좋아서 문학에 단골 소재가 되며 유명해졌다. 잎을 씹으면 소태처럼 쓰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수수꽃다리(S. dilatata Nakai)에 비해서 잎, 꽃차례, 꽃이 모두 크므로 구분된다. 정향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4850 라일락과 수수꽃다리 http://ktk84378837.tistory.com/3327 http://ktk84378837.tistory.com/4..
-
서양(西洋)산딸나무 Flowering Dogwood초목류 wild flower/층층나무과 Cornaceae 2008. 4. 18. 16:51
꽃산딸나무 Flowering Dogwood 북미원산. 학명 Cornus florida L. 꽃 주위의 꽃잎처럼 보이는 부분은 실제로는 꽃이 아니라 꽃싸개잎(포엽)이다. 꽃싸개잎은 총 4개로 길이는 약 3cm 정도다. 꽃싸개잎의 . 대부분 흰색이지만, 일부 품종은 분홍색을 띤다. 드물게 완전히 붉은색인 경우도 있다. 열매는 길이 약 10~15mm, 폭 8mm 정도의 타원형으로 붉게 익는다. 보문산. 서양(西洋)산딸나무 https://ktk84378837.tistory.com/3330 적막 / 오세영 '아' 하고 외치면 '아'하고 돌아온다. '아' 다르고 '어' 다른데 '아'와 '어' 틀림없이 다르게 돌아오는 그 산울림. 누가 불렀을까, 산벚나무엔 다시 산벗꽃 피고 산딸나무엔 다시 산딸꽃 핀다. 미움과 사랑..
-
하늘매발톱 Aquilegia flabellata초목류 wild flower/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2008. 4. 18. 16:50
아파트 화단을 가꿔보겠다고 심어놓은 매발톱이 하늘색으로 피어났다. 엎드려 지하실을 배경으로 하니 검은바탕이라 보기가 좋다. 하늘매발톱 Columbine, 산매발톱꽃, 골매발톱꽃, 시베리아매발톱꽃, 누두채(漏斗菜), 장백누두채(長白耬斗菜), 미나리아재비과에 다년초. 학명 Aquilegia flabellata var. pumila 4월 하순이면 꽃을 피우기 시작하며 꽃잎은 하늘색을 띤다. 하향하여 달린다. 키가 40∼80cm. 꼬부라진 거(距)가 매의 발톱과 같고 꽃잎이 하늘빛같은 데서 이름이 유래한다. 생리불순, 통경활혈에 효능이 있다. 하늘매발톱 http://ktk84378837.tistory.com/1480 http://ktk84378837.tistory.com/3331 http://ktk8437883..
-
화살나무 Winged spindle초목류 wild flower/노박덩굴과 Celastraceae 2008. 4. 18. 16:40
화살나무 Winged spindle, 위모(衛矛), 팔수(八樹). 노박덩굴과의 관목. 학명 Euonymus alatus 화살이 날 수 있는 것은 전우(箭羽)라는 깃털 때문이다. 예전에는 귀전우(鬼箭羽)라 했는데 이 화살깃처럼 생긴 코르크 날개가 화살나무의 유래가 된다. 동의보감에 보대회나무, 《물명고》에 횟닙나무라고 했는데 지금은 코르크 날개가 없는 것을 횟잎나무라 구분하였다. 어린잎을 식용하고 귀전우를 치풍제, 지혈제 및 광증 치료, 낙태에 쓴다. 한방에서 위암, 식도암,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 기침 가래, 월경불순, 산후에 어혈로 인한 복통, 자궁출혈 등에 많이 쓰인다. 일본에선 화살나무와 단풍나무, 은방울꽃나무를 ‘세계 3대 단풍나무’라고 부를 정도로 단풍이 아름답다. 삼월에 보내는 엽서 / ..
-
모과(木瓜)나무 Chaenomeles sinensis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4. 18. 16:39
모과(木瓜)나무 Chinese quince, Chinese Flowering-quince, 학명 Chaenomeles sinensis, 호성과(護聖果), 목과(木瓜), 목리(木梨), 만수과(萬壽果), 일본명 화리(花梨), 중국 원산. 장미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 10m, 나무에 달린 참외라는 뜻의 목과(木瓜)에서 유래한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타원상 달걀모양이고 잔톱니가 있다. 꽃은 분홍색으로 4월 말에 피며 꽃잎은 꽃잎은 5개로 거꿀달걀형이다. 수술은 약 20개이다. 암술머리는 5개로 갈라진다. 이과(梨果)는 원형이고 9월 ~ 10월에 황색으로 익고 향기가 좋으나 과육은 시며 굳다. 과실을 당목가(唐木瓜)라 한다. 《동의보감》에는 “갑자기 토하고 설사를 하면서 배가 아픈 위장병에 좋으며, 소화를 잘 ..
-
제비꽃 manchurian violet초목류 wild flower/제비꽃과 Violaceae 2008. 4. 18. 16:36
제비꽃 manchurian violet. 오랑캐꽃, 장수꽃, 씨름꽃, 민오랑캐꽃, 병아리꽃, 외나물, 옥녀제비꽃, 앉은뱅이꽃, 가락지꽃, 참제비꽃, 참털제비꽃, 큰제비꽃, 독행호(獨行虎), 양각자(羊角子), 자화지정(紫花地丁), 학명 Viola mandshurica W.Becker. 높이가 10-15(24㎝)cm. 잎은 피침형이며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보라색 또는 짙은 자색으로 4~5월에 한쪽을 향하여 피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地丁(지정)이라 하며 淸熱(청열), 利濕(이습), 해독,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그리스의 신화에 나오는 양치기 소년 ‘아티스’가 아름다운 소녀 ‘이아’의 진실한 사랑을 모른 척 하자 ‘이아’가 죽어 제비꽃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
피나물 Hylomecon vernale초목류 wild flower/양귀비과 Papaveraceae 2008. 4. 18. 16:33
피나물 Hylomecon vernale, 여름매미꽃, 노랑매미꽃, 하청화, 양귀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를 자르면 피처럼 붉은 유액이 나온다기에 피나물이라는데 확인 들어간다고 차마 그럴 수는 없어서 잘라보진 못했다. 나물 이름이 들어가니 독을 빼내면 먹을 수 있고, 그 뿌리는 하청화근이라 하여 통증, 신경통, 관절염, 염증을 다스리는데 사용한다고. 특산식물에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매미꽃과 얼마나 비슷한지 피나물을 노랑매미꽃으로 부르기도 한다.잎도 모양도 색도 비슷하다. 피나물은 가지에서 뻗은 줄기에서 꽃이 피고 매미꽃은 뿌리에서 나온 줄기 끝에 꽃이 핀다. 祛風濕(거풍습), 舒筋(서근), 活絡(활락), 散瘀(산어), 消腫(소종), 止痛(지통), 止血(지혈)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성 관절염, 勞傷(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