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기
-
조령으아리 Clematis brachyura초목류 wild flower/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2013. 7. 29. 13:41
조령으아리 Six-sepal clematis.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의 덩굴성. 학명 Clematis brachyura var. 길이 2m. 꽃은 8~9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6개이고 길이 1.2~2cm로서 꽃잎처럼 생긴다. 조령에서 처음 발견되었겠지. 방태산 할미밀망 http://ktk84378837.tistory.com/4714 사위질빵 http://ktk84378837.tistory.com/2858 http://ktk84378837.tistory.com/3969 열매 http://ktk84378837.tistory.com/2567 으아리 http://ktk84378837.tistory.com/625 http://ktk84378837.tistor..
-
쥐방울덩굴 Northern Dutchmanspipe초목류 wild flower/쥐방울덩굴과 Aristolochiaceae 2013. 6. 18. 20:48
쥐방울덩굴 Northern Dutchmanspipe. 학명 Aristolochia contorta, 까치오줌요강, 왕황풍(王黃風), 사삼과(蛇參果), 광방기(廣防己), 쥐방울덩굴과 쥐방울덩굴속의 여러해살이 덩굴성풀. 길이 1.5m 잎은 어긋나기하며 심장형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꽃대가 1개씩 나오고 윗부분이 좁아졌다가 나팔처럼 벌어지며 한쪽 열편이 길게 뾰족해진다. 과실은 삭과로서 6개로 갈라진다. 잎 天仙藤(천선등)은 위통과 산기통에, 과실 마두령(馬兜鈴)은 천식과 해소에, 뿌리 청목향(靑木香)은 뱀이나 벌레에 물렸을 때 해독제로 한다. 쥐방울덩굴 http://ktk84378837.tistory.com/1887 http://ktk84378837.tistory.com/4541 http:..
-
쑥 mugwort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13. 6. 17. 21:48
쑥 mugwort 학명 Artemisia princeps var. 사재발쑥, 약쑥, 타래쑥, 바로쑥, 국화과의 다년초. 키 60~120cm. 꽃은 7~9월에 길이 2.5~3.5mm, 지름 1.5mm 정도인 분홍빛 두상화가 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달리며 전체적으로 원추 꽃차례를 이룬다. 말린 쑥을 태워 여름철 모기퇴치 혹은 축사의미로 벽에 걸어두기도 했다. 쑥과 마늘은 우리나라 건국신화에 등장하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三國遺事)에 하느님인 환인(桓因)의 아들 환웅(桓雄)이 인간 세상을 다스리기를 원해 태백산 정상의 신단수 아래로 내려와 신시(神市)를 열었다. 이때 곰이 쑥과 마늘을 먹고 웅녀(熊女)가 되었으며 둘이 결혼해서 낳은 이가 단군 왕검이다. 주로 소화기·..
-
오미자 五味子, Schizandra초목류 wild flower/오미자과 Schisandraceae 2013. 6. 2. 09:04
오미자 五味子, Schizandra. Chinese Magnolia Vine, 조선오미자, 학명 Schizandra chinensis. 붓순나무목 오미자과의 낙엽 덩굴나무. 신맛, 단맛, 쓴맛, 짠맛, 매운맛의 다섯 가지 맛이 모두 섞여 있다 하여 오미자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타원형이며 톱니가 있다. 잎 뒷면은 털이 난다. 꽃은 5-6월에 보통 암수딴그루로 피며, 흰색 또는 연한 분홍색이다. 화피는 6-9장 타원형이다. 수술은 5개, 암술은 많다. 열매는 장과이며 둥글고, 붉은색이다. 씨는 열매에 1-2개씩 들어 있다. 열매를 식용하고 한방에서는 강장제, 기침완화, 노화 방지에 사용한다. 방태산. 오미자 http://ktk84378837.tistory.com/4732 열매 http://ktk843788..
-
매화헐떡이풀 Heartleaved Foamflower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13. 5. 23. 11:36
매화헐떡이풀, 양종바위취, 영명 Heartleaved Foamflower, Allegheny Foamflower, 학명 Tiarella cordifolia, 북미 원산의 범의귀과 여러해살이풀을 일본에서 개량. 티아렐라(Tiarella). 울릉도 자생의 헐떡이풀(Tiarella polyphylla)은 黃水枝(황수지)라 하며 천식을 치료하고 이름의 유래가 된다. 뿌리깊은나무. 매화헐떡이풀 http://ktk84378837.tistory.com/4689 헐떡이풀 / 김승기 사는 일이 숨차다고 너무 헐떡이지 말게나 천식 걸린 세상 누구나 병 한 가지는 품고 사는데 유독 네게만 힘든 건 아니잖느냐 조금 늦었다고 조바심하지 말게나 주저앉지 않고 걷는 길 길게 숨 한 번 고르고 나면 하얗게 꽃이 피는 걸, 어느 꽃인..
-
모란 牧丹 Tree Paeony초목류 wild flower/작약과 Paeoniaceae 2013. 5. 16. 14:04
모란 牧丹 Tree Paeony. 화중지왕(花中之王), 목작약(木芍藥), 백화왕(百花王), 부귀화(富貴花), 천향국색(天香國色), 화사부(花師傅). 학명 Paeonia suffruticosa. 중국 원산. 물레나물목 작약과 작약속의 낙엽관목. 높이 2m. 잎은 크게 3부분으로 나뉘어지고 소엽은 달걀모양이며 흔히 3~5개로 갈라진다. 꽃은 암수한꽃으로, 4 ~ 5월에 피며 10개 정도의 꽃잎이 있고 지름 15cm이상으로 풍성하고 소담한 꽃이 한 송이씩 핀다. 꽃색은 자주색이 보통이나, 개량종에는 짙은 빨강, 분홍, 노랑, 흰빛, 보라 등 다양하며 홑겹 외에 겹꽃도 있다. 꽃잎은 8개 이상이고 결각이 있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2~6개로서 털이 있다. 골돌과는 털이 빽빽하게 나고 8 ~ 9월에 익는다. 牧丹..
-
땅주름잎 Mazus reptans초목류 wild flower/현삼과 Scrophulariaceae 2013. 5. 4. 21:33
땅주름잎, 렙탄스주름잎(Mazus reptans), 학명 Mazus reptans N.E.Br. 영명 creeping mazus(기는주름잎). 유통명 핑크주름잎. 현삼과 Mazus (주름잎속)의 다년초. 히말라야 원산. reptans는 포복성의 뜻이다. 주름잎 http://ktk84378837.tistory.com/874 http://ktk84378837.tistory.com/3762 선주름잎 http://ktk84378837.tistory.com/3318 땅주름잎 http://ktk84378837.tistory.com/4611 누운주름잎 http://ktk84378837.tistory.com/1427 흰주름잎 http://ktk84378837.tistory.com/1428 주름잎 / 김승기 내 작은 몸..
-
반하 半夏 Pinellia ternate초목류 wild flower/천남성과 Araceae 2013. 4. 22. 16:02
반하 半夏 Pinellia ternate, 수옥(水玉), 치모읍(雉毛邑), 지문(地文), 끼무릇, 법반하, 소천남성, 학명 Pinellia ternate. 반하(半夏)라는 이름은 절반의 여름이라는 뜻이다. 키는 20~40㎝. 알줄기에서 겹잎이 1~2개 나오는데 3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되어 있다. 잎의 밑부분 안쪽에 1개의 눈이 달리는데, 위 끝에 달리기도 한다. 5월에 뿌리(잎줄기)에서 솟은 꽃줄기 끝에 엷은 황백색 꽃이 달려 핀다. 꽃턱잎은 녹색이며 안쪽에 털이 있다. 암꽃은 꽃차례의 밑 부분에 ,위쪽에는 수꽃이 달린다. 7~8월에 녹색의 장과가 달려 익는데 가늘고 작다. 덩이줄기를 수전(守田)이라고도 하며 감기, 거담(혈담), 건비위, 건위, 결기, 결핵, 경련 같은 호흡기, 순환계 질환을 다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