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기
-
꽃댕강나무에 호랑나비가..초목류 wild flower/인동과 Caprifoliaceae 2013. 10. 18. 15:21
꽃댕강나무 Abelia×grandiflora, Glossy Abelia. 아벨리아, 왜댕강이, 학명 Abelia mosanensis. Abelia×grandiflora 인동과 댕강나무속의 낙엽활엽 관목. 속명 Abelia는 식물학자 아벨(Clarke Abel) 박사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종명인 grandiflora는 '큰 꽃'이라는 뜻이지만 꽃댕강나무의 꽃은 크지 않다. 높이 1 ~ 2m. 꽃은 6 ~ 11월에 피고 연한 분홍색 또는 흰색이며 종모양이다. 꽃받침조각조각은 2 ~ 5장이고 붉은 갈색이고 수술은 4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4개의 날개가 달려 있고 대부분 성숙치 않는다. 수덕사. 꽃댕강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4066 http://ktk84378837..
-
마름 Trapa japonica초목류 wild flower/마름과 Trapaceae , Hydrocaryaceae 2013. 9. 12. 16:05
마름 Trapa japonica Flerow. 도금양목 마름과 마름속의 일년초 수생식물. 유럽과 아시아 온열대 원산. 물위에 뜬 잎은 줄기 위쪽에 모여난다. 잎자루는 연한 털과 공기주머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물위로 나온 꽃자루 끝에 1개씩 피며, 흰색이다. 열매는 핵과이며 납작한 역삼각형, 검은색, 양쪽에 길이 1.2-1.6cm의 뿔이 2개 있다. 딱정벌레인 Galerucell birmanica와 Pyralidae과의 나방이 가장 흔히 마름의 잎을 갉아먹는다. 멸종위기야생식물 Ⅱ급으로 지정된 매화마름 볼 일만 남았다. 조선시대 지주로부터 소작지의 관리를 위임받은 관리인을 마름이라고 한다. 마름 http://ktk84378837.tistory.com/5130 采菱曲 마름 따는 아가씨 /..
-
금강아지풀 Setaria glauca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13. 9. 10. 09:35
금강아지풀 Golden Bristlegrass. Yellow foxtail grass, cattail-millet, 금구미초(金狗尾草), 황구미초, 황모유, 금가라지풀, 학명 Setaria glauca , 줄기는 높이 20-60cm이다. 줄기 아래에 있는 잎집은 납작하며 윗부분에 있는 잎집은 둥글고 윤기가 난다. 잎혀는 길이 1mm 정도의 연한 털이 줄지어 있다. 잎몸은 길이 10-25cm, 폭 2-8mm이다. 꽃은 8-10월에 피며, 꽃차례는 작은이삭이 빽빽하게 붙은 원기둥 모양이다. 작은이삭은 난형이며, 아래에 있는 가시털이 금빛을 띤다. 全草(전초)를 狗尾草(구미초)라 하며 癰腫(옹종), 瘡癬(창선), 赤眼(적안), 廂目(우목)을 치료한다. 강아지풀 http://ktk84378837.tistory...
-
강아지풀 Setaria vridis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13. 9. 10. 09:34
강아지풀 Setaria viridis, Green Bristlegrass, 구미초(狗尾草), 낭미초(狼尾草), 개꼬리풀, 자주강아지풀, 학명 Setaria vridis (L.) Beauv. 벼과의 한해살이풀. 뿌리에서 몇 개의 줄기가 곧추서서 나오며 키는 40~70cm 정도 된다. 잎은 줄기의 마디마다 1장씩 달리며 길이는 10~20cm, 나비는 5~17mm정도 되고 털이 없다. 뿌리는 수염뿌리이고 잎맥은 나란히맥이다. 강아지풀과 비슷한 종에는 금강아지풀, 갯강아지풀, 수강아지풀, 가을강아지풀 등이 있다. 강아지풀 http://ktk84378837.tistory.com/1227 http://ktk84378837.tistory.com/5114 금강아지풀 http://ktk84378837.tistory.co..
-
산오이풀 Sanguisorba hakusanensis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3. 9. 4. 10:37
산(山)오이풀 Korean mountain burnet. 옥찰(玉札), 백지유(白地楡), 삽지유(澁地楡), 학명 Sanguisorba hakusanensis Makino. 백지유(白地楡, Bai-Di-Yu), 산자(酸赭), 지유(地楡), 황근자(黃根子), 장미과 오이풀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60cm 정도며 털이 없다. 4~6쌍의 소엽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경생엽은 보다 작다. 8~9월에 개화하는 가지 끝에 달리는 원주형의 꽃차례는 길이 5~10cm 정도이고 홍자색의 꽃이 위에서부터 핀다. 수술이 6~12개이고 잎의 톱니가 크고 포가 크다. 어린잎을 식용한다. 높은 산에서 자란다. 모든 오이풀의 근경을 地楡(지유)라 하며 대장염, 대하증, 동상, 비뉵혈, 산후복통, 살갗이 튼 데, ..
-
알록제비꽃 Variegated-leaf violet초목류 wild flower/제비꽃과 Violaceae 2013. 9. 2. 10:59
알록제비꽃 Variegated-leaf violet. V학명 iola variegate. 계심칠(鷄心七), 반엽근채(班葉菫菜), 잎은 뿌리에서 나오고 넓은 타원형이며 양면에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표면은 짙은 녹색이지만 잎맥을 따라 백색무늬가 있고 뒷면은 자주색이다. 5월에 자주색꽃이 1개씩 달린다. 삭과는 난상 타원형으로 3개로 갈라지며 잔털이 있다. 종명 varoegata는 반문(斑紋)이 있다는 뜻에서 유래한다. 발육촉진, 보간, 보익, 보혈, 부인병, 살충, 청열해독, 태독, 통경, 하리, 해민, 해소에 사용한다. 각시제비꽃 http://ktk84378837.tistory.com/4548 고깔제비꽃 http://ktk84378837.tistory.com/317 http://k..
-
마타리 dahurian-patrinia초목류 wild flower/마타리과 Valerianaceae 2013. 9. 2. 10:51
마타리 dahurian-patrinia. 고채(苦菜), 마초(馬草). 세기의 스파이 마타하리를 연상시키는 이름을 가진 마타리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Patrinia scabiosaefolia. 높이 90~180cm. 7~9월에 산방상으로 달리는 꽃은 황색이다. 뿌리에서는 콩 썩은 냄새가 난다하여 패장(敗醬)이라는 속명을 가지고 있다. 들판에 피는 노란꽃이라 하여 야황화, 야근, 여랑화 등의 이름이 있다. 어원은 밝혀지지 않았고 우리말로는 강양취, 가양취, 미역취라고도 한다. 본초명 고직(苦蘵), 녹장(鹿醬), 패장(敗醬), 황화패장(黃花敗醬)은 염증과 통증, 소염(消炎), 어혈(瘀血), 고름 빼는 약으로 사용한다. 연한 순을 나물로 먹는다. 이 외에도 멸종위기식물인 금마타리와 돌마타리가 있다. 백우산. ..
-
소리쟁이 curly-dock초목류 wild flower/마디풀과 Polygonaceae 2013. 8. 29. 10:45
소리쟁이 curly-dock. 소루쟁이, 긴잎소루쟁이, 마디풀과의 다년초. 학명 Rumex crispus L 본초명 금불환(金佛換), 야대황(野大黃), 양제(羊蹄), 축(蓄), 토대황(土大黃). 열매가 익으면 바람에 흔들려 소리가 난다 하여 소리쟁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줄기는 높이 50~100cm 녹색 바탕에 흔히 자줏빛이 돈다. 6~7월에 개화하며 연한 녹색의 꽃은 원추꽃차례에 돌려난다. 열매의 내화피는 길이 4~5mm 정도의 난형으로 톱니가 없다. 어릴 때에는 식용하며 사료로도 쓴다. 어린 잎을 식용하고 주로 소화기·피부과 질환을 다스리며, 출혈에 효험이 있다. 소리쟁이 http://ktk84378837.tistory.com/162 http://ktk84378837.tistory.com/4359 ht..