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기
-
감국 甘菊 Chrysanthemum indicum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14. 11. 21. 21:58
자상특사황국옥당가(自上特賜黃菊玉堂歌) / 송순 풍상(風霜)이 섯거친 날에 갓 피온 황국화(黃菊花)를 금분(金盆)에 가득 다마 옥당(玉堂)에 보내오니, 도리(桃李)야 곳이오양 마라, 님의 뜻을 알괘라. * 옥당(玉堂) : 조선시대 홍문관(弘文館)의 별칭. * 도리(桃李) : 복사꽃 오얏꽃 -명종 임금이 황국 화분을 홍문관에 보내준데 대한 화답시- 감국(甘菊) Dendranthema indicum, 황국(黃菊), 국화과 산국속의 다년초. 꽃잎을 씹었을 때 단맛이 배어 나오는 노란꽃에서 이름이 유래한다. 학명 Chrysanthemum indicum, 산이나 들, 해안가에 서식한다. 높이 1m~1.5m 줄기는 여러 대가 모여나며, 아래쪽이 쓰러져 땅에 닿고 잎은 어긋나며, 난상 원형, 길이 3-5cm, 폭 2...
-
풀명자(榠樝)나무 Chaenomeles japonic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4. 10. 5. 17:55
명자꽃 중에 봄부터 가을까지 오래 피므로 장수매, 사철명자라는 이름이 있다. 목과(木瓜), 화목과(和木瓜), 학명 Chaenomeles japonica. 수형을 갖추지 않고 풀처럼 자라므로 풀명자이다. 4∼5월에 지름 2.5cm 안팎의 주홍색 꽃이 듬성 핀다. 꽃 모양만 보면 화투장 2월 매조(梅鳥)가 떠오른다. 매화는 홍매화인데 모양이나 색깔을 보면 오히려 명자나무에 가까워 보인다. 8월에 지름 2~3cm의 둥근 이과가 달려 황색으로 익는다. 말린 열매를 화목과(和木瓜)라 하며 뿌리는 해당근(海棠根), 가지잎은 해당지(海棠枝)라 한다. 방향성이 있다. 주로 간장을 다스리며, 풍증에 효험이 있다.구토, 下痢(하리), 근육경련, 류머티성 마비, 脚氣(각기), 水腫(수종), 이질을 치료한다. 풀명자 http..
-
6월 어느날의 왜개연 Nuphar subintegerrimum초목류 wild flower/수련과 Nymphaeaceae 2014. 9. 26. 10:40
개연꽃이 있다. 잎이 화살처럼 갈라지고 수면에 뜨기도 하고 잠길 때도 있다. 암술머리는 노랗다. 그 중에 왜개연은 잎이 개연꽃의 절반 크기로 작아서 유래했고 암술머리가 빨갛거나 노랗다. 남개연은 일본의 남쪽지역인 오제지역에서 발견되어 남개연 혹은 오제개연꽃이라 하는데 돌기가 8개인 암술머리는 붉은 색이다. 수술대도 꽃밥보다 3-10배 길다. 왜개연 Nuphar subintegerrimum. 크기 약 6cm ~ 18cm.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다년생초로 한국, 일본, 몽골 등의 연못과 늪에서 자생한다. 8~9월 경에 황색 꽃이 피고, 굵은 뿌리줄기가 진흙 속으로 넓게 뻗는다. 암술머리가 남개연과 달리 암술머리가 붉지 않고 노랗다. 남개연 http://ktk84378837.tistory.com/..
-
대반하 Green dragon초목류 wild flower/천남성과 Araceae 2014. 9. 25. 21:12
대반하 Green dragon. 학명 Pinellia tripartita (Blume) Schott, 천남성과 반하속의 여러해살이풀. 거제도 상록수림 밑에서 난다. 넓은 잎은 큰천남성과 비슷하다. 잎은 1-4장이고 잎자루에 살눈이 없다. 잎몸은 깊게 3갈래로 갈라지고 갈래는 달걀모양 또는 좁은 달걀모양으로 길이 10-20㎝이다. 꽃대는 20-50㎝, 불염포는 녹색 또는 자색을 띤 녹색이다. 길이는 6-10㎝으로판연은 달걀모양이다. 내면에 소돌기가 밀생하고 외부는 매끈하다. 반하(半夏)는 여름의 절반쯤인 요 시절에 꽃이 핀다고 부른 이름이랍니다. 영평사. 넓은잎천남성 http://ktk84378837.tistory.com/4716 큰천남성 http://ktk84378837.tistory.com/4573 큰..
-
파대가리 Kyllinga brevifolia초목류 wild flower/사초과 Cyperaceae 2014. 9. 25. 20:58
파대가리 green-kyllinga. 큰송이방동산이, 가시파대가리, 학명 Kyllinga brevifolia Rottb. 북한명 파송이골, 본초명 삼협초(三莢草), 수오공(水蜈蚣), 수향부(水香附), 한기초(寒氣草),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가운데는 파의 대가리처럼 생긴 파대가리가 있다. 사실 파의 대가리 보다는 아직 덜 핀 절굿대를 판박이한 것 같다. 대가리라는 말은 이미동물의 머리를 뜻하거나 머리의 비속어로 정착되었기에 듣기가 좀 거북스럽다. 그도 모자라 비하를 더하기 위해서 접미사로 쓰는 경우도 있는데 멋대가리 없다든가 맛대가리 없다는 말이 그렇다. 그래도 대가리는 친근함과 투박함과 진솔함이 있어 좋다. 파대가리 http://ktk84378837.tistory.com/3740 http://ktk843..
-
클레마티스 Clematis초목류 wild flower/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2014. 6. 24. 21:15
클레마티스 Leather flower, 학명 Clematis spp. 미나리아재비과의 덩굴성 다년초.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으아리, 참으아리가 크레마티스속에 속한다. 유럽왕실에서 키웠기에 귀족꽃이라 부른다. 꽃말도 고결, 아름다운 마음이다. 방태산 할미밀망 http://ktk84378837.tistory.com/4714 사위질빵 http://ktk84378837.tistory.com/2858 http://ktk84378837.tistory.com/3969 열매 http://ktk84378837.tistory.com/2567 으아리 http://ktk84378837.tistory.com/625 http://ktk84378837.tistory.com/1413 참으아리 http://ktk84378837.tist..
-
마삭줄 Trachelospermum asiaticum초목류 wild flower/협죽도과 Apocynaceae 2014. 6. 10. 22:56
마삭줄, 학명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용담목 협죽도과의 덩굴식물. 길이 5 m. 줄기에서 뿌리가 내려 다른 물체에 붙어 올라가고 적갈색이 돈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이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윤기가 있으며, 뒷면은 털이 있거나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2∼3cm이며 흰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고 취산꽃차례[聚揀花序]를 이룬다. 꽃받침과 꽃잎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5개이며, 꽃밥 끝이 꽃통부의 입구까지 닿는다. 열매는 골돌(利咨)이며 길이 1.2∼2.2cm로서 2개씩 달린다. 잎 ·줄기는 해열 ·강장 ·진통 및 통경(通經)에 사용한다. 줄기와 잎에 털이 없는 것을 민마삭줄(var. asiatica)..
-
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14. 6. 9. 23:26
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 朝鮮木萩. 학명의 ‘Lespedeza’는 프랑스의 식물학자인 앙드레 미쇼를 후원하던 미국 동부의 스페인 통치자 체스페데스(Cespedes)를 잘못 적은 데에서 유래했고, ‘maximowiczii’는 러시아의 식물학자 막시모위쯔(Maximowicz)를 기념하여 붙인 것이다. 잎은 3개가 모여나는데 잔잎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에는 고운 털이 있다. 6~7월에 피는 꽃은 끝과 밑이 뾰족하다. 꽃은 적자색, 홍자색, 연한 홍색으로 섞여 아름답다. 화투에서 4월을 상징하는 흑싸리는 싸리나무일까? 7월을 상징하는 홍싸리는 대부분의 싸리와 연결이 된다. 화투 그림이 잎이라면 어렵지만 꽃이라면 대부분의 싸리가 이에 해당된다. 싸리나무 중에 흑싸리 이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